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t 산업연구원 kiet 산업연구원

SITEMAP

NEWSLETTER 구독신청
전망

2023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


· 2023년 국내경제 : 연간 성장률 1.4% 전망
· 2023년 하반기 13대 주력산업 수출 : 경기 회복세 제약으로 전년동기비 4.3% 감소 전망
· 2023년 하반기 13대 주력산업 내수 : 수요산업 부진·소비심리 위축으로 다수 산업에서 회복 지연

슬라이드배너_2023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
정기간행물

월간 KIET 산업경제 5월호


· 제2차 세계화의 종언과 한국경제
· 의료데이터의 활용과 정책 시사점
· 대만 산업경쟁력의 재조명
· 특허데이터에 기반한 사업전환 방향 연구: 디스플레이·자동차산업을 대상으로
· 혁신역량에 따른 중소·중견기업 지원 기준에 대한 연구
· 섬유패션산업의 공급망 매핑과 디지털전환

슬라이드배너_월간 KIET 산업경제 5월호
보도자료

제2차 세계화의 종언과 한국경제


· 제2차 세계화, 금융위기 이후 종료된 것으로 판단
· 세계교역 둔화로 한국의 수출주도형 성장도 종료
· 미중 갈등 심화로 향후 교역환경 더욱 악화 가능성
· 교역환경 악화를 막기 위한 국제 공조 노력 필요
· 민간소비와 수출이 동반 견인하는 성장체제로 전환

슬라이드배너_제2차 세계화의 종언과 한국경제
학술지 『산업연구』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산업연구』

제7권 제2호 논문모집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산하 정부출연 경제연구 기관인 산업연구원(KIET)에서는 우리나라의 경제·산업정책 수립에 기여할 창의적인 이론 및 실증 연구물의 생산을 장려하고 경제학 제 분야의 학술활동 촉진을 도모하고자 한국연구재단(KCI) 등재 학술지 『산업연구(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 Trade)』를 연2회 발간하고 있습니다. 이에 『산업연구』제7권 제2호에 수록할 논문을 모집하오니 많은 관심가 투고 바랍니다.

슬라이드배너_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산업연구』
i-KIET 산업경제이슈

탄소중립 산업전환을 위한 열분해 기술 활용과 정책과제


· 최근 글로벌 화학기업을 중심으로 고부가가치 창출과 지속가능한발전 전략으로 열분해 기술 투자 및 활용이 확대되는 추세
· 국내 열분해 기술 경쟁력 강화, 사업화 및 신산업화를 위해서는 재정 투입, 폐자원 공급망 확보 등 선결과제 해결 노력이 필요

슬라이드배너_탄소중립 산업전환을 위한 열분해 기술 활용과 정책과제
슬라이드배너_2023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

2023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

· 2023년 국내경제 : 연간 성장률 1.4% 전망
· 2023년 하반기 13대 주력산업 수출 : 경기 회복세 제약으로 전년동기비 4.3% 감소 전망
· 2023년 하반기 13대 주력산업 내수 : 수요산업 부진·소비심리 위축으로 다수 산업에서 회복 지연

슬라이드배너_월간 KIET 산업경제 5월호

월간 KIET 산업경제 5월호

· 제2차 세계화의 종언과 한국경제
· 의료데이터의 활용과 정책 시사점
· 대만 산업경쟁력의 재조명
· 특허데이터에 기반한 사업전환 방향 연구: 디스플레이·자동차산업을 대상으로
· 혁신역량에 따른 중소·중견기업 지원 기준에 대한 연구
· 섬유패션산업의 공급망 매핑과 디지털전환

슬라이드배너_제2차 세계화의 종언과 한국경제

제2차 세계화의 종언과 한국경제

· 제2차 세계화, 금융위기 이후 종료된 것으로 판단
· 세계교역 둔화로 한국의 수출주도형 성장도 종료
· 미중 갈등 심화로 향후 교역환경 더욱 악화 가능성
· 교역환경 악화를 막기 위한 국제 공조 노력 필요
· 민간소비와 수출이 동반 견인하는 성장체제로 전환

슬라이드배너_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산업연구』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산업연구』

제7권 제2호 논문모집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산하 정부출연 경제연구 기관인 산업연구원(KIET)에서는 우리나라의 경제·산업정책 수립에 기여할 창의적인 이론 및 실증 연구물의 생산을 장려하고 경제학 제 분야의 학술활동 촉진을 도모하고자 한국연구재단(KCI) 등재 학술지 『산업연구(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 Trade)』를 연2회 발간하고 있습니다. 이에 『산업연구』제7권 제2호에 수록할 논문을 모집하오니 많은 관심가 투고 바랍니다.

슬라이드배너_탄소중립 산업전환을 위한 열분해 기술 활용과 정책과제

탄소중립 산업전환을 위한 열분해 기술 활용과 정책과제

· 최근 글로벌 화학기업을 중심으로 고부가가치 창출과 지속가능한발전 전략으로 열분해 기술 투자 및 활용이 확대되는 추세
· 국내 열분해 기술 경쟁력 강화, 사업화 및 신산업화를 위해서는 재정 투입, 폐자원 공급망 확보 등 선결과제 해결 노력이 필요

최신 발간물

발간물_2023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
KIET 경제·산업 전망

2023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

발간물_[특집] 제2차 세계화의 종언과 한국경제
KIET 산업경제

[특집] 제2차 세계화의 종언과 한국경제

발간물_일본의 대인도-아세안 산업협력 및 국제무역 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이슈페이퍼

일본의 대인도-아세안 산업협력 및 국제무역 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발간물_휴대폰·가전 분야 동아시아 진출기업  공급망 연구
연구보고서

휴대폰·가전 분야 동아시아 진출기업 공급망 연구

발간물_한국 산업의 혁신투자 연구
연구보고서

한국 산업의 혁신투자 연구

발간물_미래전략산업 브리프 제30호
미래전략산업브리프

미래전략산업 브리프 제30호

발간물_국방상호조달협정(RDP-MOU)이 방산교역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과 시사점
이슈페이퍼

국방상호조달협정(RDP-MOU)이 방산교역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과 시사점

발간물_디지털 전환 시대의 새로운 산업입지 전략 연구
연구보고서

디지털 전환 시대의 새로운 산업입지 전략 연구

발간물_대인도 산업별 직접투자 현황 및 한국에 대한 시사점
이슈페이퍼

대인도 산업별 직접투자 현황 및 한국에 대한 시사점

발간물_넥스트노멀 시대 중견기업 글로벌화 전략 및 정책과제
연구보고서

넥스트노멀 시대 중견기업 글로벌화 전략 및 정책과제

발간물_중소기업의 개방혁신 실태와 정책과제
연구보고서

중소기업의 개방혁신 실태와 정책과제

발간물_[특집] 우리나라 인플레이션의 특징과 시사점
KIET 산업경제

[특집] 우리나라 인플레이션의 특징과 시사점

발간물_경제패권경쟁시대 전략적 자율성을 위한 산업통상 전략
연구보고서

경제패권경쟁시대 전략적 자율성을 위한 산업통상 전략

발간물_코로나19 이후 생산 및 고용 충격과 기업구조조정 연구
연구보고서

코로나19 이후 생산 및 고용 충격과 기업구조조정 연구

발간물_미래전략산업 브리프 제27호
미래전략산업브리프

미래전략산업 브리프 제27호

발간물_기업의 서비스화가 생산성 혁신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과제
연구자료

기업의 서비스화가 생산성 혁신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과제

발간물_[산업 포커스] 반도체산업의 가치사슬별 경쟁력 진단과 정책방향
KIET 산업경제

[산업 포커스] 반도체산업의 가치사슬별 경쟁력 진단과 정책방향

발간물_한ㆍ중 분업 및 경쟁구조 변화 전망과 우리 산업의 발전 방향
연구보고서

한ㆍ중 분업 및 경쟁구조 변화 전망과 우리 산업의 발전 방향

주요 연구분야 산업연구원에서 수행중인 주요 연구분야별 자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지사항

채용

세미나

미디어룸

산업연구원의 뉴스와 다양한 스토리를 전합니다.

영상보고서

언론보도

언론보도_2023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
언론보도_제2차 세계화의 종언과 한국경제
언론보도_산업경기 전문가 서베이조사결과(`23년 5월 현황과 6월 전망)
언론보도_탄소중립 산업전환을 위한 열분해 기술 활용과 정책과제
언론보도_산업경기 전문가 서베이조사결과(`23년 4월 현황과 5월 전망)

카드뉴스

카드뉴스_제2차 세계화의 종언과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카드뉴스_산업경기 전문가 서베이조사결과 - 2023년 5월 현황 및 6월 전망
카드뉴스_탄소중립 산업전환을 위한 열분해 기술 활용과 정책과제
카드뉴스_중국 진출 한국기업 경기실태조사(BSI) 결과 - 23년 1분기 현황과 2분기 전망
카드뉴스_중국 양회로 살펴본 중국 경제 산업정책 키워드
카드뉴스_제2차 세계화의 종언과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카드뉴스_산업경기 전문가 서베이조사결과 - 2023년 5월 현황 및 6월 전망
카드뉴스_탄소중립 산업전환을 위한 열분해 기술 활용과 정책과제
카드뉴스_중국 진출 한국기업 경기실태조사(BSI) 결과 - 23년 1분기 현황과 2분기 전망
카드뉴스_중국 양회로 살펴본 중국 경제 산업정책 키워드
KIET 이메일 주소 확인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IET 만족도 조사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IET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live

KTV생방송 대한민국, 뉴노멀 시대 서비스산업 정책 과제는?

주관 : 산업연구원

연구진 소개

  • 학력
    • Osaka Prefecture University (Ph.D)
    경력
    • 2021.06 - 현 재 제22대 산업연구원 원장
    • 2017.10 - 2019.05 대통령비서실 중소기업비서관/중소벤처비서관 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
    • 2015.04 - 2017.10 한국중소기업학회 부회장
    • 2015.03 - 2017.02 한국산업조직학회 감사
    • 2009.03 - 2017.10 한국동북아경제학회 이사
보고서
접수완료

연구과제 제안이 접수되었습니다.

접수완료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세미나 팝업_세미나
팝업_유튜브 영상

요약 보기

월간 KIET 산업경제 코로나19 발생 이후 제조업 고용 변화: 중간 점검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부분의 고용 관심사가 항공 및 여행서비스, 음식·숙박 서비스 등 주로 서비스 업종에 집중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제조업의 고용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코로나19 직후 2020년 상반기에 약간 하락하였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하여도 일본과 함께 고용 충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용 성적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내 특성 별로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종사상 지위 별로 보면, 임시·일용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서 고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상용직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큰 충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의 경우 코로나 발생 초기 약간의 충격 이후 고용이 빠르게 반등하면서 코로나 이전보다 고용이 더 증가한 반면, 이보다 작은 규모의 제조업체들의 경우 고용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의 중장기,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 발생 이전 3년간의 추세선을 2020년 1월부터 연장한 선과, 2020년 1월부터의 실제 자료를 이용한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의약품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시작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컴퓨터, 기타운송장비, 가구는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고용 추세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다수 업종은 코로나 발생 이후 고용이 하락하였는데, 특히, 비금속광물, 1차금속, 금속가공 분야나 인쇄·기록매체 업종에서 하락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KIET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inform@kiet.re.kr
KiET 직원 정보 확인
감 사

이름 : 최상명

전화번호 : 044-287-3811

KIET 직원 정보 확인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비밀번호 확인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