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검색 결과 (11건)
ㆍDevelopment Factors and the Policy for Activating Industrial Innovation Clusters in Regions ㆍ A Study on the Dynamics and Competitiveness of Export Structure in Korea ㆍ A Study on the Economic Reform in North Korea under Kim Jong Un: Focusing on the “Our Style of Economic Management” ㆍ Policy Direction for Strengthening Innovation Capacity of Korean Service Firms ㆍ Analysis of Sustainable ...
... at Small-scale Enterprises · Developing Mid-Long Term Forecast Models Using Determinants of Exports in Korea: Approaching by Countries · Revitalizing the Renewable Energy Industry with a Follow-up ... with Blended Finance for Major Social and Economic Sectors · Enhancing the Efficiency of SME Export Policies in the Changing Global Market · A Study on the Issues and Solutions of Oversupply Crisis ...
... future ambitions for industrial transformation. To do so, we examine Korea’s participation in two major industrial sectors: electronics and shipbuilding. Together, these two industries comprise 30% of exports, account for over half a million semi- and skilled jobs and a substantial share of the country’s R&D spending. They provide two distinct perspectives for Korea’s participation in GVCs. On one ...
○ 2013년 12월 우리나라 방위산업 수출 유망국 중 하나인 이라크 에 FA-50 경공격기의 수출계약이 성공함으로써 사우디아리비아, UAE 등 중동 지역이 새로운' 방산수출의 블루 오션(Blue Ocean of Arms Exports)'으로 주목받고 있음. ○ 특히, 이라크는 2011년 미군 철수 이후 무기구매 및 보안관련 예산 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우리나라의 방위산업 수출을 확대할 수 있는 매력적인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어 이에 대한 심층 연구가 긴 요한 실정임. ○ 본 연구는 정부의 적극적인' 방위산업의 수출산업화' 정책에 따라 최근 수출시장 진입에 성공한 중동의 이라크 방산시장 구조를 분 석하고, 국내 주요 방산제품의 연계 가능성을 검토한“ 방산수출 추 진전략” 제시를 목적으로 ...
2013 Summary of Research Papers
The Republic of Korea became the first country after WWII to have transformed itself from a recipient to a donor country when it joined the OECD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DAC) in 2010. Korean ODA reached 1.3 billion U.S. dollars in 2011, 0.12% of the nation’s GNI. Although the contribution level is still lower than international standards, it has expanded rapidly and is expected to k...
After the global economic crisis, the business environment has been changing rapidly. A few examples are the enhancement of Korea and China’s economic positions in North-East Asia, the facilitation of material technology innovation and the narrowing of the technological gap.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indepth analysis on changes in industrial specialization structure among...
세계 교역환경의 급속한 변화와 시장 불확실성의 증대로 수출의 안정 성장을 위한 전략으로서 수출다각화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시점이다. 수출다각화(export diversification)는 수출품목이나 수출지역의 다원화 과정을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후진국들이 경제개발 과정에서 수출활동을 진작 시키기 위해 활용하는 전략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는 세계 교역환경의 불확실성이 크게 확대 되면서 수출성장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수출다각화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대외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는 경제 전체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수출의 안정성 제고와 지속 적인 수출 성장을 위해서도 수출다각화에 대한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수출다각화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 수출이 지향해야 하는 ...
2011 Summary of Research Papers
Export diversification is becoming an important strategy for achieving steady export growth due to the drastic changes in the trade environment and the increase in market uncertainty worldwide. Export diversification is the process of multiplying the number of export products or regions. Conventionally, it was used to boost the export activities of an underdeveloped country, as part of its economic ...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연구과제 제안이 접수되었습니다.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부분의 고용 관심사가 항공 및 여행서비스, 음식·숙박 서비스 등 주로 서비스 업종에 집중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제조업의 고용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코로나19 직후 2020년 상반기에 약간 하락하였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하여도 일본과 함께 고용 충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용 성적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내 특성 별로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종사상 지위 별로 보면, 임시·일용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서 고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상용직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큰 충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의 경우 코로나 발생 초기 약간의 충격 이후 고용이 빠르게 반등하면서 코로나 이전보다 고용이 더 증가한 반면, 이보다 작은 규모의 제조업체들의 경우 고용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의 중장기,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 발생 이전 3년간의 추세선을 2020년 1월부터 연장한 선과, 2020년 1월부터의 실제 자료를 이용한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의약품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시작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컴퓨터, 기타운송장비, 가구는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고용 추세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다수 업종은 코로나 발생 이후 고용이 하락하였는데, 특히, 비금속광물, 1차금속, 금속가공 분야나 인쇄·기록매체 업종에서 하락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inform@kiet.re.kr이름 : 최상명
전화번호 : 044-287-3811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전지적키에트시점] (Eng sub)심상치 않은
국내 대기업 움직임??
KIET 시점에서 보는 미래 로봇 산업 전망은
어떨까요?
경제전문가가 알려드립니다!
(산업연구원 박상수 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