産 業 硏 究 院 (KIET)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TRADE
제목
지역성장잠재력 분석과 정책시사점
본문요약
디지털경제시대의 핵심 성장잠재력은 인적자본 역량 및 지역의 혁신역량에 기반하여 발현되는 기업·산업 역량
이에 따라, 지역성장잠재력(Regional Growth Potential: RGP)을 지역 성장성과(Y), 기업·산업 역량(K), 인적자본 역량(H), 지역혁신 역량(I), 지역사회 역량(S)의 합으로 정의하고, 초광역권 및 광역시·도 단위 지역성장잠재력 지수 산출·분석
분석결과, 수도권과 충청권이 높은 성장잠재력을 유지하면서 국가 성장을 주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도권/충청권과 그 외 초광역권 간의 성장잠재력 격차가 더욱 확대되는 경향
우리나라 주력제조업이 집적된 동남권과 대경권의 상대적 성장잠재력 저하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
지역의 성장잠재력 특성에 기반한 맞춤형 지역산업 육성정책과 더불어,
지역 기업과 사람에 체화된 기술혁신 역량 강화를 핵심적 과제로 추진할 필요
내용 문의
김영수 선임연구위원(044-287-3049)
엠바고
본 자료는 4월 18일(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바랍니다.
< 인터넷, 방송, 통신은 17일(일) 11시 이후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