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t 산업연구원 kiet 산업연구원

SITEMAP

NEWSLETTER 구독신청

월간 KIET 산업경제

국내외 산업·경제 관련 최신 동향과 이슈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정부와 기업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논문들을 수록한 실물경제 전문 월간지

해외산업이슈점검
일본, 기업현장의 AI도입 사례 증대 - 예상보다 많은 다양한 분야의 기업에서 적극 활용 중 원문 미리보기원문 다운로드 2017.08.17

일본 기업현장에서 AI(인공지능)를 적극 도입 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본고에서는 그 활용사례 를 몇 가지 소개하기로 한다.

첫째, 히다치(日立제작소)는 AI를 통한 행동데 이터 분석을 통해 조직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 다. 종업원(행원)들이 부착하고 있는 명찰형 센서 를 통해 이들의 어떤 행동이 행복감을 상승시켜 조직의 활성화로 연결되는지 히다치의 AI모델인 ‘H’를 통해 자동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2015년부 터 사업화한 결과 이미 20사 이상이 도입하였다. 히다치는 ‘H’의 자사 그룹 내 활용도도 높이고 있 으며 종업원 개인에게 자문하는 관련 애플리케이 션을 개발하였다.

AI의 도입은 조직의 활성화, 매출증대, 원료 선별, 적성검사, 생산성 향상 등에 기여

둘째, 신사복 업체인 하루야마상사는 AI를 통 해 고객의 취향을 예측하여 DM(직접 발송 메일) 발송의 정밀도를 높이고 있다. 작년 20~30대의 고객을 대상으로 양복의 맞춤형 DM을 7차례나 발송한 결과 종래의 DM발송에 비해 고객이 18%, 객단가가 8% 증가하는 결과를 얻었다. 이 AI는 IT 벤처기업인 ‘컬러플 보드사’가 개발한 것이다. 하 루야마상사는 과거 3년간 고객 2만명의 구입이력 을 사용하여, AI에 상품의 색깔을 알 수 있는 品 番, 가격, 연령, 성별, 지역 등의 고객데이터를 텍 스트 데이터로 학습시켰다. 또한, 화상데이터로 부터 상품의 형태도 학습시켰다. 그 결과 현재 맞 춤형 DM발송 매수가 종래의 1만 2,000매에서 10 만매로 크게 증가하였고 향후 매출 증대도 기대 된다.

셋째, 어린이용 식품을 제조하는 큐피(사가현 소재)사의 경우 AI의 눈을 이용하여 안전한 원료 를 선별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당사는 종래 전체 종업원의 1/4에 해당하는 30~40명을 1일 4톤가량 의 원료 선별 작업에 투입하여 왔다. 앞으로는 AI 를 이용하여 이를 대체하는 시도를 하고 있다. 현 재 개발이 순조롭게 진행되어 금년 여름부터 현장 에 적용할 예정이다.

넷째, ANA(전일본공수)와 RIZAP사는 종업원 채용 시 적성검사에서 AI를 활용해서 사람의 행 동특성과 능력을 판정하는 인재평가 매칭서비스 를 도입하였다.

다섯째, 일본경제신문사 등 보도기관들은 AI를 활용하여 자동으로 콘텐츠를 작성함으로써 생산 성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소위 ‘AI기자’가 회사결 산 관련 短信을 자동으로 작성하거나 SNS로부터 사고를 자동 탐지하여 기사화한다. 일본경제신문 사의 경우 금년 1월부터 AI기자가 PDF데이터의 결산단신으로부터 기업의 실적이 전년과 비교하 여 변화된 이유를 파악하여 기사화하고 있다

보도 자료

목록
공공누리

산업연구원의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KIET 이메일 주소 확인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IET 만족도 조사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IET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live

KTV생방송 대한민국, 뉴노멀 시대 서비스산업 정책 과제는?

주관 : 산업연구원

연구진 소개

  • 학력
    • Osaka Prefecture University (Ph.D)
    경력
    • 2021.06 - 현 재 제22대 산업연구원 원장
    • 2017.10 - 2019.05 대통령비서실 중소기업비서관/중소벤처비서관 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
    • 2015.04 - 2017.10 한국중소기업학회 부회장
    • 2015.03 - 2017.02 한국산업조직학회 감사
    • 2009.03 - 2017.10 한국동북아경제학회 이사
보고서
접수완료

연구과제 제안이 접수되었습니다.

접수완료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세미나 팝업_세미나
팝업_유튜브 영상

요약 보기

월간 KIET 산업경제 코로나19 발생 이후 제조업 고용 변화: 중간 점검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부분의 고용 관심사가 항공 및 여행서비스, 음식·숙박 서비스 등 주로 서비스 업종에 집중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제조업의 고용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코로나19 직후 2020년 상반기에 약간 하락하였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하여도 일본과 함께 고용 충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용 성적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내 특성 별로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종사상 지위 별로 보면, 임시·일용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서 고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상용직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큰 충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의 경우 코로나 발생 초기 약간의 충격 이후 고용이 빠르게 반등하면서 코로나 이전보다 고용이 더 증가한 반면, 이보다 작은 규모의 제조업체들의 경우 고용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의 중장기,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 발생 이전 3년간의 추세선을 2020년 1월부터 연장한 선과, 2020년 1월부터의 실제 자료를 이용한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의약품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시작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컴퓨터, 기타운송장비, 가구는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고용 추세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다수 업종은 코로나 발생 이후 고용이 하락하였는데, 특히, 비금속광물, 1차금속, 금속가공 분야나 인쇄·기록매체 업종에서 하락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KIET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inform@kiet.re.kr
KiET 직원 정보 확인
감 사

이름 : 박홍서

전화번호 : 044-287-3811

KIET 직원 정보 확인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비밀번호 확인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KIET 홍보동영상

[전지적키에트시점] (Eng sub)심상치 않은
국내 대기업 움직임??
KIET 시점에서 보는 미래 로봇 산업 전망은
어떨까요?
경제전문가가 알려드립니다!
(산업연구원 박상수 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