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검색 결과 (15건)
우리나라 경제가 직면한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법으로 제조업에 이은 서비스업의 발전이 주목받고 있다. 서비스업은 시급한 산업 정책의 대상임과 동시에 제조업에 비해 산업분류 및 경제활동영역의 모호성과 복잡성이 높아 정책연구의 축적이 필요한 대상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기획재정부의 ‘서비스 통계 DB 구축 사업’에 기여하고자 기획된 연구과제로 서비스업의 현황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책을 수립·실행하며 그 효과를 측정하는 것, 다시 말해 산업 정책에 대한 과학적 접근을 목표로 그 기초자료를 생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한편, 서비스 업종별 글로벌 경쟁력 지표나 평가모형을 살펴보면, 제조업의 경우 글로벌 경쟁력 지표로 Competitive Industrial...
EU와 미국에서 지역 간 불평등이 증가하고 있다. 지역 간에 소득 차이가 증가하는 주요 이유는 혁신이다.3) 혁신 역량은 지역마다 다르며 다수의 혁신적인 활동이 소수의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모방하기 어려운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과 같은 복합적인 지식에 의존하는 활동은 더욱 그렇다.4) 이는 여러 지역에서 쉽게 익힐 수 있고 생산될 수 있는 복합성이 낮은 활동(low-complex activities)과는 대조적이다. 지역 간 혁신 역량에 차이가 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한 가지 핵심 요인으로 혁신적인 활동은 지역의 역량에 기반할 뿐만 아니라 이를 활용한다는 점이다. 어떤 지역에서 기술이나 산업 또는 직종이 다양화(diversification)될 때, 새롭게 출현하는 기술, 산...
본 연구는 실제 데이터를 이용한 다양한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트래블테크(Travel Tech) 스타트업 생태계의 특징을 복합적인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트래블테크 스타트업의 현실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자 함. 특히, 기존 연구에서는 잘 다뤄지지 않았던 스타트업 생태계 성장의 핵심 요인인 투자 유치 특징을 다각적으로 살펴보았음. 이를 위해 스타트업 투자자료(DB)를 구축해 온 ‘혁신의 숲’의 데이터(2022년 2월 말 기준)를 활용하여 분석 새로운 기술(tech) 기반 관광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특성별 수요패턴을 확인함으로써 균형 잡힌 정책 방안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 트래블테크 스타트업이 제공하는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거래 실적 데이터(2018년 1월~2022년 ...
동향 검색 결과 (7건)
2022년 3월, 신규 에코디자인 규정안 유럽의회 통과 (규정 발표) EU 집행위원회, 2009년부터 시행된 기존 에코디자인 지침(Ecodesign Directive)을 대체하기 위해 EU 집행위원회 에코디자인 규정안(Eco design for Sustainable Products Regulation, ESPR) 발표로 순환경제 구축 및 저탄소 발전 가속화 추진 * 에코디자인 규정은 제1장 일반조항(1~3조), 제2장 에코디자인 요구사항(4~7조), 제3장 디지털 제품여권(8~13조) 등 14개 장 71개 조문으로 구성 디지털제품여권 도입 추진 (기본 정의) ESPR 제3장에서 디지털제품여권(Digital Product Passport, DPP)을 규율하고 있으며, 상품의 생산부터 유통,...
디지털 경제는 생산 요소의 효율적인 흐름을 가속화하고 양질 자원의 공유를 촉진하며 기본공공 서비스의 평등과 공동부유를 촉진하는 중요한 역량 디지털 기술과 실물 경제의 심층 통합을 촉진하며 디지털 경제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최적화하며 디지털 수단을 통해 불평등, 불충분한 발전 문제의 해결을 촉진하고 모든 국민이 디지털 시대의 발전성과를 공유하고 고품질 발전에서 공동부유를 실현하기 위해 촉진 방안 공표 국민의 더 나은 삶에 대한 기대를 현대화 건설의 출발점으로 삼고 공동부유를 실현하는데 있어서 디지털 경제의 중요한 기능 담당 디지털 기술로 실물 경제 발전을 촉진하고 사회 분배 메커니즘을 최적화하고 디지털 거버넌스 방식을 개선하여 지역 간, 도농 간, 그룹 간 및 기본 공공 서비스 등 방면의 ...
소통 검색 결과 (62건)
김수동 산업연구원 통상정책실장 opinion@etoday.co.kr 아마존등 빅테크 순기능 많지만 불공정 관행으로 시장경쟁 훼손 '과도한 시장지배' 견제 불러와 9월 6일 유럽연합(EU)은 핵심 플랫폼 서비스를 운영하며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있는 6개의 거대 기술기업을 '게이트키퍼(Gatekeeper)'로 지정했다. 게이트키퍼는 온라인 검색 엔진, 앱 스토어, 메신저 서비스와 같은 소위 핵심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규모 플랫폼 기업이다. 이번 발표는 2022년 11월 1일에 발효되어 올해 5월 2일부터 본격적으로 적용된 디지털 시장법(Digital Market Act)에 근거한 것이다. DMA는 디지털 시장을 보다 공정하고 경쟁력 있게 만들기 위한 EU의 법안이다. DMA는 디지털 시장에 경쟁 친화적인...
김양팽 산업연구원 신산업실 전문연구원 반도체가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 1980년대부터 최근까지 세계 반도체 시장은 연평균 10% 이상의 놀라운 성장률을 기록하였고 반도체 시장 규모가 1,000억 달러씩 증가하는 데 걸리는 기간도 계속 줄어들고 있다. 반도체는 기능별로 크게 메모리반도체와 시스템반도체로 구분되는데 지난 10년간 시장 구 조를 살펴보면 메모리반도체와 시스템반도체 비율이 비슷하게 성장한 것을 알 수 있다. 반도체 수요산업 성장과 함께 새롭게 등장하는 기기에 시스템반도체와 메모리반도체가 함께 탑재되기 때문으로 앞으로도 비슷한 비율로 성장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반도체는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전자제품뿐만 아니라 첨단기술의 신산업에서도 중요한 부품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세계 각국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연구원소개 검색 결과 (2건)
Human beings select a site to live. We raise families and build communities. Such collective lives are connected to form regions, and when the regions expand, they become territory in the name of the country. Humans are 'Animals of space'. For the past 20 years, Center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of KIET has been trying to balance the terri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thinking about the ri...
“There is nothing in recorded history” “that rivals the economic growth” “achieved by Korea since the Korean War.” -Peter Drucker Korea's economic development has often been described as a “miracle.” But it was anything but. The remarkable achievements of our economy are not a result of luck. Rather, they are the fruit of hard work,and the just reward for overcoming significant challenges. The pri...
연구진&연구분야 검색 결과 (19건)
글로벌화, 구조혁신, 스마트제조혁신, 친환경혁신
수위탁거래, 디지털플랫폼
첨부파일 검색 결과 (28건)
머리말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및 구성 (1) 연구의 목적 (2) 연구보고서의 구성 제2장 서비스업 글로벌 경쟁력 평가모형 1. 서비스업 경쟁력 평가모형의 사례 (1) WDC(IMD World Digital Competitiveness) (2) The Global AI Index (3) 2018 글로벌 SW 경쟁력 지수 2. 산업연구원 서비스업 경쟁력 평가모형 3. 결측치에 대한 보간법의 적용 (1) 보간법의 개요 (2) 연구에 고려된 보간법 (3) 보간법의 적용방법 제3장 통신산업 글로벌 경쟁력 평가 1. 통신산업의 개요 및 국내외 현황 (1) 산업의 정의 및 범위 (2) 산업 규모 ...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연구과제 제안이 접수되었습니다.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부분의 고용 관심사가 항공 및 여행서비스, 음식·숙박 서비스 등 주로 서비스 업종에 집중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제조업의 고용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코로나19 직후 2020년 상반기에 약간 하락하였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하여도 일본과 함께 고용 충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용 성적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내 특성 별로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종사상 지위 별로 보면, 임시·일용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서 고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상용직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큰 충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의 경우 코로나 발생 초기 약간의 충격 이후 고용이 빠르게 반등하면서 코로나 이전보다 고용이 더 증가한 반면, 이보다 작은 규모의 제조업체들의 경우 고용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의 중장기,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 발생 이전 3년간의 추세선을 2020년 1월부터 연장한 선과, 2020년 1월부터의 실제 자료를 이용한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의약품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시작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컴퓨터, 기타운송장비, 가구는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고용 추세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다수 업종은 코로나 발생 이후 고용이 하락하였는데, 특히, 비금속광물, 1차금속, 금속가공 분야나 인쇄·기록매체 업종에서 하락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inform@kiet.re.kr이름 : 박홍서
전화번호 : 044-287-3811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전지적키에트시점] (Eng sub)심상치 않은
국내 대기업 움직임??
KIET 시점에서 보는 미래 로봇 산업 전망은
어떨까요?
경제전문가가 알려드립니다!
(산업연구원 박상수 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