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t 산업연구원 kiet 산업연구원

SITEMAP

NEWSLETTER 구독신청

연구보고서

당해 연도의 연구 방향 및 중점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수행하는 연구원의 대표 보고서

표지
디지털 전환에 대응한 국내 제조혁신역량 분석과 정책과제 원문 미리보기원문 다운로드 2019.11.21

# 제조혁신 # 디지털전환
머리말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2장 제조혁신과 성과창출

1. 혁신의 개념
(1) 혁신의 개념과 범위
(2) 혁신에 대한 접근
2. 제조혁신과 디지털 전환
(1) 제조혁신의 개념
(2) 디지털 전환의 구현
(3) 제조혁신 관련 정책 추진 동향
(4) 디지털 전환에 따른 제조혁신

제3장 디지털 전환 준비도 실태조사

1. 디지털 전환의 측정
(1) 디지털 전환에 대한 측정 시도
(2) Smart Industry Readiness Index의 접근
(3) 제조혁신과 Smart Industry Readiness Index
2. 실태조사 개요
3. 주요 실태조사 결과
(1) 핵심성과지표(KPI) 및 제조혁신 평가
(2) 디지털 전환 이행 수준 평가
(3) 제조혁신 정부 지원
4. 소결 및 시사점

제4장 디지털 전환에 따른 제조혁신역량 결정요인 분석

1. 개요
2. 변수 구축과 추정모형
(1) 변수 구축
(2) 종속변수의 기본통계량
(3) 추정모형
3. 추정결과
(1) 디지털 전환 추진 여부 결정요인
(2) 디지털 전환 추진 의향 결정요인
(3) 부문별 디지털 전환 수준 결정요인
4. 결론 및 시사점
(1) 디지털 전환 추진 동향
(2) 정책적 시사점

제5장 디지털 전환을 통한 국내 제조혁신 역량제고를 위한 정책방향

1. 기업 수준의 정책 과제
(1) 디지털 전환 수준의 격차 축소
2. 산업 수준의 정책과제
3. 제조생태계 수준의 정책과제
(1) 디지털 제조생태계 조성
(2) 대기업-거래 기업간 관계 재정립
4. 기존 지원정책의 효과성 제고
(1) 스마트공장 지원방안의 보완
(2) 기존 지원정책의 보완

참고문헌

부록

우리나라는 2019년 블룸버그 혁신지수(Bloomberg Innovation Index)에 의해 6년 연속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국가(Most Innovative Country)로 선정되었으며 이코노미스트誌(The Economist)가 집계하는 자동화로봇의 도입률(Automation Readiness Index)은 2018년 세계 1위의 수준으로 평가되어 공정 자동화 수준이 독일, 싱가포르, 일본 등 제조 선진국과 견주어 뒤지지 않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이러한 외형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제조업은 급속하게 활력을 잃어가고 있으며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생산성 격차 확대로 산업생태계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즉, 우리나라는 적극적이며 집중적인 R&D 활동으로 세계적 수준의 과학기술 혁신 역량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혁신이 경제적 성과로 이어지지 못하는 모순적 상황 소위, 한국형 역설(Korean Paradox)의 상황을 직면하고 있다.
혁신을 실질적인 경제적 성과창출로 연계하기 위해서는 기존 혁신 연구에서 전제하는 성과창출 경로와의 차별화가 요구된다. 국내 혁신 연구는 연구개발 활동 자체의 효율성 제고가 중시되어 정책적 관심 역시 새로운 기술과 제품 개발 등의 결과물(outcome)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결과물이 경제적 성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기업과 산업의 성과창출 과정을 포함하는 보다 복잡한 성과창출 경로를 거치게 된다. 따라서 국내 혁신관련 정책의 논의를 제조현장과 산업에서 요구하는 제조혁신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디지털 전환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부합하는 우리 제조 기업의 혁신역량 제고와 경제적 성과창출로의 연계가 요구된다.  

보도 자료

동일 주제 보고서

정책자료 독일 인더스트리 4.0 전략의 확산·발전 동향과 정책적 시사점
# 인더스트리 4.0 # 제조혁신 # 디지털 전환 # 4차 산업혁명
장윤종, 2018.05.30
이슈 페이퍼 제조혁신과 소재산업 - 첨단소재와 3D 프린팅을 중심으로 -
# 제조혁신 # 스마트공장 # 3D 프린팅 # 적층가공 # 소재
2016.06.24
목록
공공누리

산업연구원의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KIET 이메일 주소 확인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IET 만족도 조사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IET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live

KTV생방송 대한민국, 뉴노멀 시대 서비스산업 정책 과제는?

주관 : 산업연구원

연구진 소개

  • 학력
    • Osaka Prefecture University (Ph.D)
    경력
    • 2021.06 - 현 재 제22대 산업연구원 원장
    • 2017.10 - 2019.05 대통령비서실 중소기업비서관/중소벤처비서관 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
    • 2015.04 - 2017.10 한국중소기업학회 부회장
    • 2015.03 - 2017.02 한국산업조직학회 감사
    • 2009.03 - 2017.10 한국동북아경제학회 이사
보고서
접수완료

연구과제 제안이 접수되었습니다.

접수완료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세미나 팝업_세미나
팝업_유튜브 영상

요약 보기

월간 KIET 산업경제 코로나19 발생 이후 제조업 고용 변화: 중간 점검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부분의 고용 관심사가 항공 및 여행서비스, 음식·숙박 서비스 등 주로 서비스 업종에 집중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제조업의 고용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코로나19 직후 2020년 상반기에 약간 하락하였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하여도 일본과 함께 고용 충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용 성적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내 특성 별로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종사상 지위 별로 보면, 임시·일용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서 고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상용직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큰 충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의 경우 코로나 발생 초기 약간의 충격 이후 고용이 빠르게 반등하면서 코로나 이전보다 고용이 더 증가한 반면, 이보다 작은 규모의 제조업체들의 경우 고용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의 중장기,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 발생 이전 3년간의 추세선을 2020년 1월부터 연장한 선과, 2020년 1월부터의 실제 자료를 이용한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의약품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시작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컴퓨터, 기타운송장비, 가구는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고용 추세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다수 업종은 코로나 발생 이후 고용이 하락하였는데, 특히, 비금속광물, 1차금속, 금속가공 분야나 인쇄·기록매체 업종에서 하락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KIET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inform@kiet.re.kr
KiET 직원 정보 확인
감 사

이름 : 최상명

전화번호 : 044-287-3811

KIET 직원 정보 확인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비밀번호 확인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KIET 홍보동영상

[전지적키에트시점] (Eng sub)심상치 않은
국내 대기업 움직임??
KIET 시점에서 보는 미래 로봇 산업 전망은
어떨까요?
경제전문가가 알려드립니다!
(산업연구원 박상수 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