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검색 결과 (27건)
연구의 배경 및 목적 탄소중립, 자원 안보, 산업경쟁력 강화의 관점에서 순환경제로의 전환이 강조되며, 글로벌 사회와 주요 선진국을 중심으로 관련 논의와 구체적인 정책 도입이 본격화 특히 배터리산업의 순환경제 추진이 강조되고 있는데, 이는 주요국이 탄소중립 목표 달성의 수단으로 내연기관차 금지 정책을 도입하고, 첨단산업의 중심에 배터리가 핵심 동력으로 사용되기 때문 미국은 인플레이션감축법을 통해 폐배터리에서 추출한 광물을 미국에서 재가공 시 세액공제를 제공하고, 유럽연합(European Union, 이하 EU)은 핵심원자재법, 배터리법 등을 통해 폐배터리 재활용에 초점을 맞춘 원자재 공급망 구축 목표를 제안 EU는 높은 순환성을 달성한 국가이자 관련 규범 도입을 선도 본 연구에서는 EU의 순환경제 및 배터리분야 ...
트럼프 정부가 출범한 2017년부터 미ㆍ중 통상분쟁이 시작되었고 이후 본격적인 대중국 압박이 시작된 2018년 초부터 2022년 바이든 정부의 반도체과학법과 인플레이션감축법의 제정 그리고 2023년부터 이어서 발표되고 있는 가이드라인까지 미국 정부는 점점 강도를 높여 중국을 견제하고 있다.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공화당 정부나 바이든 대통령의 민주당 정부를 막론하고 중국을 글로벌 패권의 경쟁자로 인식하면서 이전과는 달리 산업 분야에서 매우 강도 높은 대중국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이에 중국은 때로는 상응하는 보복조치를 취하고 대미국 기술의존도를 낮추면서 산업자립화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전략성신흥산업이라는 신산업 분야에서 자립화를 목적으로 산업 육성에 주력하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산업통상환경 변화 속에서...
2024년은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외교관계가 새로운 반세기를 열고 2020년부터 시작된 양국의 산업혁신 공동연구를 마무리하는 해이다. 인도네시아는 에너지 광물 자원과 노동가능인구가 풍부하여 성장 잠재력이 높은 개발도상국 중 하나였다. 그러나 인도네시아 경제성장은 2억6,000명 이상의 인구를 기반으로 한 내수 시장과 노동집약적인 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2018년 9월 한국을 방문한 인도네시아 조코위 대통령은 정상회담 이후 인도네시아 4차 산업혁명 정책의 시행을 위해 한국이 가진 정책 협력을 요청하였다. 이에 한국 경제인문사회연구회와 인도네시아 산업부는 양국 정상의 입회하에 ‘한-인니 산업혁신 연구협력 MOU’를 체결하여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공동연구, 역량강화, 국제 세미나 ...
동향 검색 결과 (8건)
산업연구원은 2025년 9월 15~16일 서울 프레이저 플레이스 센트럴에서 KIET-CCOP 국제컨퍼런스 “Shaping ASEAN’s Critical Mineral Future”을 개최하였다. 이번 컨퍼런스는 산업연구원과 아시아지질자원위원회(CCOP)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한-아세안 협력기금(AKCF)의 지원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날 메인 컨퍼런스에서는 △희토류 지정학과 글로벌 공급망 전망 △에너지 전환을 위한 핵심광물 가치사슬 구축 △ASEAN-한국 협력 프로젝트 성과 △아시아·태평양 제조업과 핵심광물 수요 전망 △한국의 핵심광물 전략 △아세안 산업 경쟁력과 글로벌 가치사슬(GVC) 연계 등 다양한 주제가 발표되었다. 둘째 날에는 아세안 각국 대표단이 국가별 ...
중국 정부(자연자원부)는 자국 광물자원 수요 증가에 대비하고, 경제 및 국가 안보, 전략적 신흥산업 발전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 차원의 ‘국가광물자원계획(全国矿产资源规划)’ 정책을 수립 2016년 11월 개정된 규획(2016~2020년)에서는 ① 안전하고 안정적인 광물자원 공급 보장, ② 환경친화적 광산개발, ③ 광물자원 품질 및 생산효율 향상, ④ 광산개발 최적화 등을 2020년까지의 목표로 제시
... 통해 전인대 대표들과 전국정협 위원들이 다양한 의견을 제시 ○전인대 대표인 리량빈(李良彬) 간펑리튬(赣锋锂业) 회장은 국내에서 배터리 회수 기술을 육성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 보장을 전제로 자원 탐사 개발에 대한 투자를 촉진하면서, 해외에서는 기업이고품질 광산을 찾을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언급 ○전인대 대표인 인퉁웨(尹同跃) 치루이홀딩스그룹(奇瑞控股集团) 회장은 동력 배터리 제조에 필요한 리튬·코발트·니켈을 국가전략비축자원에 포함하고 일대일로 연선국과 협력하며 특히 국유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것을 제안 - 인퉁웨 회장은 중국이 해외에서 채굴된 광물을 국내로 들여와 가공 후 판매·사용하고 있는데, 볼리비아와 쿠바 등 일대일로 국가에도 양질의 광물자원이 분포한다고 설명
소통 검색 결과 (153건)
... 첨단 산업의 핵심 소재·부품들. 전기차 배터리에 쓰이는 전구체와 수산화리튬, 반도체 웨이퍼 불순물 제거에 필요한 무수불산 등 중국산에 90% 넘게 의존하는 경우가 상당숩니다. [장상식/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 : "미국이 일부 핵심 광물에 대해서는 최저 가격 보장제를 시행을 하거든요. 차익은 미국 정부가 내든지 미국 구매업체가 담당하게 됩니다. 비슷한 정책을 한 번 고려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2019년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 안보를 이유로 주요 자원 수출에 자주 빗장을 걸어온 중국. 그 때마다 우리 기업과 정부도 소재 국산화에 나섰지만, 산업 생태계를 장악한 중국 공세에 대량 생산으로 이어지지는 않았습니다. [이준/산업연구원 경영부원장 : "R&D(연구개발)로 풀 수 있는 문제가 아니고 결국은 ...
... 한-아세안 협력기금 지원으로 국제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안정적 공급망 확보, 지속가능성 강화, 그리고 미래 협력 방향'을 주제로, 아세안의 다양한 광물 자원과 아세안 및 한국의 산업 수요를 연계하는 한편, 이를 위한 한국-아세안 효과적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특히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가운데, ESG 기준 강화·디지털 ... 기회에 대응하는 전략들이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개회 세션에서는 하대국 외교부 아세안협력과 과장의 환영사와 김천곤 산업연구원 부원장의 개회사가 있었으며, 김연규 한양대학교 교수가 희토류 자원의 지정학적 중요성을 주제로 발표했다. 이후 UN ESCAP, ADB,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해광업공단,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등 국내외 민관·산학을 아우르는 국내외 주요 기관 전문가들이 ...
... 하다. 회원국 간 기술력과 시장 규모는 상호 보완적이다. 미국은 인공지능(AI) 알고리즘과 그래픽처리장치(GPU) 생태계, 한국과 대만은 반도체, 일본은 첨단 소재.장비, 동남아는 인적자원과 광물자원에서 경쟁력이 있다. APEC이 이런 보완성을 체계화한다면 공동 연구개발을 통해 혁신의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21세기 경제 패권을 좌우하는 핵심 기술이자 공동 ... 연계한 'APEC 스타트업 피치 데이' 같은 구체적 행사 추진도 도움 될 것이다. 두 번째, 공급망 신뢰 구축의 리더십을 확보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한국은 희토류를 포함한 핵심 광물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APEC 차원의 '공동 광물 비축 기구' 설립, '재활용 소재 공동 연구'를 제안한다면, 공급망 허브 국가로서 위상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세 번째, ...
첨부파일 검색 결과 (36건)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방법 및 구성 제2장 순환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국제사회 논의 1. 순환경제 개념 2. 순환경제로의 전환에 관한 국제사회 논의 동향 (1) UN SDGs와 순환경제 간 연계성 (2) UNEP 순환경제와 자원효율성을 위한 국제동맹(Global Alliance on Circular Economy and Resource Efficiency) (3) WTO TESSD(Trade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Structured Discussion) (4) G7 자원효율성 동맹(G7 Alliance on Resource Efficiency) (5) G20 자원효율성 다이얼로그(G20 Resource Efficiency ...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연구과제 제안이 접수되었습니다.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부분의 고용 관심사가 항공 및 여행서비스, 음식·숙박 서비스 등 주로 서비스 업종에 집중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제조업의 고용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코로나19 직후 2020년 상반기에 약간 하락하였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하여도 일본과 함께 고용 충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용 성적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내 특성 별로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종사상 지위 별로 보면, 임시·일용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서 고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상용직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큰 충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의 경우 코로나 발생 초기 약간의 충격 이후 고용이 빠르게 반등하면서 코로나 이전보다 고용이 더 증가한 반면, 이보다 작은 규모의 제조업체들의 경우 고용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의 중장기,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 발생 이전 3년간의 추세선을 2020년 1월부터 연장한 선과, 2020년 1월부터의 실제 자료를 이용한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의약품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시작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컴퓨터, 기타운송장비, 가구는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고용 추세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다수 업종은 코로나 발생 이후 고용이 하락하였는데, 특히, 비금속광물, 1차금속, 금속가공 분야나 인쇄·기록매체 업종에서 하락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inform@kiet.re.kr이름 : 박홍서
전화번호 : 044-287-3811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전지적키에트시점] (Eng sub)심상치 않은
국내 대기업 움직임??
KIET 시점에서 보는 미래 로봇 산업 전망은
어떨까요?
경제전문가가 알려드립니다!
(산업연구원 박상수 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