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검색 결과 (2건)
... of Demand Structure and Policy Effects in the Korean Automobile Industry · Limitations of the Conglomerate-dependent Growth System and SMEs’ Role as New Growth Engines · A Study on Labor Market Mismatches: Focusing on 8 Major Manufacturing Industries in Korea · A Study on Compilation and Analysis of 2014 Korean SME’s Input Output Table · The Impact of Design-Driven R&D ...
The economic policies carried out by Korea over the past half century have transformed the country from a rural economy into an industrialized one. Gross Domestic Product (GDP) has quadrupled since the late 1990s alone, to US$1.4 trillion in 2016, making it the 11th largest economy in the world (WDI, 2017).1) In the process, Korea has become one of the world’s most important manufacturing hu...
동향 검색 결과 (3건)
2025년 4월 17일, 산업연구원은 아시아개발은행(ADB) 이코노미스트 박동현 박사를 초청하여 세미나를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세미나는 "인공지능과 로봇이 고용 및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진행되었으며, 박동현 박사는 기업 수준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과 로봇이 고용 및 생산성 구조를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를 심도 있게 분석한 연구결과를 공유하였다.
... 윤우진 (산업연구원) 발표 4. 신위뢰 (산업연구원) Discrimination in Organizations : Optimal Mechanisms and Legal Issues on the Implementation 토론자 : 노영진 (동아대학교) 발표 5. 오종석 (산업연구원) Changes in Cyclical Patterns of the U.S Labor Market: From the Perspective of Nonlinear Okun's Law 토론자 : 김유빈 (한국노동연구원) 발표 6. 전방남 (Drexel University) Foreign bank ownership and risk-taking: Evidence from emerging economies 토론자 : 박양신 (산업연구원) 발표 7. Sue ...
... (KIET) ■ 12:00~13:45 Lunch Break ■ 13:45~15:45 Session 2 chaired by Hyeon Ju (KIET) ○ Presentation 5. Dongwoo Yoo (West Virginia University) - Endogenous Formation of Ricardian Comparative Advantage and Labor Market Friction: A Quantitative Assessment of Structural Transformation in Korea - Discussant: Jinkeun Yu (KIET) ○ Presentation 6. Minwoong Ji (KIET) - Maximum Limit for Receiving Governmental Support & ...
소통 검색 결과 (42건)
연구원소개 검색 결과 (1건)
연구진&연구분야 검색 결과 (4건)
신산업인력, 고용정책, 밸류체인
중견기업, 인력, 상생협력
산업인력정책, 일자리, 자동화
첨부파일 검색 결과 (15건)
주제: 인공지능과 로봇이 고용 및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영문명: Implic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 for Employment and Labor Productivity 관련 논문: https://dx.doi.org/10.22617/WPS250038-2
... (Doctoral) Section: Full-Time Nonacademic Location: Sejong, KOREA, REPUBLIC OF JEL Classifications: Any Field Keywords: KIET, Korea, Microeconomics, Macroeconomics, Econometrics, Industrial Organization, Labor Economics, Economic Growth, International Trade, Regional Economics, Economic Policy Full Text of JOE Listing: The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and Trade (KIET), established in 1976 as a go...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연구과제 제안이 접수되었습니다.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부분의 고용 관심사가 항공 및 여행서비스, 음식·숙박 서비스 등 주로 서비스 업종에 집중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제조업의 고용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코로나19 직후 2020년 상반기에 약간 하락하였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하여도 일본과 함께 고용 충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용 성적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내 특성 별로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종사상 지위 별로 보면, 임시·일용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서 고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상용직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큰 충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의 경우 코로나 발생 초기 약간의 충격 이후 고용이 빠르게 반등하면서 코로나 이전보다 고용이 더 증가한 반면, 이보다 작은 규모의 제조업체들의 경우 고용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의 중장기,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 발생 이전 3년간의 추세선을 2020년 1월부터 연장한 선과, 2020년 1월부터의 실제 자료를 이용한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의약품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시작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컴퓨터, 기타운송장비, 가구는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고용 추세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다수 업종은 코로나 발생 이후 고용이 하락하였는데, 특히, 비금속광물, 1차금속, 금속가공 분야나 인쇄·기록매체 업종에서 하락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inform@kiet.re.kr이름 : 박홍서
전화번호 : 044-287-3811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전지적키에트시점] (Eng sub)심상치 않은
국내 대기업 움직임??
KIET 시점에서 보는 미래 로봇 산업 전망은
어떨까요?
경제전문가가 알려드립니다!
(산업연구원 박상수 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