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검색 결과 (15건)
... examines the effect of the 2019 Trump’s Threat of Tariffs on Mexico for the global automobile industry. Using the event study method, we empirically show the negative spillover of the surprising message to ... accounting and stock market data of automobile firms listed on 25 stock exchanges of major automobile manufacturing countries, except Mexico. One day after the posting, the average of cumulative abnormal returns (CARs) ...
시장주의와 자유무역으로 대표되는 ‘워싱턴 컨센서스’1) 시대가 저물고 산업정책(Industrial policy)과 통상정책(Trade policy)이 부상 중이다. 시장주의가 퇴조하는 대신 산업정책 건수가 2010년 34건에서 2022년 1,568건으로 급증하는 추세고, 자유무역의 반동으로 나타난 보호무역통상정책 건수도 2010년 211건에서 2019년 717건으로 3배 이상 증가했다. 최근의 전 세계적인 ‘산업통상정책’ 확산의 배경에는 기후 위기 문제 심화와 미-중 패권 경쟁 격화가 있다. 기후 위기 대응 과정에서 큰 폭의 성장이 예상되는 친환경 신(新)시장 선점을 위해 각국이 산업통상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미국은 첨단전략산업에 대한 대(對)중국 ...
주요 선진국 등은 주력산업의 혁신을 위해 새롭고 다양한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 독일은 ‘Industry 4.0(2011년)’, 미국의 ‘Manufacturing USA(2011년)’ 일본의 ‘Connected Industry(2017년)’ 등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제조업 르네상스 비전 및 전략(2019년)’을 선보였다. 특히 정부는 산업단지를 현대화하기 위해 ‘스마트그린산단 실행전략(2020년)’을 수립·추진하고 있다. 과거 1990년대 후반 정부는 IT 벤처산업의 투자를 통해서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마련한 경험을 갖고 있다. 1995년 당시 500개에 불과하던 벤처기업은 ...
동향 검색 결과 (3건)
... AM Coffee Break Venue: Second Floor Conference Room, CSIS 10:30 – 11:30 AM Public Session I: Finding Opportunities to Facilitate ROK-U.S. Defense R&D Cooperation Venue: Second Floor Conference ... Initiatives Group, CSIS Presenters : Ms. Elana Broitman , Former Deputy Assistant Secretary for Manufacturing and Industrial Base Policy Dr. Jang, Won-Joon , Director, Defense and Aerospace Industry Division, ...
...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의 격차를 심화하고, 국내외 간 수요의 차이를 심화하는 방향으로 전개될 것이라 전망하였다. 이는 단순히 한국의 경우에만 국한되지 않고 세계적인 추세일 것으로 예견됨에 따라 제조업부문에서의 경쟁이 가속화 될 것임을 주장하였다. □ “The Revolution in Mobility and its Impact on the Manufacturing Industry” (산업연구원 이항구 선임연구위원) 이항구 박사는 제조업의 미래에 핵심이 될 차세대 자동차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와 이를 대비할 정책방안에 대하여 발표하였다. 차세대 자동차는 배터리, 소재, ICT기술, 소프트웨어, 디자인 등이 결합된 과학의 융합이 될 것이며, 범부처 간 협력대응이 필수불가결한 정책방안이라고 주장하였다.
소통 검색 결과 (34건)
... 2년 유예됐다. 현지시간으로 지난 5월 3일, 미국 재무부와 에너지부는 1년여 간의 대내외 의견 수렴을 거쳐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의 첨단제조생산세 액공제(Advanced Manufacturing Production Credit, 이하 AMPC) 및 FEOC 적용과 관련하여 위와 같은 내용을 담은 최종 가이던스를 발표했다. 중국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흑연에 대한 공급망 대체가 ... “FACT SHEET: Biden-Harris Ad\-ministration Announces New Actions to Protect U.S. Steel and Shipbuilding Industry from China's Unfair Practices”. 11) 전기차뿐 아니라 철강·알루미늄, 항만 크레인, 태양광 전지, 성숙 공정 반도체, 배터리 및 주요 광물 등 10여 개 ...
... '협의의 방산생태계'가 아니라 다양한 민간 주체들과 우방국 및 파트너국들을 포함한 '광의의 방산생태계'로 확대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여기서 민간 주체는 새로운 혁신기술개발기업(innovative new technology developers), 학계(academia), 연구소(research labs), 기술센터(technology centers), 우수생산기업(manufacturing centers of excellence), 서비스 기업(service providers), 정부 소유 계약 운영시설(GOCO: Government-owned, contractor-operated facilities), 사금융 및 벤처 캐피털을 포함하는 금융기관(finance streams)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러-우 전쟁과 이-하마스 전쟁에서의 교훈, 인도-태평양 ...
연구원소개 검색 결과 (1건)
첨부파일 검색 결과 (34건)
... examines the effect of the 2019 Trump’s Threat of Tariffs on Mexico for the global automobile industry. Using the event study method, we empirically show the negative spillover of the surprising message to ... accounting and stock market data of automobile firms listed on 25 stock exchanges of major automobile manufacturing countries, except Mexico. One day after the posting, the average of cumulative abnormal returns (CARs) ...
...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2. 연구 목적 제2장 미국 배터리 산업통상정책의 현재: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1. IRA와 글로벌 배터리 산업 지형 변화 2. IRA로 본 미국의 배터리 산업통상정책 주요 내용 (1) 친환경차 구매세액공제(Clean Vehicle Tax Credit) (2) 첨단제조 생산세액공제(Advanced Manufacturing Production Credit) 3. IRA의 한국 배터리 산업 영향 분석 (1) 두 가지 경로(Channel)로 본 IRA의 한국 배터리 산업 영향 (2) IRA의 한국 배터리 산업 영향 정량 분석: IRA 친환경차 구매세액공제 효과를 중심으로 제3장 미국 배터리 산업통상정책의 미래 변수: FEOC와 미국 신정부 출범 1. 미국의 FEOC 제도 시행에 따른 ...
○ 방문자 - Mr. Isaksson (Head of the Capacity Development, Statistics and Industrial Policy, UNIDO) 및 관계자 - UNIDO IPTO Korea 관계자 - 인도 및 필리핀 공무원 20명 ○ 방문일시 - 2023년 9월 13일(수), 10:00~12:00 ○ 방문목적 - 산업연구원과 UNIDO 간 연구협력 논의 - UNIDO Study Tour 팀이 산업연구원을 방문하여 산업연구원의 역할 및 한국의 Smart Industry 현황 청취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연구과제 제안이 접수되었습니다.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부분의 고용 관심사가 항공 및 여행서비스, 음식·숙박 서비스 등 주로 서비스 업종에 집중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제조업의 고용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코로나19 직후 2020년 상반기에 약간 하락하였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하여도 일본과 함께 고용 충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용 성적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내 특성 별로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종사상 지위 별로 보면, 임시·일용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서 고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상용직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큰 충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의 경우 코로나 발생 초기 약간의 충격 이후 고용이 빠르게 반등하면서 코로나 이전보다 고용이 더 증가한 반면, 이보다 작은 규모의 제조업체들의 경우 고용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의 중장기,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 발생 이전 3년간의 추세선을 2020년 1월부터 연장한 선과, 2020년 1월부터의 실제 자료를 이용한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의약품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시작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컴퓨터, 기타운송장비, 가구는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고용 추세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다수 업종은 코로나 발생 이후 고용이 하락하였는데, 특히, 비금속광물, 1차금속, 금속가공 분야나 인쇄·기록매체 업종에서 하락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inform@kiet.re.kr이름 : 박홍서
전화번호 : 044-287-3811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전지적키에트시점] (Eng sub)심상치 않은
국내 대기업 움직임??
KIET 시점에서 보는 미래 로봇 산업 전망은
어떨까요?
경제전문가가 알려드립니다!
(산업연구원 박상수 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