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검색 결과 (7건)
... Pricing Algorithms ㆍ The Evaluation and Challenges for Growth Capability of Korea’s Promising New Industry in the New Convergence Era ㆍ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of Industrial Competitiveness Spectra and ... Pollution: Focusing on Particulate Matters ㆍ A Study on the Structural Analysis and the Revitalization of Regional Innovative Infrastructure ㆍ The Impact of Changes in Manufacturing Wages on Productivity and Price
...zed one. Gross Domestic Product (GDP) has quadrupled since the late 1990s alone, to US$1.4 trillion in 2016, making it the 11th largest economy in the world (WDI, 2017).1) In the process, Korea has become ... rise as an industrial power has occurred during a period of major reorganization of global trade and industry around global value chains (GVC). Since the mid-1960s, global firms have been slicing up their supply ...
... Their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 Global Value Chains and the Industrialization of Korea - International Trade and Global Investment Analysis in Regional Economy - Economic Policy and Microeconomic Volatility - Analysis of the Dynamic Changes in and Effects of Service-IT Industry Convergence - A Study on Constructing the Competitiveness Index for Korean Foreign Affiliates: Developing a System ...
동향 검색 결과 (2건)
... South Korea faces, and development prospects. 2. The challenges, opportunities, and areas of synergy in China-Korean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in the context of the new situation. 3. The impact of export ... Feasible measures to promote stable economic development in both China and South Korea and to enhance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amidst increased uncertainty in global and regional economic prospects. 5. The ...
... & Development o Industrial Development (Presentation by Indonesian side) - Presenter 1: Consumer Electronics Industry in Indonesia - Presenter 2: Automotive Industry Development in Indonesia Session II - Presenter 3: Shipbuilding Industry in Indonesia - Presenter 4: Textile & Apparel Industry in Indonesia o Discussion November. 6 (Tue.) Session III o Regional Development - Presenter 1: Regional Industrial ...
소통 검색 결과 (23건)
... 국제산업협력 및 남북 산업협력 연구, 국제개발협력정책 연구 등에 힘썼다. 이를 통해 경제패권경쟁시대 전략적 자율성을 위한 산업통상전략과 팬데믹과 4IR 기술발전에 따른 GVC 트랜드전망과 시사점을 제안했다. 지역 연구(Regional Studies) 분야에서는 지역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지역정책과 지역경제 및 산업의 육성을 위한 연구를 힘썼다. 그 결과 경제환경 대전환 시대의 지역산업경제 정밀진단과 정책개편방안, 지방투자에 따른 지역 생산성 변화와 시사점을 제시했다. 산업동향·통계 분석(Industry Trends and Statistical Analysis) 분야에서는 산업·통상 관련 통계 DB와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을 통해 거시·산업경제 동향 파악과 전망, 정책적 효과 분석을 수행했다. 동향과 통계 분석을 통해 ...
연구원소개 검색 결과 (2건)
... establishment by sourcing and analyzing information through its regional branches. KIET's pioneering DNA in regards to the local economy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Regional Industry Research Center” in October ... that mad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a top priority enacted a plan to expand and reorganize KIET's regional industry research center consisting of 7-8 researchers at the time, into the 'Research Center for Balanced ...
... Global Trade and Industrial Cooperation, addressing current issues and designing strategic responses related to the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Regional Industry, Location, and Investment, contributing to th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of Korea; and Industry Trends and Statistical Analysis, made possible by accumulating volumes of industry data in key research areas. To swiftly adapt to new global ...
연구진&연구분야 검색 결과 (11건)
지역균형발전정책, 산업입지
공간·도시경제학,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산업클러스터 분석
첨부파일 검색 결과 (17건)
... South Korea faces, and development prospects. 2. The challenges, opportunities, and areas of synergy in China-Korean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in the context of the new situation. 3. The impact of export ... Feasible measures to promote stable economic development in both China and South Korea and to enhance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amidst increased uncertainty in global and regional economic prospects. 5. The ...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연구과제 제안이 접수되었습니다.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부분의 고용 관심사가 항공 및 여행서비스, 음식·숙박 서비스 등 주로 서비스 업종에 집중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제조업의 고용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코로나19 직후 2020년 상반기에 약간 하락하였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하여도 일본과 함께 고용 충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용 성적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내 특성 별로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종사상 지위 별로 보면, 임시·일용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서 고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상용직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큰 충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의 경우 코로나 발생 초기 약간의 충격 이후 고용이 빠르게 반등하면서 코로나 이전보다 고용이 더 증가한 반면, 이보다 작은 규모의 제조업체들의 경우 고용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의 중장기,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 발생 이전 3년간의 추세선을 2020년 1월부터 연장한 선과, 2020년 1월부터의 실제 자료를 이용한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의약품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시작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컴퓨터, 기타운송장비, 가구는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고용 추세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다수 업종은 코로나 발생 이후 고용이 하락하였는데, 특히, 비금속광물, 1차금속, 금속가공 분야나 인쇄·기록매체 업종에서 하락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inform@kiet.re.kr이름 : 박홍서
전화번호 : 044-287-3811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전지적키에트시점] (Eng sub)심상치 않은
국내 대기업 움직임??
KIET 시점에서 보는 미래 로봇 산업 전망은
어떨까요?
경제전문가가 알려드립니다!
(산업연구원 박상수 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