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t 산업연구원 kiet 산업연구원

SITEMAP

NEWSLETTER 구독신청

영상 보고서

한국 산업에 대해 알기 쉽게 영상물로 제작된 영상보고서

언론보도

1

  • 2022년 하반기 13대 주력산업 전망에 대해서 발표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2022년 상반기 동향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2년 상반기 13대 주력산업은 대내외 불확실성 및 기저효과로 증가세가 다소 둔화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상반기 동향을 수출, 내수, 생산, 수입 부문별로 살펴보면, 먼저 상반기 13대 주력산업 수출은 수출단가 상승으로 전년동기비 17.2%의 높은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지만, 대외 불확실성 및 기저효과 영향으로 증가폭은 2021년 상반기 증가율 27.0% 보다는 다소 축소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산업군별로 살펴보면, 자동차, 조선, 일반기계를 포함한 기계산업군 수출은 일반기계의 양호한 수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수급차질에 따른 자동차 생산지연, 코로나19의 수주절벽으로 인한 조선 수출물량 급감으로 전년동기비 2.1% 감소가 예상됩니다.
     
    특히, 조선 수출은 코로나19로 수주절벽에 따른 물량 감소와 2019~2020년의 낮은 계약선가의 영향으로 23.4% 큰 폭의 수출 감소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으로, 철강, 정유, 석유화학, 섬유 등 소재산업군은 전방산업 수요증가와 유가 및 원자재가격 인상에 따른 수출단가 상승세 지속으로 두 자릿수 증가세를 유지하며, 전년동기비 36.5% 큰 폭의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정보통신기기, 가전,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바이오헬스의IT신산업군수출은 글로벌 수요 확대와 비대면 제품 및 서비스 확산으로 데이터 저장과 관련한 SSD 수요와 반도체 수출 호조로 전년동기비 18.9%의 높은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은 내수입니다.
     
    2022년 상반기 13대 주력산업 내수는 자동차, 조선, 일반기계 등 기계산업군과 가전, 디스플레이를 제외한 산업 대부분에서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산업군별로 살펴보면, 자동차는 차량용 반도체 및 부품 수급 문제에 따른 공급부족, 조선은 전년동기 초대형 컨테이너선 인도에 따른 실적 호조의 기저효과, 일반기계는 수요산업 부품 수급난및 설비투자 부진 위축으로 내수 감소가 예상되며,
     
    소재산업군은 전방산업 수요 및 민간소비 확대로 견조한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 됩니다.
     
    다음으로 IT신산업군 내수의 경우 가전과 디스플레이는 감소한 반면, 반도체, 이차전지, 바이오헬스등은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음으로 생산 동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2년 상반기 13대 주력산업 생산은 수출 및 내수 회복으로 대부분 산업에서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나, 앞서 수출과 내수 부진을 보였던 기계산업군과 철강생산은 감소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기계산업군은 자동차의 경우 반도체 공급차질 및 중국 락다운에 따른 부품 공급문제, 조선은 코로나19로 인한 수주절벽, 일반기계는 내수위축에 따른 출하 감소 및 재고 급증의 영향으로 생산 감소가 예상됩니다.
     
    소재산업군의 경우 철강을 제외한 정유, 석유화학, 섬유 등은 내수와 수출 경기 안정세로 견조한 증가세가 유지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철강 생산량의 경우 상반기 철강업체의 열연설비 개보수에 따른 조업 차질로 생산량은 0.4% 소폭 감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음으로 IT신산업군 생산은 모든 업종에서 수출, 내수가 증가하고, 국내 생산설비 확충으로 올해 상반기에도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정보통신기기와 반도체, 바이오헬스는 두 자릿수 생산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이 되는데요, 정보통신기기는 SSD와 휴대폰부품 중심으로 생산이 크게 증가하고, 반도체는 글로벌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국내 기업들의 가동률이 크게 상승하면서 높은 생산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고, 바이오헬스는 수출 및 내수 호조, 2022년 상반기 오미크론변이 확산에 따른 의약품 수요 급증으로 생산 호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음은 수입 동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2년 상반기 13대 주력산업 수입은 국제유가 및 원자재가격이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내수 대응을 위한 수입물량 확대로 전년동기비 15.0%의 높은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나, 2021년 상반기 19.9%의 수입 급증에 따른 기저효과로 증가세는 다소 둔화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기계산업군 수입은 자동차, 조선 수입 감소로 전년동기비 0.2% 소폭 증가가 예상되며,
     
    소재산업군은 내수 회복에 따른 수입수요 증대와 수입단가 상승으로 모든 업종에서 증가하여 전년동기비 27.0% 높은 증가가 예상되고,
     
    IT신산업군수입은 IT제품의 꾸준한 수요 확대와 국내 기업의 해외생산 제품에 대한 역수입 증가로 2021년 상반기 17.7%의 높은 수입 증가율에도 불구하고 14.7% 두 자릿수 수입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이차전지는 국내 전기차 생산 확대에 따른 내수 대응을 위해 국내기업의 해외생산 물량이 대거 유입되면서 전년동기(56.8%) 보다 대폭 증가한 72.6%의 높은 수입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으로 2022년 하반기 13대 주력산업을 둘러싼 대내외 여건 변화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2년 하반기에는 국내외 수요는 일정 부분 유지되나, 세계경기 둔화,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및 인플레이션 압박, 통화긴축 등 대내외 여건 불확실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먼저 대외여건 부분입니다.
     
    세계수요부터 점검해 볼 텐데요, 2022년 하반기 13대 주력산업의 세계 수요는 ICT 및 친환경 관련 신산업분야 수요는 양호한 성장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이나 글로벌 경기위축, 유가 및 원자재 가격 상승, 주요국 긴축재정에 따른 수요 부진 등의 불확실성 요인으로 증가세는 둔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음으로 주요 수출국가별 수요 전망을 살펴보면, 대미 수출은 자동차(이연수요), 일반기계(인프라 투자확대), 정보통신기기(교체수요), 가전(경쟁력 우위), 이차전지(전기차, ESS 수요 확대) 등에서 수요 증가세가 전망되며, 대베트남 수출은 섬유,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에서 견조한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하지만 우리 중간재 및 자본재의 주요 시장인 중국은 2022년 하반기 경기 둔화 및 성장률 하락이 전망되어 대부분의 산업에서 수출 증가세가 둔화하고, 일반기계, 석유화학, 가전 등에서는 수요 감소가 예상됩니다.
     
     
    2022년 하반기 국내 기업의 해외 생산은 국가별로 다소 차이가 있으나, 코로나19 안정화에 따른 해외 생산공장 정상화 및 해외 생산능력 확충으로 중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제품 단가는 유가 등 원자재가격 상승 및 제품 프리미엄화로 하반기에도 상승세가 이어질 전망이지만, 상승폭은 다소 둔화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계속해서 국내 여건 변화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2년 하반기 13대 주력산업의 국내 여건은 국내수요는 완만한 성장 흐름을 유지하지만, 공급능력은 다소 위축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먼저, 국내 수요의 경우 완만한 성장세가 예상되나, 대내외 성장률 둔화, 물가 및 금리 인상, 전년동기 내수 확대에 따른 기저효과는 하반기 내수 여건의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공급능력의 경우 하반기 부품 원자재 공급망불안이 지속되면서 정보통신기기, 가전 등 일부산업에서는 공급능력이 위축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그럼, 2022년 하반기 13대 주력산업 부문별 전망에 대해 발표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수출부문 입니다.
     
    2022년 하반기 13대 주력산업 수출은 수출단가 상승의 영향으로 증가세를 이어나갈 것으로 전망되나, 글로벌 경기둔화, 우크라이나사태 장기화, 공급망 불안정 지속 등의 대외여건 불확실성 심화로 수출 증가율은 2021년 하반기의 28.9% 보다 크게 축소된 6.3%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산업군별로 살펴보면, 자동차와 일반기계는 증가세가 지속되나, 조선은 수주 부족에 따른 큰 폭의 감소세를 기록하여, 기계산업군 전체로는 2.0%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음으로 소재산업군 수출은 철강을 제외한 대부분의 산업에서 수출단가 상승으로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되나, 2021년 하반기 수출 실적 호조(57.7%)에 따른 기저효과로 증가폭은 크게 축소된 17.8% 증가가 예상됩니다.
     
    IT신산업군수출은 가전, 디스플레이, 바이오헬스의 감소가 예상되지만, 정보통신기기, 반도체, 이차전지의 수출 증가세에 힘입어 1.3%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 됩니다.
     

    다음은 내수입니다.
     
    2022년 하반기 13대 주력산업 내수는 정유, 가전, 디스플레이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산업에서 증가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정보통신기기, 반도체, 이차전지 등이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산업군별로 살펴보면, 기계산업군 내수는 자동차, 조선, 일반기계 모두 증가세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자동차 내수는 경기불안, 차량가격 인상 등 부정적 요인이 있으나, 지난 2년간 공급차질로 이연된 수요가 실현되면서 전년동기비 3.4% 증가가 예상됩니다.
     
    소재산업군 내수는 수요산업의 견조한 회복세와 민간소비 확대로 하반기에도 증가세가 예상되고,
     
    철강 내수는 자동차, 건설 부문, 기계 등 수요산업 생산 증가로0.5% 소폭 증가가 예상되고,
     
    IT신산업군 내수는 가전, 디스플레이의 부진에도 불구하고 정보통신기기, 반도체, 이차전지가 IT신산업군 전체 내수 성장을 견인할 전망입니다.
     

    다음으로 생산 전망입니다.
     
    2022년 하반기 13대 주력산업 생산은 조선(-12.4%), 가전(-4.6%), 바이오헬스(-2.2%), 석유화학(-0.4%)을 제외한 대부분의 산업에서 증가하겠지만, 수출 및 내수경기 위축으로 증가폭은 다소 둔화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기계산업군은 자동차와 일반기계 생산은 수출 확대와 견조한 내수 흐름에 힘입어 내수 증가가 예상되지만, 조선은 2020년 코로나19 충격에 따른 수주절벽으로 큰 폭의 감소세를 이어갈 전망입니다.
     
    소재산업군에서는 철강을 제외한 정유, 석유화학, 섬유 산업의 생산 경기가 다소 둔화할 것으로 전망 되는데요, 철강은 내수 및 수출수요 증가 대응과 상반기 생산설비 개보수가 마무리되면서 하반기 생산은 2.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정유는 전년동기비 0.3% 증가에 그칠 것으로 예상 됩니다.
     
    다음으로 IT신산업군 생산은 가전과 바이오헬스의 경우 수출과 내수 동반 부진의 영향으로 감소하지만, 통신기기, 반도체, 이차전지 등의 생산은 수요 확대에 힘입어 하반기에도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마지막으로 수입입니다.
     
    2022년 하반기 13대 주력산업 수입은 조선, 철강, 바이오헬스를 제외한 모든 산업에서 단가상승에 힘입어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나 전년동기 큰 폭의 수입증가(29.2%)의 기저효과로 증가세는 둔화될 전망입니다.
     
    기계산업군 수입은 조선은 선박 수입이 감소하지만, 자동차와 일반기계 수입이 늘어 기계산업군 전체로는 4.5% 증가가 예상되고,
     
    소재산업군은 철강을 제외한 정유, 석유화학, 섬유산업에서 수입수요 및 수입단가의 동반 상승으로 전년동기 큰 폭의 수입증가(65.5%)에도 불구하고 7.2%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IT신산업군에서는 정보통신기기, 반도체, 이차전지의 내수 확대가 IT신산업군 수입 증가를 견인하여 3.3% 증가가 예상되지만, 2021년 하반기(24.1%)보다 증가율은 크게 축소될 전망입니다.
     
    특히, 이차전지는 전기차 생산 확대에 따른 내수 대응을 위해 하반기에도 14.7%의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금까지 발표한 2022년 하반기 13대 주력산업의 부문별 전망은 다음의 기상도로 요약할 수 있겠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2022년 하반기 13대 주력산업의 전망 발표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
공공누리

산업연구원의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KIET 이메일 주소 확인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IET 만족도 조사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IET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