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t 산업연구원 kiet 산업연구원

SITEMAP

NEWSLETTER 구독신청

연구보고서

당해 연도의 연구 방향 및 중점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수행하는 연구원의 대표 보고서

표지
BRICs의 자동차산업 경쟁구조 분석과 우리 산업의 진출 전략 - 산업 혁신시스템(SIS) 분석을 중심으로 - 원문 미리보기원문 다운로드 2012.12.27

# BRICs # 브라질 # 러시아 # 인도 # 중국 # 자동차
머리말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주요 연구 내용
3. 선행 연구와의 차별성 및 연구의 한계

제2장 산업 혁신시스템(SIS)의 이론적 배경 및 연구 분석 틀

1. 자동차산업의 성장과 기술혁신
2. 산업 혁신시스템(SIS) 이론과 경쟁력
(1) 혁신시스템 이론
(2) 4대 혁신주체(Actors): 대기업, 혁신 중소기업, 대학, 정부
(3) 지식 확산효과(Knowledge Spillover Effects)의 세 요소
(4) 산업 클러스터(Cluster): 네트워크 확장
(5) 산업 혁신시스템(SIS)과 시장 확대 및 산업 협력
3. 연구의 분석 틀
(1) 혁신주체 역량 부문
(2) 기술전략 부문
(3) 산업 클러스터 부문
(4) 제품역량 부문

제3장 BRICs 국별 자동차산업 혁신시스템 분석

1. 브라질 자동차산업의 혁신시스템 분석
(1) 자동차 시장 현황
(2) 혁신주체 역량 부문
(3) 기술전략 부문
(4) 산업 클러스터 부문
(5) 제품역량 부문
2. 러시아 자동차산업의 혁신시스템 분석
(1) 자동차 시장 현황
(2) 혁신주체 역량 부문
(3) 기술전략 부문
(4) 산업 클러스터 부문
(5) 제품역량 부문
3. 인도 자동차산업의 혁신시스템 분석
(1) 자동차 시장 현황
(2) 혁신주체 역량 부문
(3) 기술전략 부문
(4) 산업 클러스터 부문
(5) 제품역량 부문
4. 중국 자동차산업의 혁신시스템 분석
(1) 자동차산업 현황
(2) 혁신주체 역량 부문
(3) 기술전략 부문
(4) 산업 클러스터 부문
(5) 제품역량 부문

제4장 한국과 BRICs 자동차산업 혁신시스템 비교분석의 시사점

1. 한국 자동차산업의 혁신시스템 분석
(1) 자동차 시장 현황
(2) 혁신주체 역량 부문
(3) 기술전략 부문
(4) 산업 클러스터 부문
(5) 제품역량 부문
2. 한국 자동차산업의 BRICs 진출 현황
(1) 자동차 수출입 현황
(2) BRICs 현지 투자와 생산 현황
(3) 부품업체의 동반 진출 및 현지 조달
(4) 시사점
3. 한국과 BRICs의 자동차산업 혁신시스템 비교분석 결과와 시사점
(1) 한국과 브라질 자동차산업 비교분석 및 시사점
(2) 한국과 러시아 자동차산업 비교분석 및 시사점
(3) 한국과 인도 자동차산업 비교분석 및 시사점
(4) 한국과 중국 자동차산업 비교분석 및 시사점

제5장 대 BRICs 자동차 시장 진출 및 산업 협력 방안

1. 한국과 BRICs 자동차산업 혁신시스템 실증분석 및 시사점
(1) 자료 및 방법론
(2) 실증분석 결과와 정책적 시사점
2. 자동차산업 혁신시스템의 부문별 협력 방안
(1) 혁신주체 역량 부문 협력 방안
(2) 기술전략 부문 협력 방안
(3) 산업 클러스터 부문 협력 방안
(4) 제품역량 부문 협력 방안

참고문헌

부표

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국가들은 세계 자동차 메이커들
의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다. BRICs 국가들의 낮은 자동차 보급률과
선진국에 비해 높은 경제성장으로 중\고소득자 층이 확대되어 자동
차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세계 전체 인구의 약 42%를 차지하는 BRICs 국가의 자동차 시장은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브라질의 2012년 자동차 시장 규모는 377
만대였고, 러시아의 승용차 및 경상용차 시장도 2012년에 약 300만대
수준을 회복하여, 2020년에는 약 400만대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인도의 경우에도 2015년경 순 승용차 규모만 320만대의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11년 1,447만대의 승용차 판매 대수를 기록한
중국의 자동차 시장 규모는 지난 10년간 연평균 24% 이상 성장하여
이미 2009년에 미국을 제치고 세계 1위 국가로 부상하였다.

보도 자료

목록
공공누리

산업연구원의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KIET 이메일 주소 확인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IET 만족도 조사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IET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live

KTV생방송 대한민국, 뉴노멀 시대 서비스산업 정책 과제는?

주관 : 산업연구원

연구진 소개

  • 학력
    • Osaka Prefecture University (Ph.D)
    경력
    • 2021.06 - 현 재 제22대 산업연구원 원장
    • 2017.10 - 2019.05 대통령비서실 중소기업비서관/중소벤처비서관 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
    • 2015.04 - 2017.10 한국중소기업학회 부회장
    • 2015.03 - 2017.02 한국산업조직학회 감사
    • 2009.03 - 2017.10 한국동북아경제학회 이사
보고서
접수완료

연구과제 제안이 접수되었습니다.

접수완료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세미나 팝업_세미나
팝업_유튜브 영상

요약 보기

월간 KIET 산업경제 코로나19 발생 이후 제조업 고용 변화: 중간 점검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부분의 고용 관심사가 항공 및 여행서비스, 음식·숙박 서비스 등 주로 서비스 업종에 집중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제조업의 고용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코로나19 직후 2020년 상반기에 약간 하락하였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하여도 일본과 함께 고용 충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용 성적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내 특성 별로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종사상 지위 별로 보면, 임시·일용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서 고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상용직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큰 충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의 경우 코로나 발생 초기 약간의 충격 이후 고용이 빠르게 반등하면서 코로나 이전보다 고용이 더 증가한 반면, 이보다 작은 규모의 제조업체들의 경우 고용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의 중장기,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 발생 이전 3년간의 추세선을 2020년 1월부터 연장한 선과, 2020년 1월부터의 실제 자료를 이용한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의약품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시작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컴퓨터, 기타운송장비, 가구는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고용 추세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다수 업종은 코로나 발생 이후 고용이 하락하였는데, 특히, 비금속광물, 1차금속, 금속가공 분야나 인쇄·기록매체 업종에서 하락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KIET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inform@kiet.re.kr
KiET 직원 정보 확인
감 사

이름 : 최상명

전화번호 : 044-287-3811

KIET 직원 정보 확인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비밀번호 확인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KIET 홍보동영상

[전지적키에트시점] (Eng sub)심상치 않은
국내 대기업 움직임??
KIET 시점에서 보는 미래 로봇 산업 전망은
어떨까요?
경제전문가가 알려드립니다!
(산업연구원 박상수 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