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검색 결과 (6건)
쿠바에서는 지난 4월 18일 라울 카스트로(Raul Castro)의 후계자로 미겔 디아즈 카넬(Miguel Diaz Canel)이 선출되면서 ‘포스트 카스트로(Post Castro)’의 시대가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 라울 카스트로는 2008년 공식 취임 이후 비국영부문, 외국자본, 국가가 공존하는 혼합경제체제의 새로운 쿠바식 사회주의 경제모델 ... 마리엘개발특구 설치 및 신외국인투자정책 발표는 라울 카스트로 경제개혁의 주요 성과이다. 한편 54년간 단절되었던 미국과의 관계개선은 라울 카스트로의 또 다른 업적으로 평가 받는다. 2015년 7월 1일 외교관계 정상화 이후 미국 행정부의 대쿠바 경제제재 완화조치로 미국기업의 통신, 항공, 관광업계는 쿠바와 공동으로 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또한 관광과 이민자 송금이 ...
... EU 등 의무이행 대상국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수준보다 평균 5.2%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배출권거래제, 청정개발체제 등을 도입하여 감축 이행 - 교토의정서의 2차 공약기간(2013~2020년) 동안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수준 대비 25~40% 감축하기로 합의하였으나 미국 등 온실가스 다배출 국가들이 불참 - 교토의정서의 2차 공약기간이 이후(post2020)의 기후변화 대응을 논의하던 기후변화협약 당사국들은 2015년 파리협정 체결 - 2016년 말, 파리협정 발효로 2020년 신기후체제 출범을 앞두고 있음. ○ 최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파리협정 탈퇴 선언으로 기후변화 대응에 박차를 가하던 세계 각국의 공동노력이 다소 주춤하는 듯한 경향을 보임. - 대통령 당선 전에도 트럼프 후보 당선 시 파리협정 ...
... 기술개발 등 주요 정책적 지원 및 고려 대상에서 소외되는 경향이 있다. 반면 환경규제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규제와 기준이 적용되고 있어 소재산업의 장기 성장잠재력 확충 기반의 약화가 우려되고 있다. 2015년 12월 파리의 UN기후변화 당사국회의에 제출한 ‘2020년 이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POST-2020)’ 달성을 위해 산업계에 대한 환경 및 에너지 정책의 선진화가 급속하게 추진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2년부터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가 실시되고 있으며, 2015년부터 온실가스배출권거래제(ETS)가 시행되고 있다. 이로 인해 제조업 온실가스의 상당 부분을 배출하는 국내 소재산업계는 급격한 대내외 상황 변화에 대한 적응 이외에도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새로운 과제에 직면하고 ...
동향 검색 결과 (3건)
o 발 제 1) 강주홍 과장 (국무총리실 개발협력관실) - 한국의 최근 개발협력 정책 방향 2) Edward Reed 교수 (경희대학교 국제대학원) - Post-2015 Development Agenda
□ 개최 목적 ○ 2015년 MDGs 종료를 앞두고 Post-MDGs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는 가운데, 국제사회는 새로운 원조정책 수립에 고심하고 있음. ○ 이번 KIET 포럼에서는 한국 ODA 무상원조 분야의 정책당국자를 초청하여, 'OECD 동료 검토‘에 관한 주요 내용들을 파악하고, 관련 전문가들과 함께 향후 한국 ODA 주요 현안 및 정책, 국제사회 원조 동향 등에 대해 토의하고자 함. □ 포럼 개요 ○ 일 시 : ‘13. 03. 07(목), 10:00-12:00 ○ 발 제 : 오현주 과장 (외교통상부 개발협력과) -주 제: ‘OECD 동료 검토 이후 우리나라 ODA의 과제’ ○ 장 소 : 산업연구원 1층 소회의실 (103호실) ○ 참석자 - 정부 : 외교통상부, ...
□ 개최 목적 ○ 2015년 MDGs 종료를 앞두고 Post-MDGs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는 가운데, 국제사회는 새로운 원조정책 수립에 고심하고 있음. ○ 이번 KIET 포럼에서는 한국 ODA 유상원조 분야의 정책당국자를 초청하여 EDCF 중기운영계획을 파악하고, 관련 전문가들과 함께 한국 ODA 주요 현안 및 정책, 국제사회 원조 동향 등에 대해 토의하고자 함. □ 포럼 개요 ○ 일 시: ‘13. 02. 21(목), 10:00-12:00 ○ 발 제: 이승원 과장 (기획재정부 대외경제국 개발협력과) - 주 제: ‘2013~2017년 대외경제협력기금 중기 운용계획안’ ○ 장 소: 산업연구원 1층 소회의실 ○ 참석자: - 정부 : 기획재정부 - 민간 : 연구계, 유관기관, 학계 전문가 ...
소통 검색 결과 (3건)
... 대덕특구가 지역 경제를 견인하는 것도 한계에 직면하면서 저성장 기조로 접어들었다. 지난해 6월 발간된 산업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2002년까지 경제 성장 지역으로 분류됐던 대전시는 2015년 들어 쇠퇴 지역에 진입했다. 1973년 출범한 대덕특구는 그동안 대전 경제 성장을 견인해 왔지만 과학기술 역량의 사업화·상용화 등으로 점차 어려움이 발생하면서 연매출 규모가 17조원에 ... 타운이 들어선다. 대전시는 KAIST와 충남대 사이에 대학 혁신창업 스타트업 타운(2018~2021년), 옛 도청사 별관에 소셜벤처 창업 플랫폼(2019~2022년), 대덕특구 내 POST-BI 종합지원센터(2019년)와 글로벌 스타트업 혁신 타운(2020~2021년), 월평동 상점가에 대전엔젤투자타운(2020~2021년)을 각각 조성한다. 이들 5개 스타트업 타운은 ...
... Employment Analysis" in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NSO), the youth unemployment rate in February 2015 was 11.1%, which has jumped by 1.9 percentage points compared to January's rate. In the meantime, ... However, people have since opted to defer having babies due to a fiercely competitive living environment post the Asian Financial Crisis in the late 1990s and the Global Economic Crisis in the late 2000s. The ...
첨부파일 검색 결과 (6건)
제1장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제2장 기후변화와 기업활동 1. 기후변화의 위험요인 2. 기후변화와 기업의 경영활동 제3장 글로벌 기업의 기후변화 인식 및 대응 현황 1. 기후변화에 대한 글로벌 기업 인식 조사 사례 2. 글로벌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사례 제4장 우리나라 기업의 기후변화 인식 및 대응 현황 1. 조사 개요 2. 조사 결과 3. 분석 및 시사점 제5장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1. 주요 연구결과 요약 2.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머리말 요약 제1장 연구 배경 및 목표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연구배경 (2) 연구목표 및 기대효과 2. 연구 범위 및 방법 (1) 연구범위 (2) 연구방법 제2장 온실가스 배출 관련 제도의 국내외 현황 1. 해외 (1) 온실가스배출권거래제 도입 개요 (2) EU (3) 미국 캘리포니아 2. 국내 (1)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2)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 (3) 온실가스배출권거래제 3. 시사점 제3장 소재산업의 온실가스 발생구조와 현황 1. 소재산업의 위상과 현황 (1) 소재산업의 위상 (2) 소재산업의 탄소집약도 2. 철강산업 (1) 철강산업의 현황 (2) 온실가스 발생 및 공정별 현황 3. 비철금속산업 (1) 비철금속산업의 현황 ...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연구과제 제안이 접수되었습니다.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부분의 고용 관심사가 항공 및 여행서비스, 음식·숙박 서비스 등 주로 서비스 업종에 집중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제조업의 고용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코로나19 직후 2020년 상반기에 약간 하락하였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하여도 일본과 함께 고용 충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용 성적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내 특성 별로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종사상 지위 별로 보면, 임시·일용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서 고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상용직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큰 충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의 경우 코로나 발생 초기 약간의 충격 이후 고용이 빠르게 반등하면서 코로나 이전보다 고용이 더 증가한 반면, 이보다 작은 규모의 제조업체들의 경우 고용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의 중장기,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 발생 이전 3년간의 추세선을 2020년 1월부터 연장한 선과, 2020년 1월부터의 실제 자료를 이용한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의약품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시작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컴퓨터, 기타운송장비, 가구는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고용 추세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다수 업종은 코로나 발생 이후 고용이 하락하였는데, 특히, 비금속광물, 1차금속, 금속가공 분야나 인쇄·기록매체 업종에서 하락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inform@kiet.re.kr이름 : 박홍서
전화번호 : 044-287-3811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전지적키에트시점] (Eng sub)심상치 않은
국내 대기업 움직임??
KIET 시점에서 보는 미래 로봇 산업 전망은
어떨까요?
경제전문가가 알려드립니다!
(산업연구원 박상수 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