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검색 결과 (2건)
철강의 원자재인 철광석의 가격 변동은 제조업의 경쟁력이나 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철광석의 수급과 관련된 거시변수와 금융지표, 원자재 가격 등 17개 변수를 사용하여 1개월부터 12개월 이후의 철광석 가격 변화를 예측하고 결정요인을 분석한다. 전통적인 주성분 분석과 다양한 머신러닝 모형을 out-of-sample forecast에 적용한 결과, 단기 예측에 있어 예측변수의 수를 직접 줄이는 주성분 분석과 랜덤포레스트나 엑스트라트리와 같은 앙상블 모형의 예측 성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개월 이후의 부호(sign) 예측도 랜덤포레스트와 엑스트라트리는 66%의 높은 정확도를 보였지만, 중장기 예측에는 변수축소 모형인 Elastic Net가 가장 적절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단기에는 금융지표를 ...
... · Growth Conditions and Development Strategies in Manufacturing-Service Convergence Industries · A Study on Corporate Restructuring at Small-scale Enterprises · Developing Mid-Long Term Forecast Models Using Determinants of Exports in Korea: Approaching by Countries · Revitalizing the Renewable Energy Industry with a Follow-up System · An Analysis of Demand Structure and Policy Effects in ...
소통 검색 결과 (17건)
... 차량이 판매되고 있어 미래 친환경 자동차에 대해 다양한 경로의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Akio Toyoda 회장은 배터리 전기차의 시장 점유율이 30%를 넘게 되면, 차량 선택은 규제나 정치적 힘이 아니라 시장과 소비자가 결정하게 될 것이고, 나머지 70%는 하이브리드차, 수소 동력차, 기존 내연기관차 등이 될 것이라 밝히고 있다(Toyota raises profit forecast as hybrid sales soar, FT,2024.02.06.).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 30%에 크게 미달하지만, 2022년 이미 10%를 넘어섰고, 2023년 15%를 상회하고 있다. 물론 배터리 전기차만 고려하면, 이보다 더 낮은 수준이다. 그러나 주요국을 중심으로 이미 전기차의 판매 비중이 20%를 넘고, 배터리 전기차만 하더라도 ...
첨부파일 검색 결과 (4건)
철강의 원자재인 철광석의 가격 변동은 제조업의 경쟁력이나 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철광석의 수급과 관련된 거시변수와 금융지표, 원자재 가격 등 17개 변수를 사용하여 1개월부터 12개월 이후의 철광석 가격 변화를 예측하고 결정요인을 분석한다. 전통적인 주성분 분석과 다양한 머신러닝 모형을 out-of-sample forecast에 적용한 결과, 단기 예측에 있어 예측변수의 수를 직접 줄이는 주성분 분석과 랜덤포레스트나 엑스트라트리와 같은 앙상블 모형의 예측 성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개월 이후의 부호(sign) 예측도 랜덤포레스트와 엑스트라트리는 66%의 높은 정확도를 보였지만, 중장기 예측에는 변수축소 모형인 Elastic Net가 가장 적절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단기에는 금융지표를 ...
author : Kang, Du Yong(Economic Survey and Forecasting Division) KIET recently performed the second business survey on the technology development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with support from th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This survey on the technology development is performed in every second year, and the first survey was two years ago. About 1,100 manufacturing firms answered...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연구과제 제안이 접수되었습니다.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부분의 고용 관심사가 항공 및 여행서비스, 음식·숙박 서비스 등 주로 서비스 업종에 집중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제조업의 고용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코로나19 직후 2020년 상반기에 약간 하락하였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하여도 일본과 함께 고용 충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용 성적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내 특성 별로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종사상 지위 별로 보면, 임시·일용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서 고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상용직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큰 충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의 경우 코로나 발생 초기 약간의 충격 이후 고용이 빠르게 반등하면서 코로나 이전보다 고용이 더 증가한 반면, 이보다 작은 규모의 제조업체들의 경우 고용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의 중장기,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 발생 이전 3년간의 추세선을 2020년 1월부터 연장한 선과, 2020년 1월부터의 실제 자료를 이용한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의약품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시작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컴퓨터, 기타운송장비, 가구는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고용 추세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다수 업종은 코로나 발생 이후 고용이 하락하였는데, 특히, 비금속광물, 1차금속, 금속가공 분야나 인쇄·기록매체 업종에서 하락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inform@kiet.re.kr이름 : 최상명
전화번호 : 044-287-3811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전지적키에트시점] (Eng sub)심상치 않은
국내 대기업 움직임??
KIET 시점에서 보는 미래 로봇 산업 전망은
어떨까요?
경제전문가가 알려드립니다!
(산업연구원 박상수 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