동향 검색 결과 (30건)
... 아태글로벌전략원은 2024년 4월 26일 “디지털 경제 시대의 혁신과 한 · 중 공급망 협력”이라는 주제로 한 · 중 산업포럼을 세종에서 개최 제1 세션은 한 · 중 가치사슬 재편의 영향 평가와 역내포괄적경제파트너십(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RCEP)과 한 · 중 FTA의 성과와 평가를 통해 한 · 중 양자 간 협력뿐 아니라 제3국 시장에서 한 · 중 간 협력 방안을 모색 제2 세션은 한국과 일본의 대중국 수출 구조, 해외투자와 무역으로 보는 한 · 중 산업 협력방안을 살펴보고, 중국과 베트남과의 교역이 한국의 지역별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 조사의 목적 2. 주요 국내 기존 조사 및 본 조사의 차별성 3. 조사 개요 제2장 공급망과 판매망 1. 공급망 2. 판매망 제3장 중국 내 경영실태 1. 매출과 이익 2. 경영 애로사항 3. 민감 규제사항 제4장 사업 현황과 전망 1. 사업 현황과 전망 2. 이전과 확장 제5장 중국 대내환경 변화 및 대응 1. 중국 대내환경 변화 2. 중국 대내환경 변화에 따른 기업의 대응 제6장 글로벌 대외환경 변화 및 대응 1. 글로벌 대외환경 변화 2. 글로벌 대외환경 변화에 따른 기업의 대응 3. 향후 중요한 글로벌 대외환경 제7장 중국 외상투자법 시행과 한ㆍ중 FTA의 영향 1. 중국 외상투자법 시행의 영향 2. 한ㆍ중 FTA 발효의 영향과 추가 협상 우선순위 참고문헌 부록
... 토 론 국제산업사슬 재편 배경하 상하이의 새로운 경쟁구도와 선택 슝쓰워이 상하이 경제 및 정보화위원회 종합계획처 처장 남상욱 성장동력본부 부연구위원 쉬린후이 상하이사회과학원 응용경제연구소 부연구원 정리 및 휴식 (10:40~11:00) 세션2 11:00~12:20 좌 장 탕윈이 상하이사회과학원 응용경제연구소 부소장 발제3 발제4 발제5 토 론 FTA 프레임 심화하의 한중 산업협력 야오웨이췬 상하이경제무역대학 국제무역센터전략연구원 집행원장 한국 반도체 산업 동향과 전망 김양팽 성장동력연구본부 전문연구원 한중 메타버스 산업 발전과 협력 전망 쟝위안위안 상하이사회과학원 응용경제연구소 부연구원 김재덕 북경지원 지원장 쫭쥔 상하이 과학연구소 산업혁신연구실 주임 박소희 산업통상연구본부 연구원 오찬 ...
... 후이저우(惠洲) 공장을 마지막으로 폐쇄하며 철수 ○ 한편, 2019년 10월 15일 리커창 총리가 삼성의 시안(西安) 반도체 공장을 방문하였으며, 삼성은 12월 13일 80억 달러를 투자하여 시안에 반도체 2공장 건설을 결정 ○ 중국은 중앙정부, 성(省)급 정부뿐 아니라 2급 및 3급 지방정부에서도 한국을 비롯한 해외투자 유치를 위해 노력 □ 웨이하이시 중·한 FTA 산업단지 ○ 웨이하이(威海)시는 한국 투자유치를 위해 2020년 웨이하이 경제기술개발구 내에 '중·한 자유무역(FTA) 지방경제협력 시범구 산업단지'를 설치 ○ 웨이하이 경제기술개발구는 1992년 10월 국가급 개발구로 지정되어 총면적은 167.8㎢, 개발면적은 42.3㎢이며, 상주인구는 225만 5,000명으로 웨이하이의 대표적인 산업 지역 ○ 웨이하이 '중·한 ...
... 수급 문제가 대두되었고 글로벌 제조업에 대한 피해도 불가피하게 발생 ○ 코로나 사태 발생 이후 세계 주요 국가는 다양한 경기부양책을 발표 ○ 2021년에 들어서면서 코로나 사태 발발 초기에 비해 경제적 영향이 점차 완화되는 추세 ○ 코로나 사태 이후 글로벌화 진전이 여러 측면으로 도전에 직면 ○ 동아시아 국가들은 코로나 사태 극복을 위하여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으나 관광산업, 물류, 일부 제조업은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와 미·중 무역 분쟁을 계기로 공급망 다변화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일부 국가는 자국 기업의 탈중국을 유도 ○ 한·중·일 FTA 협상도 이런 배경에서 진전이 느림 ○ 2020년 11월 15일, 8년간의 긴 협상을 거쳐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체결
□ RCEP 세계 최대 FTA로 동아시아 및 세계 경제성장에 강력한 동력 제공 ○ 2020년 11월 15일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RCEP)을 체결 ○ RCEP는 △회원국 간 누적 원산지 규정 적용, △역내 산업의 가치사슬 심화, △신기술을 활용한 세관 편리화, △신형(新型) 국경 간 물류 발전, △네거티브 리스트 방식을 채용한 투자자유화, △투자정책의 투명성 제고 등을 추진 ○ RCEP는 새로운 시기 중국의 대외개방에 중요한 플랫폼 역할을 할 것으로, 중국과 RCEP 회원국의 무역 규모는 중국의 대세계 무역 규모의 1/3을 차지, 대중국 투자에서 RCEP 회원국의 투자는 10%를 차지 □ 스마트 커넥티드카 기술 로드맵 2.0 ...
1. 한중산업협력단지 개요 ○ (추진 경과) 2014년 7월 한중 정상회담에서 지방경제협력 확대와 산업단지 조성에 합의 - 한중 FTA에 한중산업협력단지 조성 합의안이 반영(2015년 1월)되었고, 10월 중국상무부와 한국산업부 간 '한중산업단지 공동조성에 관한 MOU' 체결 -중국 정부의 정식 승인 -1단계로 중국에는 산동성 옌타이시, 장쑤성 옌청시, 광동성 후이저우시 등 3개 지역, 한국에는 새만금 지역에 한중산업협력단지를 조성하기로 합의 ○ (의의) 한중산업단지는 한중 간 산업협력 방식과 내용이 새로운 산업발전 단계로 진입하는 상징적이고 대표적인 시범사업의 의미 -과거 저렴한 산업용지 공급과 저임금의 인력 활용에 기반한 생산방식이 아니라 진출기업의 현지 뿌리내리기에 기반하여 현지의 산업생태계와 ...
□ 1992년 수교 후 우호협력 관계에서 2008년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격상 ○ 2015년 한·중 FTA가 발효되면서 양국 간 상품교역 확대에 크게 기대 ○ 양국 간 산업분야에서도 협력이 지속되면서 한·중 산업교류도 크게 확대 □ 지난 25년간 한·중 간 상품교역 규모는 33배 증가 - 한국의 대중국 수출 : (1992) 27억 달러 → (2016) 1,244억 달러 - 한국의 대중국 수입 : (1992) 37억 달러 → (2016) 870억 달러
제목 : FTA 효과와 한국 경제·산업의 생산성 - 일시 : 2017.07.11 09:20 ~ 15:50 - 장소 : 산업연구원 대회의실(1245호) - 발표자 : 최상엽(International Monetary Fund), 최재필(Hitotsubashi University), 조상욱(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최병화(National Taiwan University), 조재한(KIET), 신위뢰(KIET), 박양신(KIET)
... 투자 Ⅴ 노동/고용 Ⅵ R&D/기술 Ⅶ 물가 Ⅷ 무역 Ⅸ 기업경영 Ⅹ 생산성/경쟁력 XI 산업연관관계 제2부 산업별 통계 Ⅰ 제조업 Ⅱ 서비스업 제 3 부 글로벌 여건변화 국내외 경제전망 Ⅰ 거시지표 Ⅱ 산업구조 Ⅲ 생산 Ⅳ 노동/고용 Ⅴ 무역 Ⅵ 물가 Ⅶ 투자/R&D Ⅷ 생산성/경쟁력 산업통계 플러스 한미 FTA개정 논란 계기로 점검해 본 한미 간 산업 분업의 변천과 현주소 Ⅰ 종합 : 주요 부문별 한미간 수입(收入)과 지급(支給)의 밸런스 Ⅱ 산업별 한미간 무역 Ⅲ 산업별 한미 상호간 무역의존도 Ⅳ 산업별 한미간 무역수지 Ⅴ 산업별 한미간 국제직접투자 Ⅵ 기술수준별 한미간 무역 Ⅶ 기술수준별 한미 상호간 무역의존도 Ⅷ 기술수준별 한미간 무역수지 Ⅸ 기술수준별 ...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연구과제 제안이 접수되었습니다.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부분의 고용 관심사가 항공 및 여행서비스, 음식·숙박 서비스 등 주로 서비스 업종에 집중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제조업의 고용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코로나19 직후 2020년 상반기에 약간 하락하였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하여도 일본과 함께 고용 충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용 성적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내 특성 별로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종사상 지위 별로 보면, 임시·일용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서 고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상용직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큰 충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의 경우 코로나 발생 초기 약간의 충격 이후 고용이 빠르게 반등하면서 코로나 이전보다 고용이 더 증가한 반면, 이보다 작은 규모의 제조업체들의 경우 고용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의 중장기,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 발생 이전 3년간의 추세선을 2020년 1월부터 연장한 선과, 2020년 1월부터의 실제 자료를 이용한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의약품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시작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컴퓨터, 기타운송장비, 가구는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고용 추세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다수 업종은 코로나 발생 이후 고용이 하락하였는데, 특히, 비금속광물, 1차금속, 금속가공 분야나 인쇄·기록매체 업종에서 하락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inform@kiet.re.kr이름 : 최상명
전화번호 : 044-287-3811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전지적키에트시점] (Eng sub)심상치 않은
국내 대기업 움직임??
KIET 시점에서 보는 미래 로봇 산업 전망은
어떨까요?
경제전문가가 알려드립니다!
(산업연구원 박상수 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