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검색 결과 (3건)
... to competitively position Korea as a global economic leader of tomorrow. As part of efforts to identify the best course forward, the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KIET) and Duke University Global Value Chains Center (Duke GVCC) collaborated for a global value chain study.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untry’s participation in specific global industries to identify ...
...on of Sharing Economy - The Expansion of Global Value Chains and Industrial Policy Implications in Korea - The Trade-Investment-Services Nexus and Korean Trade Policy - A Study on the Promotion Policy for ... and Effects of Service-IT Industry Convergence - A Study on Constructing the Competitiveness Index for Korean Foreign Affiliates: Developing a System for Monitoring International Industrial Trends Using Data ...
2013 Summary of Research Papers
동향 검색 결과 (2건)
...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CSIS),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DAPA),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and Trade (KIET), and Korea Aerospace Industries (KAI). Monday, December ... Session Venue: Second Floor Conference Room, CSIS Welcoming Remarks : Dr. John Hamre , President and CEO, CSIS Congratulatory Remarks : Dr. Yu, Byoung-Gyu , President,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
1. Title : Partnership for Industrial Development of Indonesia - The 2nd Joint Workshop, Seoul, November 5-12, 2012 - 2.Organizers -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KIET), Korea - ... Program Date Program Remarks November 5 (Mon.) o Opening Remarks by Dr. Byoung-Jun Song, President of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and Trade(KIET) o Opening Session - Congratulatory Remarks by Coordinating ...
소통 검색 결과 (135건)
Photo : YONHAP News A local think tank has predicted that South Korea's economy will grow by two-point-six percent this year. The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and Trade(KIET) on Monday shared the annual outlook which combined a prospect of two-point-eight percent growth for the first half of the year and two-point-five percent for the second half. The institute noted improvements in economic ...
연구원소개 검색 결과 (2건)
... comprised of around 20 researchers. It was unprecedented for the law to stipulate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specific department of 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Research Center for Balanced National ... Center for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of KIET will serve as the priming water to realize these dreams. We will be the best research institute responsible for the even and equitable growth of Korea.
... real. But it would not be deserved without the people who work tirelessly to light the path forward for our industries. These people are from the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Originally ... accomplish astonishing feats. But there is still work to be done advancing our economy and our industry. Korea is at the vanguard of global industrial innovation. And the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첨부파일 검색 결과 (7건)
... REPUBLIC OF JEL Classifications: Any Field Keywords: KIET, Korea, Microeconomics, Macroeconomics, Econometrics, Industrial Organization, Labor Economics, Economic Growth, International Trade, Regional Economics, Economic Policy Full Text of JOE Listing: The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and Trade (KIET), established in 1976 as a government-funded institute, has influenced the industrial ...
... Value Chains 1.4. Potential Impacts of Changes on GVC Participation Chapter 2. An Introduction to Korea’s Economy 2.1. Korea’s Economic Profile 2.2. Industrial Policy in Korea 2.3. Trade and ... Workforce Profile 4.3.4. Evidence of Upgrading 4.4. Shipbuilding Recommendations Chapter 5. GVCs, Industrial Transformation and Opportunities for Korea 5.1. Introduction 5.2. Recent Changes in GVCs 5.3. Lessons ...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연구과제 제안이 접수되었습니다.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부분의 고용 관심사가 항공 및 여행서비스, 음식·숙박 서비스 등 주로 서비스 업종에 집중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제조업의 고용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코로나19 직후 2020년 상반기에 약간 하락하였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하여도 일본과 함께 고용 충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용 성적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내 특성 별로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종사상 지위 별로 보면, 임시·일용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서 고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상용직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큰 충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의 경우 코로나 발생 초기 약간의 충격 이후 고용이 빠르게 반등하면서 코로나 이전보다 고용이 더 증가한 반면, 이보다 작은 규모의 제조업체들의 경우 고용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의 중장기,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 발생 이전 3년간의 추세선을 2020년 1월부터 연장한 선과, 2020년 1월부터의 실제 자료를 이용한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의약품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시작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컴퓨터, 기타운송장비, 가구는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고용 추세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다수 업종은 코로나 발생 이후 고용이 하락하였는데, 특히, 비금속광물, 1차금속, 금속가공 분야나 인쇄·기록매체 업종에서 하락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inform@kiet.re.kr이름 : 박홍서
전화번호 : 044-287-3811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전지적키에트시점] (Eng sub)심상치 않은
국내 대기업 움직임??
KIET 시점에서 보는 미래 로봇 산업 전망은
어떨까요?
경제전문가가 알려드립니다!
(산업연구원 박상수 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