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검색 결과 (3건)
... 서비스업의 현황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책을 수립·실행하며 그 효과를 측정하는 것, 다시 말해 산업 정책에 대한 과학적 접근을 목표로 그 기초자료를 생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한편, 서비스 업종별 글로벌 경쟁력 지표나 평가모형을 살펴보면, 제조업의 경우 글로벌 경쟁력 지표로 Competitive Industrial Performance Index(이하 CIP)가 존재하는 것과는 달리, 공신력 있는 글로벌 경쟁력지표가 부재한 상황이다. 따라서, 서비스업의 정책 개발을 위한 자료로 서 서비스 업종에 대한 객관적인 글로벌 경쟁력 지표의 개발과 이를 통한 정책 우선순위의 도출은 중요한 과제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본원의 서비스 업종 글로벌 경쟁력 지수모형을 일부 보완하고 이를 적용하여, 주요 ...
... Industrialization of Korea - International Trade and Global Investment Analysis in Regional Economy - Economic Policy and Microeconomic Volatility - Analysis of the Dynamic Changes in and Effects of Service-IT Industry Convergence - A Study on Constructing the Competitiveness Index for Korean Foreign Affiliates: Developing a System for Monitoring International Industrial Trends Using Data on Multinational Corporations ...
... the drastic changes in the trade environment and the increase in market uncertainty worldwide. Export diversification is the process of multiplying the number of export products or regions. Conventionally, it was used to boost the export activities of an underdeveloped country, as part of its economic development process.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uncertainty within the world trade environment expanded ...
소통 검색 결과 (4건)
... 기준), 이들의 평균 기업가치는 38억 달러로 전체 유니콘의 기업가치 평균 33억 달러보다 높다. 이 기업들은 비메모리(AI, 시스템) 반도체, 전기·자율주행차, 이차전지(배터리), IT기기·부품, 로봇, 드론·항공우주, 특수·신소재 등 딥테크(Deep-Tech) 기반 신성장 산업에서 활동하며, 주로 수요기업을 고객으로 하는 B2B 사업모형을 가진다. 하드웨어 유니콘은 ... 유니콘에 비해 매출 성장도 더딘 편이다.7) 국내 제조업은 유엔산업개발기구(UNIDO)가 발표하는 글로벌 산업경쟁력 지수(Competitive Industry Performance Index: CIP)에서 2010~2018년 동안 세계 3~4위에 해당하였다.8) 그런데도 국내에서 하드웨어 유니콘이 출현하지 못한 점은 국내 전체 산업 내 제조업의 생산경쟁력이 높지만9) 상대적으로신산업 ...
... 추격자보다 선도자될 분야 발굴 - 조립완성품보다 중간재가 유리 - 정부차원 R&D 집중 지원책 필요 [세종=이데일리 김상윤 김형욱 기자] 미국, 독일, 일본 등 제조업 강대국 사이에서 굳건히 한국경제를 뒷받침했던 우리 제조업이 처한 현실은 녹록지 않다. 유엔공업개발기구(UNIDO)에서 발표하는 CIP(Competitive Industrial Performance Index 산업경쟁력 지수)에 따르면 우리나라 제조업 경쟁력은 이미 2015년 중국에 밀렸다. 2009~2014년 줄곧 4위를 유지하다가 중국에 밀려 2015년 5위로 하락한 것이다. 자료=한국경제연구원 ◇반도체, OLED 빼면 한국 경쟁력 떨어져 업종별로 보면 반도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제외하면 압도적으로 중국에 비교 우위를 가진 게 없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한국경제연구원이 ...
첨부파일 검색 결과 (5건)
머리말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및 구성 (1) 연구의 목적 (2) 연구보고서의 구성 제2장 서비스업 글로벌 경쟁력 평가모형 1. 서비스업 경쟁력 평가모형의 사례 (1) WDC(IMD World Digital Competitiveness) (2) The Global AI Index (3) 2018 글로벌 SW 경쟁력 지수 2. 산업연구원 서비스업 경쟁력 평가모형 3. 결측치에 대한 보간법의 적용 (1) 보간법의 개요 (2) 연구에 고려된 보간법 (3) 보간법의 적용방법 제3장 통신산업 글로벌 경쟁력 평가 1. 통신산업의 개요 및 국내외 현황 (1) 산업의 정의 및 범위 (2) 산업 규모 2. ...
... Introduction 1. Background and Purpose 2.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Chapter 2.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 and Changes in Trade Structure 1.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 (1) Discussion on Export Competitiveness and Economic Growth (2) Theoretical Background of Export Diversification (3)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 on Export Diversification and Economic Growth 2. Changes in World’s and Korea’s Trade Structure ...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연구과제 제안이 접수되었습니다.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부분의 고용 관심사가 항공 및 여행서비스, 음식·숙박 서비스 등 주로 서비스 업종에 집중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제조업의 고용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코로나19 직후 2020년 상반기에 약간 하락하였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하여도 일본과 함께 고용 충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용 성적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내 특성 별로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종사상 지위 별로 보면, 임시·일용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서 고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상용직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큰 충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의 경우 코로나 발생 초기 약간의 충격 이후 고용이 빠르게 반등하면서 코로나 이전보다 고용이 더 증가한 반면, 이보다 작은 규모의 제조업체들의 경우 고용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의 중장기,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 발생 이전 3년간의 추세선을 2020년 1월부터 연장한 선과, 2020년 1월부터의 실제 자료를 이용한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의약품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시작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컴퓨터, 기타운송장비, 가구는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고용 추세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다수 업종은 코로나 발생 이후 고용이 하락하였는데, 특히, 비금속광물, 1차금속, 금속가공 분야나 인쇄·기록매체 업종에서 하락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inform@kiet.re.kr이름 : 박홍서
전화번호 : 044-287-3811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전지적키에트시점] (Eng sub)심상치 않은
국내 대기업 움직임??
KIET 시점에서 보는 미래 로봇 산업 전망은
어떨까요?
경제전문가가 알려드립니다!
(산업연구원 박상수 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