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87 건
리스트 갯수 선택
10개씩 보기
20개씩 보기
보기
산업연구원 (KIET)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테이블 제목
제목
산업경기 전문가 서베이조사결과(`25년 1월 현황과 2월 전망)
본문요약
1월 제조업 현황: 업황(88) 기준치 하회 지속, 내수(87)·수출(97) 동반 상승 전환
2월 제조업 전망: 업황(97) 기준치 소폭 하회, 내수(99)·수출(105) 상당폭 반등
업종 유형별 업황: 1월 현황은 ICT·소재부문 3개월 연속 100 하회, 기계부문 100 하회 지속, 2월 전망은 ICT·기계·소재부문 100 하회 유지, 전월비 상당폭 반등
세부 업종별 업황: 1월 현황은 휴대폰․가전 제외한 대부분 업종 100 하회 지속, 반도체․자동차․조선 등 하락, 2월 전망은 휴대폰 100 상회, 대부분 업종 반등 전환
내용 문의
민성환 선임연구위원(044-287-3127)
엠바고
본 자료는 1월 2일(월) 조간부터 보도하여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방송, 통신은 1월 19일 (일) 11시 이후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세부 내용은 첨부된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산업연구원 (KIET)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테이블 제목
제목
제조업 경기실사지수(BSI) 조사결과(`24년 4분기 현황과 `25년 1분기 및 연간 전망)
본문요약
2024년 4분기 제조업 현황 : 시황(84)·매출(87) 전분기와 대체로 비슷한 수준
2025년 1분기 제조업 전망 : 시황(87)·매출(88) 3분기 연속 100 하회, 동반 하락세
세부 업종별 결과 : 4분기 매출 현황은 조선 제외한 대부분 업종 100 하회, 전분기 대비로 일부 업종 상승 전환, 1분기 전망은 모든 업종 100 하회, 동반 하락
2025년 전망 : 제조업 매출 전망(91)은 하락 전환(’24년도 전망치 99), 무선통신기기·조선·바이오/헬스 제외한 다수 업종 100 하회, 대부분 업종 전년보다 하락
현안 설문 결과 : 현 경영활동 상 부정적 요인으로 '내수 부진'과 ‘대외 불확실성’을 많이 응답, 트럼프 2기 출범의 영향으로 ‘인플레 재심화 및 고금리 지속’을 우려
내용 문의
민성환 선임연구위원(044-287-3127)
엠바고
본 자료는 1월 13일(월) 조간부터 보도하여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방송, 통신은 1월 12일 (일) 11시 이후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세부 내용은 첨부된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산업연구원 (KIET)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테이블 제목
제목
건설활동이 제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본문요약
제조업 제품을 중간재로 다량 사용하는 건설 활동은 10.4%의 고용유발효과 및 8.9%의 생산유발효과 등 제조업 생산활동에 크게 영향
건설투자를 5조원 확대할 경우, 제조업 고용 6,021명을 포함해 전산업 고용이 5.4만명(건설 고용 3.2만명+연관산업 고용 2.2만명) 창출되고 연관산업 생산도 5.1조원(제조업 2.2조원) 창출할 것으로 예상
3기 신도시, 서울-세종 간 고속도로 등 공공공사의 조기 완공을 위한 건설투자 조기 집행 등을 통해 침체 늪에 빠진 우리 경제에 활력을 제공할 필요
내용 문의
박 훈 연구위원(044-287-3061)
엠바고
본 자료는 1월 3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방송, 통신은 1월 2일 (목) 11시 이후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세부 내용은 첨부된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산업연구원 (KIET)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테이블 제목
제목
새해 한국경제에 바란다(2025)
본문요약
내용 문의
엠바고
본 자료는 1월 2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방송, 통신은 1월 1일 (수) 11시 이후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세부 내용은 첨부된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산업연구원 (KIET)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테이블 제목
제목
국가별 XR 산업 동향 및 경쟁력 제고 방안
본문요약
XR 산업은 회복기에 들어선 가운데, 우리나라 XR 매출은 2022년 글로벌 시장의 2.6%에 불과하여 미미한 수준이며 이 가운데 디바이스 비중은 더 낮은 수준
XR 디바이스는 AI와의 결합 및 공간 컴퓨팅 등으로 기능이 확장되는 추세
한국 XR산업 경쟁력은 미·중·일과 비교해 디바이스·콘텐츠·플랫폼에서 열위이며, 기업은 미국이, 정책은 중국이 주도하는 추세
XR 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관련 실증사업 확대, 생태계 활성화, 인재 양성이 필요
내용 문의
김성진 전문연구원(044-287-3239)
심우중 전문연구원(044-287-3024)
김종기 선임연구위원(044-287-3061)
엠바고
본 자료는 12월 31일(화) 조간부터 보도하여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방송, 통신은 12월 30일 (월) 11시 이후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세부 내용은 첨부된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산업연구원 (KIET)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테이블 제목
제목
중국진출기업 경영환경 실태조사(2024년)
본문요약
산업연구원과 대한상공회의소 북경사무소, 중국한국상회가 공동으로 2024년 7월부터 9월까지 중국진출기업 대상 경영환경 실태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500개 기업이 응답
중국내 우리 기업의 원부자재 조달처는 중국 현지(68.6%)와 한국(21.1%)로 전년도 조사에 현지조달이 상승하였고, 판매처는 중국현지(35.3%), 중국내 한국기업(23.2%), 한국(21.7%)으로 전년대비 중국 현지 판매 비중 상승
전년대비 2024년 매출과 이익이 모두 증가할 것으로 응답한 비중이 증가하여 경영환경은 다소 개선되었으나 전망은 부정적으로 증가세는 제한적
2024년 하반기 현재 가동률은 경기회복에도 소비 부진 등으로 제조기업의 경우 60% 이상으로 응답한 기업의 비중이 43.8%에 불과하고, 5년 후의 전망에 대해서는 49.2%가 현상유지, 24.6%는 사업축소, 13.8%는 사업확대로 응답
중국진출 우리 기업의 42.2%가 핵심기술자산의 유출이나 유출 위험을 경험하여 핵실기술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 필요
전반적으로 중국의 대내환경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하는 비중은 53.8%였으며, 중국의 수요시장 변화와 정부의 규제정책, 생산비용 상승이 부담으로 작용
가장 민감한 글로벌 대외환경으로는 한반도 이슈, 미·중 분쟁, 지정학적 위기 순이었으며, 향후에도 미·중 분쟁과 비대면 생활패턴 변화가 중요한 대외환경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환율변화의 영향도 증가
미중 분쟁 격화와 핵심기술 자산 유출 위협 등 내외부 경영환경 악화에 대응하여 양국 정책협의 채널 강화 및 현지 진출 기업에 대한 직접 지원 정책 강화 등 종합적 전략 마련이 필요
내용 문의
김동수 선임연구위원 (044-287-3102)
김재덕 연구위원(북경지원장) (+86-10-8237-8633)
대한상공회의소 북경사무소 원윤재 소장 (+86-10-8453-9755)
중국한국상회 이유신 차장 (+86-10-8453-9756)
엠바2
본 자료는 12월 30일(월) 조간부터 보도하여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방송, 통신은 12월 29일 (일) 11시 이후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세부 내용은 첨부된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산업연구원 (KIET)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테이블 제목
제목
산업연구원 인사발령사항(250101)
본문요약
내용 문의
손미영 책임전문원 (044-287-3098)
엠바고
본 자료는 배포 즉시 보도하여주시기 바랍니다.
* 세부 내용은 첨부된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산업연구원 (KIET)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테이블 제목
제목
트럼프 보편관세의 효과 분석
본문요약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으로 보호무역주의 기조 확대 가능성 상승
미국이 중국에 대한 수입관세를 60%, 그 외 국가들에 10~25% 부과하는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이에 대한 효과를 추정
* 미국이 진영논리 및 자국우선주의 정책 강화에 따른 시나리오를 구성, 우선순위는 미국→미국을 제외한 북미→FTA 체결국→중국을 제외한 그 외 국가→중국순으로 차등 적용
추정 결과, 對美 수출 △9.3%~△13.1%, 부가가치 △0.34%~△0.46% 감소
트럼프 2.0의 보호무역주의 기조 강화에 따라 외교적 대응 및 투자 유출 측면에서의 대응 방안이 강구될 필요
내용 문의
김정현 전문연구원(044-287-3918)
김현석 부연구위원(044-287-3670)
박성근 연구위원(044-287-3172)
엠바고
본 자료는 12월 27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방송, 통신은 11월 26일 (목) 11시 이후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세부 내용은 첨부된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산업연구원 (KIET)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테이블 제목
제목
산업경기 전문가 서베이조사결과(`24년 12월 현황과 `25년 1월 전망)
본문요약
12월 제조업 현황: 업황(81) 연중 최저치로 하락, 내수(80)·수출(87) 100 하회 전환
1월 제조업 전망: 업황(75) 기준치 큰 폭 하회, 내수(74)·수출(76) 3개월 연속 하락세
업종 유형별 업황: 12월 현황은 ICT·소재부문 100 하회 유지, 기계부문 3개월 만에 100 하회, 1월 전망은 ICT·소재부문 100 상당폭 하회, 기계부문 큰 폭 하락
세부 업종별 업황: 12월 현황은 조선 제외한 대부분 업종 100 하회, 바이오/헬스․철강․화학․기계 등 큰 폭 하락, 1월 전망도 디스플레이․가전 제외한 다수 업종 급락
내용 문의
민성환 선임연구위원(044-287-3127)
엠바고
본 자료는 12월 23일(월) 조간부터 보도하여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방송, 통신은 12월 22일 (일) 11시 이후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세부 내용은 첨부된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산업연구원 (KIET)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테이블 제목
제목
제5차 미래전략 컨퍼런스
본문요약
○ 일시 : 2024.12.11.( 수 ), 09:30-17:00
○ 장소 : 웨스틴 조선 서울 오키드룸
○ 주최 및 주관 : 기획재정부 , 산업연구원
내용 문의
송명구 연구위원(044-287-3199)
엠바고
본 자료는 12월 12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방송, 통신은 12월 11일 (수) 17시 이후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세부 내용은 첨부된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