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검색 결과 (328건)
실물경제 주요지표 & KIET 업종별 경기지수
실물경제 주요 지표 & KIET 업종별 경기지수
실물경제 주요 지표 & KIET 업종별 경기지수
동향 검색 결과 (861건)
산업연구원(KIET, 원장 권남훈)은 9일(수) 대전 토지주택연구원에서 LH토지주택연구원(원장 정창무)와 「산업․공간 융복합 전략 및 국가균형발전」 연구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정부 핵심 공약*으로 제시된 ‘공간과 연계한 지역 전략산업 육성’과 ‘5극, 3특(5대 초광역권, 3대 특별자치도) 중심 균형발전’을 적극 뒷받침하고자 마련됐다. 본 협약식에는 권남훈 산업연구원 원장, 정창무 LH 토지주택연구원 원장 등이 참석했다. * 정부는 10대 공약 중 하나로 국토균형발전을 제시하고, 이행방법으로 산단, 혁신도시, 경제자유구역과 연계한 지역전략산업 육성 및 지역투자 촉진등을 제시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 지역산업과 도시/지역의 융복합 ...
산업연구원(KIET)은 2025년 6월 26일(목) 오전 10시 30분부터 12시까지 국립부경대학교 경제학과 김혜진 교수를 초청해 ‘이민이 노동시장, 산업, 인력수급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정책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산업연구원 12층 대회의실에서 진행되었다. 이번 세미나는 KIET 지역경제연구 세미나 시리즈의 다섯 번째 강연으로, 연구진의 실증분석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경제 정책연구 아이디어를 발굴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특히 앞선 방법론 중심 세미나에 이어, 이번 강연에서는 이민자 유입 현황과 관련된 국내외 실증연구 문헌을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저출산·고령화·인구소멸 등 인구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지역경제 정책 개발의 실질적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1. 해외경제 (1) 미국경제 (2) 중국경제 (3) 유럽경제 (4) 일본경제 2. 국내경제 (1) 실질GDP (2) 체감지표 (3) 경기·건설 (4) 투자·수주 (5) 제조업생산 (6) 서비스업생산 (7) 소비지표 (8) 고용지표 (9) 물가지표 (10) 교역지표 (11) 수출입 3. 금융시장 (1) 환율·금리 (2) 유가·원자재 (국내외 주요 경제지표 발표 일정)
소통 검색 결과 (4766건)
산업연구원 (KIET)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테이블 제목 제목 산업연구원-LHRI 업무협약 및 정책포럼 개죄 본문요약 - 산업 ․ 공간 융복합 전략 및 국가균형발전 지원에 관한 업무협약 체결 - 국내 산업 특구 / 단지 및 기업 지방투자 활성화 모색 정책포럼 개최 내용 문의 황경인 대외협력실장[044-287-3081], 유아현 언론홍보담당(044-287-3166) 엠바고 본 자료는 배포 즉시 보도하여주시기 바랍니다. * 세부 내용은 첨부된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연구원소개 검색 결과 (16건)
... 영토의 균형을 꾀하고 지역 발전의 올바른 해법을 고민해 온 산업연구원 지역균형발전연구센터의 지난 20년 우리가 사는 공간의 형평을 위해 노력해 온 이 20년은 공간적 동물인 우리의 보다 나은 삶을 향한 도전의 시간이었습니다 1983년 9월 부산, 대구, 광주 등에 자리한 산업연구원 지원에 박사급 연구자들이 파견됩니다 우리나라 산업 발전의 이론적 토대를 뒷받침해온 KIET가 지역경제 현장에서도 목소리를 낼 필요가 있다는 소명의식에서 나온 조치였죠 요컨데 KIET는 지역경제에 문제의식을 가진 최초의 국책연구기관이었습니다 그래서 정책을 입안할 때 되면 지역적인 측면에서 상당한 애로점이 많이 있었습니다 그런 부분들을 저희 산업연구원이 지역 분원을 통해서 정보를 가져오고 분석을 함으로써 정책 수립에 굉장히 많은 기여를 했다는 게 일반적인 평가입니다 ...
... are connected to form regions, and when the regions expand, they become territory in the name of the country. Humans are 'Animals of space'. For the past 20 years, Center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of KIET has been trying to balance the terri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thinking about the right solution for regional development. The 20 years of our struggle to achieve equity in the space we live in has been ...
... people are from the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Originally established as the Korea Foundation for Middle East Studies in 1976, during a critical period of Korea's economic development, KIET has ever since diligently served as a national policy research institution dedicated to charting the best path forward for Korean industries and businesses. From the oil shocks of the 1970s, the foreign ...
연구진&연구분야 검색 결과 (1건)
첨부파일 검색 결과 (3220건)
... 천재지변과 같은 불가항력적인 사건으로 인해 기간의 변경 , 일시지체 등의 경우는예외 8. 계약의 주요내용을 명시하는 장소 - 조달청 나라장터 홈페이지 ( http://www.g2b.go.kr ) - 공공기관경영정보시스템 ( http://www.alio.go.kr ) - 산업연구원 홈페이지 ( http://www.kiet.re.kr/ ) 9. 협상 및 낙찰자 결정 : 2 인 이상 유효한 입찰로 제안서 평가결과 최적업체 선정 - 협상은 제안서 기술평가 (80%) 와 가격평가 (20%) 를 종합평가한 결과 고득점자 순으로 협상을 통하여 최종낙찰자 선정 ( 선 순위자와 협상 완료시 차 순위 업체와는 협상치 않음 ) - 우선 협상대상자와의 협상 결렬시 ...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연구과제 제안이 접수되었습니다.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부분의 고용 관심사가 항공 및 여행서비스, 음식·숙박 서비스 등 주로 서비스 업종에 집중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제조업의 고용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코로나19 직후 2020년 상반기에 약간 하락하였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하여도 일본과 함께 고용 충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용 성적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내 특성 별로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종사상 지위 별로 보면, 임시·일용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서 고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상용직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큰 충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의 경우 코로나 발생 초기 약간의 충격 이후 고용이 빠르게 반등하면서 코로나 이전보다 고용이 더 증가한 반면, 이보다 작은 규모의 제조업체들의 경우 고용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의 중장기,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 발생 이전 3년간의 추세선을 2020년 1월부터 연장한 선과, 2020년 1월부터의 실제 자료를 이용한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의약품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시작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컴퓨터, 기타운송장비, 가구는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고용 추세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다수 업종은 코로나 발생 이후 고용이 하락하였는데, 특히, 비금속광물, 1차금속, 금속가공 분야나 인쇄·기록매체 업종에서 하락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inform@kiet.re.kr이름 : 박홍서
전화번호 : 044-287-3811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전지적키에트시점] (Eng sub)심상치 않은
국내 대기업 움직임??
KIET 시점에서 보는 미래 로봇 산업 전망은
어떨까요?
경제전문가가 알려드립니다!
(산업연구원 박상수 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