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검색 결과 (7건)
... 서비스 혁신 역량 파악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국가 단위의 서비스 혁신 역량 혹은 경쟁력을 평가하는 글로벌 서비스 혁신 지수는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서비스 혁신 역량을 강화하고 혁신을 통한 성장 전략을 마련하는 데 참고할 수 있는 국제 비교가 가능한 객관적인 지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글로벌 서비스 혁신 지수(Global Service Innovation Index, 이하 GSII)’의 개발 및 국제 비교 평가를 통해 우리나라의 서비스 혁신 수준을 진단하는 것이 목적이다. 서비스 혁신 지수라고 반드시 대상이 서비스산업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국가 차원의 서비스 혁신 역량을 평가하는 지수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지수 개발 관점에서 서비스 혁신의 개념을 정의하고 기존 혁신 ...
제조업에서의 디지털화에 관한 담론은 스마트제조로 귀결되었다. 인더스트리 4.0(Industrie 4.0) 전략을 통해 스마트제조를 선도하고 있는 독일은 스마트서비스월드(SSW, Smart Service Welt) 전략을 통해 초기 스마트공장 등 개별 기업 차원의 스마트화 접근을 가치사슬과 공급사슬의 디지털 통합으로 확장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지속적인 스마트제조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2022년에는 산업 디지털 전환 촉진법의 제정과 시행을 통해 디지털 전환 지원의 수준을 기존 기업 수준에서 산업 수준으로 확대하였다. 이러한 움직임은 산업 활동 과정의 효율화를 지향함으로써 디지털 전환 지원을 위한 본격적인 산업 정책의 법적 근거가 확립되었음을 의미한다. 동시에 스마트제조 생태계를 전제로 지속적인 가치창출을 시도하고 ...
ㆍDevelopment Factors and the Policy for Activating Industrial Innovation Clusters in Regions ㆍ A Study on the Dynamics and Competitiveness of Export Structure in Korea ㆍ A Study on the Economic Reform ... Focusing on the “Our Style of Economic Management” ㆍ Policy Direction for Strengthening Innovation Capacity of Korean Service Firms ㆍ Analysis of Sustainable Growth Capability of Start-up and Survival ...
동향 검색 결과 (1건)
소통 검색 결과 (7건)
... '광의의 방산생태계'로 확대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여기서 민간 주체는 새로운 혁신기술개발기업(innovative new technology developers), 학계(academia), 연구소(research labs), 기술센터(technology centers), 우수생산기업(manufacturing centers of excellence), 서비스 기업(service providers), 정부 소유 계약 운영시설(GOCO: Government-owned, contractor-operated facilities), 사금융 및 벤처 캐피털을 포함하는 금융기관(finance streams)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러-우 전쟁과 이-하마스 전쟁에서의 교훈,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 군사력의 부상, 기존 지·해·공뿐만 아니라 ...
...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Chinese Communist Party)가 2023년 1월 10일 설치되었다. 3) The Diplomatic Service of the European Union(2022), “The Diplomatic Service of the European Union”, 10.10. 4) 총 45인의 기업 및 관학연(비기업) ... 발표한 바 있다. 8) The White House(2022), “Executive Order on Advancing Biotechnology and Biomanufacturing Innovation for a Sustainable, Safe, and Secure American Bioeconomy”, 9.12. 9) The White House(2022), “Report to ...
연구원소개 검색 결과 (1건)
첨부파일 검색 결과 (8건)
머리말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구성 및 방법 (1) 연구 방법 (2) 연구의 구성 및 주요 내용 제2장 서비스 혁신의 이론적 검토 1. 서비스 혁신의 개념 (1) 혁신의 일반적 개념 (2) 오슬로 매뉴얼의 혁신 개념 (3) 서비스 혁신과 서비스 R&D 개념 2. 국내외 혁신 지수 관련 사례 (1) WIPO, 글로벌 혁신 지수(GII) (2) 유럽연합 혁신 스코어보드 (3) WEF, 글로벌 경쟁력 지수 (4) 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COSTII) (5) 기업 혁신 조사 3. 선행 연구 및 본 연구의 차별점 (1) 선행 연구 (2) 본 연구의 차별점 제3장 글로벌 서비스 혁신 지수...
머리말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2장 디지털 전환과 주요 이슈 1. 디지털 전환과 제조혁신 (1) 최신 혁신 동향과 제조혁신 (2) 데이터 주도 혁신(Data-driven innovation) (3) 소결 및 기업의 대응 이슈 2. 디지털 전환과 시장의 작동원리(Market mechanism) (1) 가격 시스템과 자원 배분 (2) 시장구조 (3) 소결 및 기업의 대응 이슈 3. 디지털 전환과 제조 현장 (1) 공정의 디지털 통합 (2) 스마트제조와 디지털 기술 (3) 스마트제조와 디지털 트윈 (4) 소결 및 기업의 대응 이슈 제3장 국내 제조서비스 기업 실태조사 1. 제조서비스의 개요 (1) 제조서비스와 제조 기업의 주요 이슈 ...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연구과제 제안이 접수되었습니다.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부분의 고용 관심사가 항공 및 여행서비스, 음식·숙박 서비스 등 주로 서비스 업종에 집중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제조업의 고용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코로나19 직후 2020년 상반기에 약간 하락하였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하여도 일본과 함께 고용 충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용 성적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내 특성 별로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종사상 지위 별로 보면, 임시·일용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서 고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상용직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큰 충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의 경우 코로나 발생 초기 약간의 충격 이후 고용이 빠르게 반등하면서 코로나 이전보다 고용이 더 증가한 반면, 이보다 작은 규모의 제조업체들의 경우 고용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의 중장기,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 발생 이전 3년간의 추세선을 2020년 1월부터 연장한 선과, 2020년 1월부터의 실제 자료를 이용한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의약품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시작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컴퓨터, 기타운송장비, 가구는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고용 추세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다수 업종은 코로나 발생 이후 고용이 하락하였는데, 특히, 비금속광물, 1차금속, 금속가공 분야나 인쇄·기록매체 업종에서 하락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inform@kiet.re.kr이름 : 박홍서
전화번호 : 044-287-3811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전지적키에트시점] (Eng sub)심상치 않은
국내 대기업 움직임??
KIET 시점에서 보는 미래 로봇 산업 전망은
어떨까요?
경제전문가가 알려드립니다!
(산업연구원 박상수 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