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검색 결과 (20건)
... 대중국 견제 기조에서는 11월 5일 대선에 근접하며 양자 간 입장 수렴이 점차 선명해지고 있다. 미 대선 및 양원 선거 결과와 이에 따른 탈중국 국제 분업 구조 재편 전개 양상에 따라 한국 주요 산업 역시 통상·경쟁 여건의 급변에 직면할 전망으로, 주요 업종의 시나리오별 영향 전망과 대응 전략의 선제적 마련이 시급하다. 1991년 12월 소비에트 연방 붕괴 이후 중국 중심의 공급망 세계화 즉, ‘미중밀월(美中蜜月)’ 30년의 종언(終焉) 이후 미래 30년의 글로벌 산업 지형 변화는 국가 산업정책(Industrial Policy)의 한 단계 진화와 도약을 요구한다. 산업정책 통할 거버넌스를 정비하고, 권역별·업종별 미래 경쟁우위 확보 전략을 새롭게 구상해야 한다.
... 이번 협업은 2015년 양 기관 간 학술정보 교류, 공동연구 및 세미나 개최, 연구인력 교류 등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해 구축한 기존의 협력 기반에서 비롯됐다. 보고서는 우선 개발도상국은 물론 선진국이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할 효과적인 목표로 파악된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산업발전(ISID)의 주요 개념과 의의를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ISID의 개념은 (i) 공동 번영 창출, (ii) 경제 경쟁력 강화, (iii) 환경보호, (iv) 지식 및 제도 강화의 네 가지 주요 활동 분야로 구성된다. 보고서는 ISID의 개념을 바탕으로 1970년 이후 짐바브웨가 직면한 거시경제 발전과 성과, 산업구조, 기타 주요 이슈 등 산업발전의 전반적인 역사적 동향과 해결과제를 소개하며, 국가발전전략 1(NDS1)과 짐바브웨 국가산업발...
최근 양적 경제성장으로부터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으로 사회적 패러다임이 변화하는 가운데 정부의 정책 우선순위에서 환경, 노동, 안전 등 비경제적 목표 달성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동시에 신기술 발전에 기인한 신산업 출현과 산업 간 융복합화에 따라 비경제적 목적 달성을 위한 규제가 기업과 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과 범위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비경제적 규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경제ㆍ산업 부문의 부작용에 대한 경제적 관점에서의 논의가 필요함을 강조하고 규제로 인한 산업 부문의 제약을 보완할 수 있는 산업정책적 대응방식을 논의한다. 먼저 본 연구는 비경제적 규제와 경제적 영향 간에 부정적 상관관계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규제도입에 따른 경제적 영향의 메커니즘을 선행 연구와 모형을 활...
동향 검색 결과 (8건)
... 1. What is ROK’s strategy for international trade, especially in relation to China and the US? What are the approaches from China? 2. How are you responding to China's export restrictions on graphite and other materials? 3. How do ROK’s supply chain early warning systems operate? 4. What is the government's industrial policy? Where is the ROK government focusing its efforts?
<논의내용> 1. Findings from the Korea Innovation Policy Review 2. OECD work on industrial policy and industrial decarbonisation 3. Strategic competition and how that shapes industrial and STI policy
○ 방문자 - Mr. Isaksson (Head of the Capacity Development, Statistics and Industrial Policy, UNIDO) 및 관계자 - UNIDO IPTO Korea 관계자 - 인도 및 필리핀 공무원 20명 ○ 방문일시 - 2023년 9월 13일(수), 10:00~12:00 ○ 방문목적 - 산업연구원과 UNIDO 간 연구협력 논의 - UNIDO Study Tour 팀이 산업연구원을 방문하여 산업연구원의 역할 및 한국의 Smart Industry 현황 청취
소통 검색 결과 (75건)
... ' TRUMP'라는 시나리오로 정리했습니다. '보편적 관세 도입( Tariff on All Imports)', '화석 연료 부활( Return to Fossil Fuel)', '첨단산업 불확실성 증가( Uncertainties in High-Tech Industry)', '통화 정책 개입( Monetary Policy Interference)', '북-미 정상간 개인 외교( Personal Diplomacy)'입니다. 이 가운데 우리 산업계에 가장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게 바로 관세, 화석 연료, 첨단산업 불확실성 등 부분입니다.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해 60~100%의 높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거세지는 중국 견제…첨단.전력 ...
연구원소개 검색 결과 (2건)
... out of the sense of calling that the KIET, which has supported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Korea's industrial development, needed to speak out in the local economic scene as well. In short, KIET was the first state-run ... mind on the local economy. At the time, there were almost no regional economic experts. So whenever a policy needed to be formulated, there were considerable challenges from the regional perspective. The KIET is ...
... tirelessly to light the path forward for our industries. These people are from the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Originally established as the Korea Foundation for Middle East Studies in 1976, during ... intersect. Our services include: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y Analysis, proposing new approaches for industrial innovation; Industrial Policy and SMEs & Venture Business Policy, formulating strategies for industrial ...
연구진&연구분야 검색 결과 (34건)
대외협력실 총괄 업무, 이차전지산업, 밸류체인, 제조서비스, 국제무역
지역노동시장, 지역경제 미시계량 분석
지역산업정책, 클러스터, 협업
첨부파일 검색 결과 (45건)
○ 방문자 - Mr. Isaksson (Head of the Capacity Development, Statistics and Industrial Policy, UNIDO) 및 관계자 - UNIDO IPTO Korea 관계자 - 인도 및 필리핀 공무원 20명 ○ 방문일시 - 2023년 9월 13일(수), 10:00~12:00 ○ 방문목적 - 산업연구원과 UNIDO 간 연구협력 논의 - UNIDO Study Tour 팀이 산업연구원을 방문하여 산업연구원의 역할 및 한국의 Smart Industry 현황 청취
기관정보 테이블 제목 영문명 Vietnam Institute of Strategey and Policy for Industry and Trade(VIOIT) 국문명 베트남 산업무역전략 정책연구원 설립년도 2017.08 소재지 베트남 하노이(본부), 호치민(지부) 기관성격 베트남 산업무역부 산하 연구기관 대표자 Dr. Nguyen Van Hoi(General Director) MOU 주요내용 ○ 연구협력 - 경제발전 및 산업개발을 위한 한국-베트남 양자협력 관련 - 탄소중립, 경제발전 경험공유, GVC, 무역 등 주요 경제 및 산업 안건 관련 - 상호 간 연구 지원 및 성과 공유 ○ 교류협력 - 학술정보 및 발간물 교류 - 연구인력 교류 - 공동 워크샵 및 회의 개최 - ...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연구과제 제안이 접수되었습니다.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부분의 고용 관심사가 항공 및 여행서비스, 음식·숙박 서비스 등 주로 서비스 업종에 집중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제조업의 고용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코로나19 직후 2020년 상반기에 약간 하락하였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하여도 일본과 함께 고용 충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용 성적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내 특성 별로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종사상 지위 별로 보면, 임시·일용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서 고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상용직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큰 충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의 경우 코로나 발생 초기 약간의 충격 이후 고용이 빠르게 반등하면서 코로나 이전보다 고용이 더 증가한 반면, 이보다 작은 규모의 제조업체들의 경우 고용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의 중장기,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 발생 이전 3년간의 추세선을 2020년 1월부터 연장한 선과, 2020년 1월부터의 실제 자료를 이용한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의약품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시작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컴퓨터, 기타운송장비, 가구는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고용 추세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다수 업종은 코로나 발생 이후 고용이 하락하였는데, 특히, 비금속광물, 1차금속, 금속가공 분야나 인쇄·기록매체 업종에서 하락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inform@kiet.re.kr이름 : 박홍서
전화번호 : 044-287-3811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전지적키에트시점] (Eng sub)심상치 않은
국내 대기업 움직임??
KIET 시점에서 보는 미래 로봇 산업 전망은
어떨까요?
경제전문가가 알려드립니다!
(산업연구원 박상수 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