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부파일 검색 결과 (75건)
... 시장 구조의 변화 전망과 공급망 영향 3. EV용 이차전지 시장 구조와 전망 (1) 이차전지 시장 구조 (2) 이차전지 시장 전망 (3) 배터리산업의 비즈니스 모델과 공급망 재편 영향 4. 공급망 재편 전망 (1) 기술 격차, 시장 분할을 축으로 하는 시나리오 분석틀 (2) 시나리오별 공급망 재편 방향 제5장 정책적 시사점과 대응 방향 1. GVC 재편의 이해 (1) 공급망 디커플링이 아니라 구조 재편 2. 부분적ㆍ선별적 디커플링과 산업 아키텍처의 지정학 (1) 부분적ㆍ선별적 디커플링 (2) 산업 아키텍처 지정학 (3) 산업의 얄타체제, 산업 군비 경쟁 3. 대응 방향 (1) 한국 산업의 딜레마와 대응 (2) 한국 산업의 리포지셔닝과 인-태 지역 복제 (3) 시장 접근의 새로운 전략으로 보호주의 ...
요약 제1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1) 인도-아세안 지역의 산업협력 및 공급망 안정화 측면에서의 중요성 부각 (2) 일본의 인도-태평양 전략/구상 및 해당 지역에 대한 산업협력 2. 연구의 목적 제2장 일본의 최근 대인도 및 아세안 산업협력 정책 1. 일본의 최근 대인도 산업협력 2. 일본의 최근 대아세안 산업협력 및 진출 정책 제3장 일본의 최근 대인도 및 아세안 국제무역 구조의 변화 1. 상품 수출입 구조의 변화 (1) 인도 (2) 아세안 2. GVC 참여 구조의 변화 제4장 기업 단위 실증 사례 분석: 베트남 진출 일본계 기업을 중심으로 1. 분석 데이터 2. 분석 결과 제5장 결론 1. 주요 연구 결과 2.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머리말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세계 무역질서의 전환 (2) 세계 무역구조의 전환 (3) 디지털 통상전략 필요성 강화 2. 연구의 목적 제2장 디지털 전환의 현황과 전망 1. 디지털 전환의 정의 2. 디지털 전환 현황 및 전망 (1) 디지털 기술의 활용을 위한 물리적 토대 (2) 디지털 기술 분야의 발전 3. 산업의 디지털 전환 현황 및 전망 (1) 제조업 (2) 서비스업 4. 무역의 디지털 전환 현황 및 전망 (1) 디지털 무역의 정의 (2) 디지털 전환에 따른 디지털 무역의 변화 제3장 글로벌 디지털 통상규범과 영향 1. 주요 디지털 통상협정과 통상규범 (1) WTO에서의 디지털 통상규범 논의 (2) 미국 주도 FTA 및 디지털 무역협정...
... 브랜드 3.8.6. IMD 국가경쟁력 3.8.7. 주요국별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WTO 기준) 3.8.8. 주요국별 세계 수입시장 점유율(WTO 기준) 3.8.9. 주요국별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UN 기준) 3.8.10. 주요국별 세계 수입시장 점유율(UN 기준) 3.8.11. 주요국별 부가가치 노동생산성 증감률 산업통계 플러스 글로벌 가치사슬(GVC) 참여율 국제 비교 1. 글로벌 가치사슬(GVC) 소개 2. 전산업 글로벌 가치사슬 참여율 국제 비교 3. 업종별 글로벌 가치사슬 참여율 국제 비교 2.1. 글로벌 가치사슬 참여 수준 2.2. 주요국의 글로벌 가치사슬 참여 수준 추이 2.3. 전방연계 글로벌 가치사슬 참여 수준 2.4. 후방연계 글로벌 가치사슬 참여 수준 3.1. 업종별 전세계 글로벌 ...
머리말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구성 제2장 동아시아 GVC 지형의 변화 1. 동아시아 GVC 지형의 형성과 변화 (1) 동아시아 FDI의 지역별 구조의 변화 2. 동아시아 GVC 구조개편 (1) 공급망 재편의 동인과 방향 (2) 미ㆍ중의 공급망 재편 전략 1) 미ㆍ중의 공급망 재편 전략 2) 공급망 재편 효과 (3) 중국 성장모델 전환의 동아시아 공급망 재편 효과 1) 중국 성장모델의 전환 2) 공급망 재편 효과 3. 공급망 재편의 동아시아 GVC 참여형 산업발전에 대한 함의 (1) FDI 주도 GVC 참여형 산업발전 경로 1) 동아시아에서 GVC 참여형 산업발전 경로의 역사적 기원 2) 동아시아 GVC 재편의 경제발전 전략에 대한 ...
... for Industry and Trade(VIOIT) 국문명 베트남 산업무역전략 정책연구원 설립년도 2017.08 소재지 베트남 하노이(본부), 호치민(지부) 기관성격 베트남 산업무역부 산하 연구기관 대표자 Dr. Nguyen Van Hoi(General Director) MOU 주요내용 ○ 연구협력 - 경제발전 및 산업개발을 위한 한국-베트남 양자협력 관련 - 탄소중립, 경제발전 경험공유, GVC, 무역 등 주요 경제 및 산업 안건 관련 - 상호 간 연구 지원 및 성과 공유 ○ 교류협력 - 학술정보 및 발간물 교류 - 연구인력 교류 - 공동 워크샵 및 회의 개최 - 양국 관련기관들과의 협력기회 제공 협조 ○ 기타 - 체결기간:3년(별도 의사표시가 없을 경우 자동연장)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연구과제 제안이 접수되었습니다.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부분의 고용 관심사가 항공 및 여행서비스, 음식·숙박 서비스 등 주로 서비스 업종에 집중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제조업의 고용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코로나19 직후 2020년 상반기에 약간 하락하였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하여도 일본과 함께 고용 충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용 성적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내 특성 별로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종사상 지위 별로 보면, 임시·일용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서 고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상용직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큰 충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의 경우 코로나 발생 초기 약간의 충격 이후 고용이 빠르게 반등하면서 코로나 이전보다 고용이 더 증가한 반면, 이보다 작은 규모의 제조업체들의 경우 고용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의 중장기,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 발생 이전 3년간의 추세선을 2020년 1월부터 연장한 선과, 2020년 1월부터의 실제 자료를 이용한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의약품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시작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컴퓨터, 기타운송장비, 가구는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고용 추세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다수 업종은 코로나 발생 이후 고용이 하락하였는데, 특히, 비금속광물, 1차금속, 금속가공 분야나 인쇄·기록매체 업종에서 하락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inform@kiet.re.kr이름 : 최상명
전화번호 : 044-287-3811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전지적키에트시점] (Eng sub)심상치 않은
국내 대기업 움직임??
KIET 시점에서 보는 미래 로봇 산업 전망은
어떨까요?
경제전문가가 알려드립니다!
(산업연구원 박상수 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