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t 산업연구원 kiet 산업연구원

SITEMAP

NEWSLETTER 구독신청

연구보고서

당해 연도의 연구 방향 및 중점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수행하는 연구원의 대표 보고서

표지
중국 동부지역의 주요 산업별 진출 전략 - 징진지(京津冀) 지역을 중심으로 [제1권 : 통상ㆍ산업편] 원문 미리보기원문 다운로드 2018.12.06

# 징진시 # 베이징 # 텐진 # 허베이 # 슝안 # 산업 # 정책 # 진출방안
요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과 목적
1. 연구 배경과 필요성
2. 연구 목적

제2절 선행 연구 검토와 연구 범위
1. 선행 연구 검토
2. 연구 범위

제3절 연구 구성과 추진체계

제4절 기대효과

제2장 징진지의 경제적 위상과 발전정책

제1절 징진지의 경제적 위상과 산업구조
1. 징진지의 경제적 위상
2. 징진지의 산업구조

제2절 징진지 소비시장의 특성
1. 베이징의 소비시장
2. 톈진의 소비시장
3. 허베이의 소비시장

제3절 징진지의 13ㆍ5 규획과 산업정책
1. 베이징의 13ㆍ5 규획과 산업정책
2. 톈진의 13ㆍ5 규획과 산업정책
3. 허베이의 13ㆍ5 규획과 산업정책
4. 징진지와 창장경제권의 주요 산업 비교

제3장 징진지 지역의 주요 산업

제1절 징진지 산업통합전략 추진 배경과 동향 분석
1. 징진지협동발전규획강요와 산업이전 계획
2. 징진지 지역의 13ㆍ5 규획과 기대효과
3. 징진지 지역의 제조업 위상과 지역별 특징

제2절 징진지 지역의 승용차산업 분석
1. 중국 승용차산업의 개황 및 역내 현황
2. 역내 주요 기업 분석
3. 징진지 승용차산업 정책의 중점 방향과 시사점

제3절 징진지 지역의 철강산업 분석
1. 철강산업에서의 징진지 위상
2. 역내 주요 기업 분석
3. 13ㆍ5 규획 기간의 중국 철강산업 정책

제4절 징진지 지역의 디스플레이산업 분석
1. 중국 디스플레이산업의 개황 및 역내 현황
2. 역내 주요 기업 분석
3. 징진지 디스플레이산업 정책의 중점 방향과 시사점

제5절 징진지 지역의 스마트폰산업 분석
1. 중국 스마트폰산업의 개요
2. 중국의 스마트폰산업 관련 정책
3. 징진지의 스마트폰 기업 분석
4. 우리나라 스마트폰 기업의 SWOT 분석 및 SWOT 전략
5. 평가 및 종합적 대응전략

제4장 징진지 지역의 대외경제 협력 현황과 한중 산업협력

제1절 징진지 지역의 수출입 구조
1. 징진지의 수출입과 무역수지 추이
2. 징진지의 국가별 수출입 구조
3. 징진지의 산업별 수출입 구조
4. 무역특화지수 변화 추이

제2절 외국인 직접투자 규모 및 구조
1. 베이징
2. 톈진
3. 허베이

제5장 한국 기업의 징진지 지역 진출 현황 및 애로 요인

제1절 한국의 징진지 교역구조 분석
1. 한국과 베이징 간 교역 추이와 산업별 수출입 구조
2. 한국과 톈진 간 교역 추이와 산업별 수출입 구조
3. 한국과 허베이 간 교역 추이와 산업별 수출입 구조

제2절 한국 기업의 투자진출 현황과 애로 요인
1. 한국의 징진지에 대한 투자 위상과 특징
2. 베이징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현황과 특징
3. 톈진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현황과 특징
4. 허베이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현황과 특징
5. 징진지 한국계 기업의 현지 경영 시 애로 요인

제6장 징진지 지역 진출 활성화 전략

제1절 징진지 지역의 SWOT
1. 강점(Strengths)과 기회(Opportunities)
2. 약점(Weaknesses)과 위협(Threats)

제2절 협력 유망 품목과 분야
1. 최종소비재
2. 부품소재와 설비
3. 서비스산업

제3절 정부 차원의 우선 협력 사업과 제도적 협력 기반 구축
1. 징진지 발전전략을 활용하기 위한 양국 자치단체 간 플랫폼 구축
2. 한중 미래산업에서의 협력 강화
3. 국가 이미지 개선 및 중국에서의 반한 감정 해소
4. 중국 기업의 대한국 투자 적극 유치

제4절 기업 차원의 진출 활성화 전략
1. 현지 정부의 정책에 대한 이해 심화와 활용
2. 현지화와 중국계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 강화
3. 새로운 업태와 마케팅을 활용한 시장 진출

참고문헌

Abstract

중국 동부지역(직할시)은 베이징(北京), 톈진(天津), 허베이(河北)를 포함하고 있으며, 징진지(京津冀)라고 불린다. 중국 정부는 베이징 인구 집중으로 환경오염, 교통 혼잡, 수자원 부족 문제 등 도시문제가 심화되자 톈진과 허베이성으로 베이징의 기능을 분산시켜 도시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더불어 중국 정부는 톈진과 허베이성의 경제 발전도 꾀하고 있다.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징진지는 상호보완성이 매우 높은 지역에 해당한다. 베이징은 중국의 수도로서 정치의 중심지일 뿐만 아니라 컨벤션 및 호텔ㆍ외식 등 관광 관련 산업이 발전한 곳이다. 또한 미국의 실리콘밸리를 모델로 하여 발전시킨 IT산업의 메카라 할 수 있는 중관춘(中關村) 첨단산업단지를 보유하고 있다. 톈진은 바다에 연접하고 있어 징진지의 무역창구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으며, 빈하이신구가 지정되면서 상당 기간 톈진의 고성장을 이끌어왔다. 허베이는 수도권의 배후지임에도 불구하고 성장이 정체된 지역이라 할 수 있으나 슝안(雄安)신구이기에 향후 고도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징진지협동발전전략의 구체적인 계획을 산업과 특구, 교통인프라 등의 측면에서 파악하고 정책 방향과 추진 현황을 분석하여 우리 기업의 진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보도 자료

동일 주제 보고서

i-KIET 산업경제이슈 2023년 양회(两会)로 살펴본 중국 경제·산업정책 방향
# 중국 양회 # 중국 경제 # 중국 산업정책
2023.03.31
연구보고서 한국 산업발전 비전 2030 : 제1권 총론편
# 산업비전 # 산업정책 # 제조업 # 서비스업
조영삼, 김원규,유진근, 홍성인, 김경문, 윤자영, 강경훈,김삼희,박명준,박세경,박진용,유호석,최영섭 2019.12.05
연구보고서 산업구조 변화와 집계 생산성 추세의 장기 패턴에 관한 연구
# 산업구조 # 생산성 # 경제성장 # 산업화 # 탈산업화 # 성장둔화
강두용, 2019.11.20
연구보고서 지역별 산업역량분석을 통한 지역발전 전략 - 산업경제통계권(ISA) 분석을 중심으로 -
# 산업역량 # 산업경제통계권 # 지역발전 # 지역산업
2017.12.27
연구보고서 한국 제조업의 구조고도화를 위한 산업융합 활성화 방안
# 산업융합 # 제조업 # 성장동력
서동혁, 이훈혜,주대영,최재영 2013.12.27
연구보고서 중국의 식품시장 전망과 국내 식품산업의 대응방안
# 중국 # 식품시장 # 식품산업
조영삼,조은정,최재영 2013.11.25
연구보고서 산업기술인력의 경력경로에 관한 연구 -소프트웨어산업을 중심으로-
# 산업기술인력 # 경력경로 # SW 엔지니어
최희선,조진환 2012.12.31
연구보고서 산업발전과 일자리창출
# 산업발전 # 일자리창출
송병준 2012.12.31
연구보고서 고령화를 고려한 중장기 산업구조 전망
# 산업전망 # 산업계량모형 # 고령화
김바우, 2012.12.24
연구보고서 한국 산업의 수출다각화 패턴 분석 - 제품다양화 및 지역다변화를 중심으로 -
# 산업 # 수출 # 다각화 # 제품다양화 # 지역다변화
신현수, 2011.12.30
연구보고서 산업구조의 선진화와 산업정책
# 산업구조 # 선진화 # 산업정책
이건우, 조윤애 2011.12.30
i-KIET 산업경제이슈 2023년 양회(两会)로 살펴본 중국 경제·산업정책 방향
# 중국 양회 # 중국 경제 # 중국 산업정책
2023.03.31
연구보고서 한국 산업발전 비전 2030 : 제1권 총론편
# 산업비전 # 산업정책 # 제조업 # 서비스업
조영삼, 김원규,유진근, 홍성인, 김경문, 윤자영, 강경훈,김삼희,박명준,박세경,박진용,유호석,최영섭 2019.12.05
연구보고서 산업구조 변화와 집계 생산성 추세의 장기 패턴에 관한 연구
# 산업구조 # 생산성 # 경제성장 # 산업화 # 탈산업화 # 성장둔화
강두용, 2019.11.20
연구보고서 지역별 산업역량분석을 통한 지역발전 전략 - 산업경제통계권(ISA) 분석을 중심으로 -
# 산업역량 # 산업경제통계권 # 지역발전 # 지역산업
2017.12.27
목록
공공누리

산업연구원의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KIET 이메일 주소 확인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IET 만족도 조사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IET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live

KTV생방송 대한민국, 뉴노멀 시대 서비스산업 정책 과제는?

주관 : 산업연구원

연구진 소개

  • 학력
    • Osaka Prefecture University (Ph.D)
    경력
    • 2021.06 - 현 재 제22대 산업연구원 원장
    • 2017.10 - 2019.05 대통령비서실 중소기업비서관/중소벤처비서관 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
    • 2015.04 - 2017.10 한국중소기업학회 부회장
    • 2015.03 - 2017.02 한국산업조직학회 감사
    • 2009.03 - 2017.10 한국동북아경제학회 이사
보고서
접수완료

연구과제 제안이 접수되었습니다.

접수완료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세미나 팝업_세미나
팝업_유튜브 영상

요약 보기

월간 KIET 산업경제 코로나19 발생 이후 제조업 고용 변화: 중간 점검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부분의 고용 관심사가 항공 및 여행서비스, 음식·숙박 서비스 등 주로 서비스 업종에 집중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제조업의 고용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코로나19 직후 2020년 상반기에 약간 하락하였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하여도 일본과 함께 고용 충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용 성적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내 특성 별로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종사상 지위 별로 보면, 임시·일용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서 고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상용직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큰 충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의 경우 코로나 발생 초기 약간의 충격 이후 고용이 빠르게 반등하면서 코로나 이전보다 고용이 더 증가한 반면, 이보다 작은 규모의 제조업체들의 경우 고용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의 중장기,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 발생 이전 3년간의 추세선을 2020년 1월부터 연장한 선과, 2020년 1월부터의 실제 자료를 이용한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의약품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시작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컴퓨터, 기타운송장비, 가구는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고용 추세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다수 업종은 코로나 발생 이후 고용이 하락하였는데, 특히, 비금속광물, 1차금속, 금속가공 분야나 인쇄·기록매체 업종에서 하락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KIET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inform@kiet.re.kr
KiET 직원 정보 확인
감 사

이름 : 최상명

전화번호 : 044-287-3811

KIET 직원 정보 확인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비밀번호 확인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KIET 홍보동영상

[전지적키에트시점] (Eng sub)심상치 않은
국내 대기업 움직임??
KIET 시점에서 보는 미래 로봇 산업 전망은
어떨까요?
경제전문가가 알려드립니다!
(산업연구원 박상수 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