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검색 결과 (2건)
대·중소기업 산업연관표는 한국은행에서 발표하는 전국 산업연관표를 산업별, 기업규모별로 분할하는 방식으로 작성된다. 본래의 산업연관표가 가지는 장점에 더불어 산업별, 기업규모별 연관관계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분석도구로써 대·중소기업 산업연관표는 경제주체의 경제적 위치와 성과를 기업규모별로 구분할 수 있으며, 국민경제의 시각에서 기업규모 간의 직접적인 비교와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특정 연도만을 대상으로 대·중소기업 산업연관표가 작성되거나, 작성주기가 길고 불규칙하여 산업구조의 변화와 경제 환경 변화를 적절히 담아내지 못한다면 대·중소기업 산업연관표를 작성하는 의의가 퇴색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
경제성장 및 소득분배에서 양극화를 고착화시키는 주요인으로 지적되어 온 대·중소기업간 성장격차는 기업이나 산업 등 미시적 측면에서 출발하였다. 그러나 이는 국민경제의 소득창출과 분배구 조, 생산과 수요구조, 산업간 연관구조 등 거시경제적 구조 변화와 도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다. 이에 본 연구는 국민경제 전체를 포괄 하면서도 산업부문을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산업연관분석의 틀 내 에서 대·중소기업간 상호관계를 연계하는 산업연관표를 개발하는 데에서 출발한다. 대·중소기업간 산업연관표는 한국은행의 전국 산업연관표를 비롯한 각종 관련 통계를 이용하여 대기업과 중소기 업 부문으로 분할하여 대·중소기업의 투입-산출 연관구조를 파악 하는 과정을 통해 작성된다. 그리고 작성 결과는 대기업과 중소기 업의 위치와 ...
소통 검색 결과 (1건)
첨부파일 검색 결과 (3건)
머리말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3. 연구 구성 제2장 대·중소기업 산업연관표의 작성 방법 1.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개편 내용 (1) 부문분류 개편 (2) 가격 평가 기준 (3) 잔폐물 처리 (4) 자가공정 산출물 처리 2. 작성 개요 3. 산업분류 및 분할 범위 4. 작성 절차 ... 대·중소기업의 구조 분석 1. 대·중소기업의 국민경제적 위치 분석 (1) 경제의 수급구조상 대·중소기업의 위치 (2) 산업구조상 대·중소기업의 위치 2. 대·중소기업의 산업별 구조 분석 (1) 투입 구조 (2) 수요 구조 (3) 대외거래 구조 (4) 고용 구조 3. 대·중소기업 간 산업연관계수 ...
머리말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및 연구의 구성 제2장 대·중소기업 산업연관표의 작성 1. 대·중소기업 산업연관표 작성 개요 및 산업분류 2. 대·중소기업 산업연관표의 작성절차 제3장 대·중소기업의 구조 분석(2012-2013년 비교를 중심으로) 1. 대·중소기업의 국민경제적 위치 분석 2. 대·중소기업의 산업별 구조 분석 3. 대·중소기업간 산업연관계수 분석 제4장 대·중소기업 산업연관표를 활용한 응용연구 1. 중소기업의 수출 기여도 2. 낙수효과에 대한 논의와 대·중소기업 산업연관표의 응용 분석 제5장 결론 및 ...
머리말 요약 1. 서론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의 차별성 및 구성 2. 대ㆍ중소기업 산업연관표의 작성 1.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개편내용 2. 대·중소기업 산업연관표의 작성 방식 및 절차 3. 중소기업 구매 및 판매 구조에 관한 실태조사 4. 통계청 경제총조사 활용 5. 투입계수의 HS조건 검정 3. 대ㆍ중소기업의 구조 분석 1. 대·중소기업의 국민경제적 위치분석 2. 대·중소기업의 산업별 구조 분석 3. 대·중소기업간 산업연관계수 분석 4. 한ㆍ일간 기업규모별 산업연관관계 비교 분석 1. 일본 대·중소기업 산업연관표의 작성 개요 2. 한·일간 제조업부문 중소기업의 경제적 위치 비교 3. 유발계수 비교 4.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비교 5. 결론 ...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연구과제 제안이 접수되었습니다.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부분의 고용 관심사가 항공 및 여행서비스, 음식·숙박 서비스 등 주로 서비스 업종에 집중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제조업의 고용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코로나19 직후 2020년 상반기에 약간 하락하였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하여도 일본과 함께 고용 충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용 성적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내 특성 별로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종사상 지위 별로 보면, 임시·일용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서 고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상용직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큰 충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의 경우 코로나 발생 초기 약간의 충격 이후 고용이 빠르게 반등하면서 코로나 이전보다 고용이 더 증가한 반면, 이보다 작은 규모의 제조업체들의 경우 고용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의 중장기,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 발생 이전 3년간의 추세선을 2020년 1월부터 연장한 선과, 2020년 1월부터의 실제 자료를 이용한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의약품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시작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컴퓨터, 기타운송장비, 가구는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고용 추세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다수 업종은 코로나 발생 이후 고용이 하락하였는데, 특히, 비금속광물, 1차금속, 금속가공 분야나 인쇄·기록매체 업종에서 하락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inform@kiet.re.kr이름 : 최상명
전화번호 : 044-287-3811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전지적키에트시점] (Eng sub)심상치 않은
국내 대기업 움직임??
KIET 시점에서 보는 미래 로봇 산업 전망은
어떨까요?
경제전문가가 알려드립니다!
(산업연구원 박상수 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