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t 산업연구원 kiet 산업연구원

SITEMAP

NEWSLETTER 구독신청

연구보고서

당해 연도의 연구 방향 및 중점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수행하는 연구원의 대표 보고서

표지
한국과 짐바브웨의 지속가능한 산업발전 방향 - Directions for Inclusive and Sustainable Industrial Development in Zimbabwe and the Republic of Korea 원문 미리보기원문 다운로드 2022.01.31

# Industrial development # Inclusive and Sustainable Industrial Development # Zimbabwe # Korea # UNIDO
EXECUTIVE SUMMARY 

Ⅰ. INTRODUCTION 

1.1.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report 
1.2. Bilateral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Zimbabwe 
1.3. The structure of the report

Ⅱ. A SYSTEMATIC APPROACH TO ACHIEVE INCLUSIVE AND SUSTAINABLE INDUSTRIAL DEVELOPMENT (ISID) 

2.1. Why Inclusive and Sustainable Industrial Development (ISID)?
2.2. Factors for achieving ISID
2.3. Strategic considerations for ISID 

Ⅲ. HISTORICAL TRENDS OF INDUSTRIAL DEVELOPMENT AND CHALLENGES IN ZIMBABWE 

3.1. Macro-economic development and performance in Zimbabwe 
3.2. Industrial structure in Zimbabwe: Trends and current status of the national industrial structure 
3.3. Major issues and challenges

Ⅳ. KEY STRATEGY OF THE INDUSTRIAL POLICIES PURSUED BY THE ZIMBABWEAN GOVERNMENT

4.1.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NDS1) 
4.2. Zimbabwe National Industrial Development Policy (ZNIDP): 2019-2023 
4.3. Conclusions 

Ⅴ. EVALUATION OF INDUSTRIALIZATION PROCESS OF THE REPUBLIC OF KOREA 

5.1 Trends and current status of industrialization: Korea’s industrialization process 
5.2. Addressing industrial take-off and the middle income trap: 1970-2000 

Ⅵ. RECOMMENDATIONS AND SUGGESTIONS FOR ISID 

6.1. Summary and policy issues 
6.2.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ISID in Korea and Zimbabwe 
6.3. Promising areas of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Zimbabwe 

References 

요약 
산업화는 개발도상국 경제성장의 핵심 요인이다. 이러한 산업화가 최근 당면하는 기후변화, 전염병 등의 글로벌 도전과제는 과거보다 더 심각하고 복잡하여, 이들을 해결하고 글로벌 상호연결을 강화하기 위해 2030 지속가능발전 의제 및 지속가능발전목표(SDG)가 채택됐다. 유엔산업개발기구(UNIDO)의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산업발전(ISID)’이 산업화를 위한 중요한 패러다임이 된 것도 이런 상황 변화를 반영한 것이다.
산업화는 아프리카 국가들의 경제 전환, 경쟁력 강화, 일자리 창출을 위해 필수적이다. 역사적으로, 농업 활동과 자원 추출·채굴에서 보다 다양하고 생산적인 산업으로의 구조 전환을 실현한 경제는 번영을 증대할 수 있었다. 짐바브웨 정부는 경제개혁과 산업구조 조정, 국제투자 유치에 대한 의지를 강조해 왔고, 2019년부터는 국내외 투자자들에게 경제를 개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한국과 짐바브웨의 장기적인 협력을 위한 의제를 설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보고서는 양국이 택한 경제발전 경로를 비교·분석하고, 양국의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산업발전을 위한 구조적 변화 패턴을 파악하는 한편, 상호 협력이 가능한 영역을 탐색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보고서는 한국과 짐바브웨의 경제발전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의 산업연구원(KIET)과 유엔산업개발기구(UNIDO)가 공동 연구한 결과다. 이번 협업은 2015년 양 기관 간 학술정보 교류, 공동연구 및 세미나 개최, 연구인력 교류 등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해 구축한 기존의 협력 기반에서 비롯됐다.

보고서는 우선 개발도상국은 물론 선진국이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할 효과적인 목표로 파악된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산업발전(ISID)의 주요 개념과 의의를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ISID의 개념은 (i) 공동 번영 창출, (ii) 경제 경쟁력 강화, (iii) 환경보호, (iv) 지식 및 제도 강화의 네 가지 주요 활동 분야로 구성된다.
보고서는 ISID의 개념을 바탕으로 1970년 이후 짐바브웨가 직면한 거시경제 발전과 성과, 산업구조, 기타 주요 이슈 등 산업발전의 전반적인 역사적 동향과 해결과제를 소개하며, 국가발전전략 1(NDS1)과 짐바브웨 국가산업발전정책(ZNIDP)과 같은 짐바브웨 정부의 산업정책의 핵심 전략을 요약한다. 이에 따르면, 1980년대 이후 짐바브웨의 산업·경제 여건은 장기 독재와 서방의 제재 등 정치·금융 문제로 악화하였다. 현재 짐바브웨는 농업과 자원 수출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제조업 개발 수준은 낮다. 짐바브웨 경제는 주요 외화 수입원이었던 대규모 수출 플랜트 농업의 붕괴로 큰 타격을 입었으며, 국제적 고립, 급격한 인플레이션,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한 외화 부족으로 인하여 짐바브웨의 국가경제 발전은 더욱 저해되었다.

 
보도 자료

동일 주제 보고서

KIET Industrial Economic Review
# Korean Economic and Industrial Outlook for th
2023.06.30
KIET Industrial Economic Review
# Korean Economic and Industrial Outlook for 2023
성장동력산업연구본부 ,동향.통계분석본부 2023.02.28
KIET Industrial Economic Review
# Korean Economic # Industrial Outlook
Economic Outlook and Analysis Division 2022.08.31
연구보고서 한국 지역정책의 새로운 도전 - 효율과 형평의 동태적 조화 -
# Korean regional policy # Efficiency and equity effect of regional policy # regional innovation # R&D # human resources # social overhead capital # governance system # inter-regional fiscal transfer
서정해,장재홍,송하율,정준호 2012.12.24
KIET Industrial Economic Review
# Korean Economic and Industrial Outlook for th
2023.06.30
KIET Industrial Economic Review
# Korean Economic and Industrial Outlook for 2023
성장동력산업연구본부 ,동향.통계분석본부 2023.02.28
KIET Industrial Economic Review
# Korean Economic # Industrial Outlook
Economic Outlook and Analysis Division 2022.08.31
목록
공공누리

산업연구원의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KIET 이메일 주소 확인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IET 만족도 조사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IET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live

KTV생방송 대한민국, 뉴노멀 시대 서비스산업 정책 과제는?

주관 : 산업연구원

연구진 소개

  • 학력
    • Osaka Prefecture University (Ph.D)
    경력
    • 2021.06 - 현 재 제22대 산업연구원 원장
    • 2017.10 - 2019.05 대통령비서실 중소기업비서관/중소벤처비서관 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
    • 2015.04 - 2017.10 한국중소기업학회 부회장
    • 2015.03 - 2017.02 한국산업조직학회 감사
    • 2009.03 - 2017.10 한국동북아경제학회 이사
보고서
접수완료

연구과제 제안이 접수되었습니다.

접수완료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세미나 팝업_세미나
팝업_유튜브 영상

요약 보기

월간 KIET 산업경제 코로나19 발생 이후 제조업 고용 변화: 중간 점검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부분의 고용 관심사가 항공 및 여행서비스, 음식·숙박 서비스 등 주로 서비스 업종에 집중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제조업의 고용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코로나19 직후 2020년 상반기에 약간 하락하였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하여도 일본과 함께 고용 충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용 성적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내 특성 별로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종사상 지위 별로 보면, 임시·일용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서 고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상용직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큰 충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의 경우 코로나 발생 초기 약간의 충격 이후 고용이 빠르게 반등하면서 코로나 이전보다 고용이 더 증가한 반면, 이보다 작은 규모의 제조업체들의 경우 고용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의 중장기,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 발생 이전 3년간의 추세선을 2020년 1월부터 연장한 선과, 2020년 1월부터의 실제 자료를 이용한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의약품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시작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컴퓨터, 기타운송장비, 가구는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고용 추세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다수 업종은 코로나 발생 이후 고용이 하락하였는데, 특히, 비금속광물, 1차금속, 금속가공 분야나 인쇄·기록매체 업종에서 하락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KIET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inform@kiet.re.kr
KiET 직원 정보 확인
감 사

이름 : 최상명

전화번호 : 044-287-3811

KIET 직원 정보 확인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비밀번호 확인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KIET 홍보동영상

[전지적키에트시점] (Eng sub)심상치 않은
국내 대기업 움직임??
KIET 시점에서 보는 미래 로봇 산업 전망은
어떨까요?
경제전문가가 알려드립니다!
(산업연구원 박상수 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