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검색 결과 (23건)
... 불구하고, 국가 단위의 서비스 혁신 역량 혹은 경쟁력을 평가하는 글로벌 서비스 혁신 지수는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서비스 혁신 역량을 강화하고 혁신을 통한 성장 전략을 마련하는 데 참고할 수 있는 국제 비교가 가능한 객관적인 지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글로벌 서비스 혁신 지수(Global Service Innovation Index, 이하 GSII)’의 개발 및 국제 비교 평가를 통해 우리나라의 서비스 혁신 수준을 진단하는 것이 목적이다. 서비스 혁신 지수라고 반드시 대상이 서비스산업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국가 차원의 서비스 혁신 역량을 평가하는 지수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지수 개발 관점에서 서비스 혁신의 개념을 정의하고 기존 혁신 지수 사례를 살펴보고, ...
... 산업과 시점이 모두 상이하여 일관된 기준으로 국내 서비스업의 역동성 추이를 살펴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하에 본 연구는 2011~2022년 기간의 기업통계등록부, 취업활동통계등록부와 같은 행정자료 기반 자료, 통계청 및 한국은행의 조사자료를 결합하여, 서비스업의 중분류 업종별 역동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indicator) 체계 및 지수(index) 체계 구축과정을 소개한다. 이렇듯 본 연구는 서비스업의 주요 업종별 역동성을 진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증거 기반 정책이 수립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기초 연구이다. 향후 산업연구원의 서비스통계플랫폼(가칭)을 통해 정책 담당자 및 일반 이용자들이 국내 서비스업의 역동성 현황을 객관적이고 쉽게 파악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는 미국 등 주요 통계 ...
... 서비스업의 현황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책을 수립·실행하며 그 효과를 측정하는 것, 다시 말해 산업 정책에 대한 과학적 접근을 목표로 그 기초자료를 생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한편, 서비스 업종별 글로벌 경쟁력 지표나 평가모형을 살펴보면, 제조업의 경우 글로벌 경쟁력 지표로 Competitive Industrial Performance Index(이하 CIP)가 존재하는 것과는 달리, 공신력 있는 글로벌 경쟁력지표가 부재한 상황이다. 따라서, 서비스업의 정책 개발을 위한 자료로 서 서비스 업종에 대한 객관적인 글로벌 경쟁력 지표의 개발과 이를 통한 정책 우선순위의 도출은 중요한 과제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본원의 서비스 업종 글로벌 경쟁력 지수모형을 일부 보완하고 이를 적용하여, 주요 ...
동향 검색 결과 (3건)
... 기록하였으며, 연간 누적 성장률은 4.8%로 중국 정부가 발표한 연간 목표치 5% 달성에 대한 우려가 확대되는 가운데 최근 중국 정부는 경기 부양책을 연속해서 발표 - 3분기 연간 산업생산은 5.8%, 소매판매는 3.3%, 고정투자는 3.4% 상승한 반면, 부동산투자는 -10.1%을 기록 - 3분기 연간 수출은 전년동기 대비 4.3% 증가한 반면, 수입은 2.2%로 상대적으로 부진 - 특히 수출은 역기저효과와 해외 수요 부진, 기상 악화 영향에 따른 수출 지연 등으로 부진 - 9월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가 0.4% 상승함에 따라 전월 대비 상승 폭은 소폭 하락하였고, 생산자물가지수(Producer Price Index, PPI)는 -2.8%를 기록하면서 24개월째 하락세
... 및 핸드폰 등에서 부진 ○ 서비스업은 10월에 코로나19 발생 이후 처음으로 음식숙박업이 9.4%로 성장세로 전환하였으며, 화물운수업과 소매업은 성장세를 유지하였으나, 여객운수업은 여전히 마이너스 성장 지속 □ 11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는 52.1로 최근 3년 중 최고치 ○ 11월 중국 국가통계국의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urchasing Manger's Index, PMI)는 전월 대비 0.7포인트 상승한 52.1을 기록하며 최근 3년 중 최고치를 기록 ○ 제조업 PMI를 기업 규모별로 보면, 모두 기준치를 넘어 성장세를 보였으며, 대형기업과 중형 기업이 높은 수준을 기록 ○ 2020년 11월 Caixin PMI(財新中國通用製造業, 이하 민간치)는 전월보다 1.3포인트 상승한 54.9로 2011년 1월 이후 최고치 갱
... 국유기업이나 민영기업 모두 고른 성장세를 시현 ○ 7월의 업종별 생산량을 보면 대부분의 업종에서 3개월 연속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조선, 섬유, 화학업종 일부 등에서는 부진 ○ 서비스업은 7월에도 운수업, 소매업, 음식숙박업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회복세 전환이 지연 □ 8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는 51.0으로 확장세 유지 ○ 8월 중국 국가통계국의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urchasing Manger's Index, PMI)는 전월 대비 ○ 제조업 PMI를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형기업과 중형기업은 확장세를 유지한 반면 소형기업은 임계치 이하 수준에서 추가 하락 ○ 2020년 8월 Caixin PMI(財新中國通用製造業, 이하 민간치)는 제조업 생산 여건의 개선으로 53.1을 기록하며 연속 임계치 이상
소통 검색 결과 (66건)
... 기준치를 웃돌았다. 세부 업종별 기상도를 보면 반도체와 바이오헬스가 ''맑음'', 자동차와 가전은 ''흐림''으로 예상됐으나 ''비''가 내리는 업종은 없었다. 산업연구원은 9~11일 121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전문가 서베이 지수(PSI·Professional Survey Index)를 조사한 결과, 7월 제조업 전체 업황 전망 PSI가 104를 기록했다고 22일 밝혔다. 4개월 만에 기준치인 100을 웃돌은 수치로 전월 대비로는 11포인트(P)나 상승했다. PSI는 100(전월 대비 변화 없음)을 기준으로 200에 가까울수록 전월보다 업황이 개선됐다는 의견이 많다는 것을, 반대로 0에 근접할수록 업황이 악화했다는 의견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7월 ...
... 하락세…3~4개월 만에 주요 지표 ''후퇴'' 다음달(5월) 국내 제조업 경기에 대한 전문가들의 전망이 어둡게 나타났다. 반도체를 제외한 대부분 업종에서 업황은 물론 생산, 내수, 수출 등 주요 지표가 일제히 하락세를 보이며 기준치를 크게 밑돌았다. 산업연구원이 20일 발표한 '전문가 서베이 지수(PSI·Professional Survey Index)'에 따르면, 127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조사한 5월 제조업 업황 전망 PSI는 73을 기록했다. 이는 기준선(100)에서 무려 27포인트(P) 하회한 수준으로, 전월(99) 대비로는 26P 급락하며 두 달 연속 기준치를 밑돌았다. PSI는 100을 기준으로 수치가 200에 가까울수록 전월보다 경기 전망이 개선됐다는 응답이 많음을 의미하며, 0에 가까울수록 악화 응답이 ...
... 전문가들이 예상한 5월 국내 제조업 상황은 먹구름이 가득했다. 업황은 물론, 생산과 내수, 수출 등 핵심지표 들이 모두 전월 대비 큰 폭의 하락세를 보이며 기준치를 밑돌았다. 세부별 업종별 기상도를 보면 반도체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흐리거나 비가 내렸다. 산업연구원은 7~11일 127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전문가 서베이 지수(PSI·Professional Survey Index)를 조사한 결과, 5월 제조업 업황 전망 PSI가 73을 기록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기준치(100)를 27포인트(P)나 하회한 수치로, 전월(99)보다도 26포인트 급락하며 2개월 연속 기준치에 못 미쳤다. PSI는 100(전월 대비 변화 없음)을 기준으로 200에 가까울수록 전월보다 업황이 개선됐다는 의견이 많다는 것을, 반대로 0에 근접할수록 업황이 악화했다는 ...
첨부파일 검색 결과 (28건)
...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및 구성 (1) 연구의 목적 (2) 연구보고서의 구성 제2장 서비스업 글로벌 경쟁력 평가모형 1. 서비스업 경쟁력 평가모형의 사례 (1) WDC(IMD World Digital Competitiveness) (2) The Global AI Index (3) 2018 글로벌 SW 경쟁력 지수 2. 산업연구원 서비스업 경쟁력 평가모형 3. 결측치에 대한 보간법의 적용 (1) 보간법의 개요 (2) 연구에 고려된 보간법 (3) 보간법의 적용방법 제3장 통신산업 글로벌 경쟁력 평가 1. 통신산업의 개요 및 국내외 현황 (1) 산업의 정의 및 범위 (2) 산업 규모 2. 통신산업 경쟁력 평가항목 및 변수 ...
머리말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구성과 목적 제2장 역동성 지표 및 지수 체계 설계 1. 역동성의 개념 2. 역동성 지표 및 지수 체계 (1) 역동성 지표 체계 (2) 역동성 지표별 세부 설명 3. 분석자료 (1) 분석자료 소개 (2) 분석자료 특성을 고려한 지표 체계의 의미 4. 대상 업종 선별 및 선행 연구 (1) 분석 대상 업종 개괄 (2) 분석 제외 업종 제3장 역동성 지표 및 지수 구축 1. 역동성 지표 체계와 지수 (1) 지수의 정의 및 의의 (2) 지표 및 지수 구축 사례 2. 역동성 지표 산출 결과 (1) 부문별 역동성 지표 산출 결과 (2) 최종 지표 선정 3. 역동성지수 산출 (1) 지표의 정규화 (2) 정규화 방...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연구과제 제안이 접수되었습니다.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부분의 고용 관심사가 항공 및 여행서비스, 음식·숙박 서비스 등 주로 서비스 업종에 집중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제조업의 고용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코로나19 직후 2020년 상반기에 약간 하락하였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하여도 일본과 함께 고용 충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용 성적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내 특성 별로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종사상 지위 별로 보면, 임시·일용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서 고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상용직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큰 충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의 경우 코로나 발생 초기 약간의 충격 이후 고용이 빠르게 반등하면서 코로나 이전보다 고용이 더 증가한 반면, 이보다 작은 규모의 제조업체들의 경우 고용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의 중장기,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 발생 이전 3년간의 추세선을 2020년 1월부터 연장한 선과, 2020년 1월부터의 실제 자료를 이용한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의약품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시작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컴퓨터, 기타운송장비, 가구는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고용 추세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다수 업종은 코로나 발생 이후 고용이 하락하였는데, 특히, 비금속광물, 1차금속, 금속가공 분야나 인쇄·기록매체 업종에서 하락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inform@kiet.re.kr이름 : 박홍서
전화번호 : 044-287-3811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전지적키에트시점] (Eng sub)심상치 않은
국내 대기업 움직임??
KIET 시점에서 보는 미래 로봇 산업 전망은
어떨까요?
경제전문가가 알려드립니다!
(산업연구원 박상수 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