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 (KIET)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테이블 제목
제목
시니어 기술창업 실태와 활성화 방안
본문요약
25년의 소부장 정책 여정, 對일본 가마우지 구조 극복에 상당한 성과 달성
그러나 최근 미국의 일방향적 관세·산업정책, 글로벌 제조업 패권에 근접해가는 중국의 공습 등으로 우리 소부장은 생존을 위협받는 미증유의 경쟁 환경에 직면
* 미국의 전방위적 관세×산업정책 조합은 미국 내 직접투자를 가속화하며 우리 소부장 생태계의 공동화 문제와 더불어 양적·질적 공백을 초래
* 중국의 첨단제조 굴기는 우리 소부장 경쟁력을 상대적으로 약화시키며 우리 제조 생태계의 중국産 소부장 의존도를 심화
우리 제조업의 부가가치 향상을 목표로 했던 지난 25년과 달리, 앞으로의 25년은 우리 소부장(제조 생태계)의 ‘생존’을 위한 장기전략이 필요한 상황
우선, 미국發 충격으로 인한 우리 소부장 공백을 확충할 수 있는 단기 정책 패키지(정책금융 공급, 맞춤형 대미 진출 지원 패키지, 글로벌 소부장 기업 유치 등)를 신속 공급하는 한편,
중국發 소부장 공습에 대응·응전할 수 있는 전략 소부장 확보, 협력을 넘어선 전략적 산업동맹 체계 강화, 기술정책을 넘어선 산업정책적 차원의 대응이 필요
내용 문의
이 준 경영부원장 [044-287-3246], 김지현 연구원 (044-287-3044), 양주영 경제안보·통상전략연구실장 (044-287-3123)
엠바고
본 자료는 9월 29일(월) 조간부터 보도하여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방송, 통신은 9월 28일 (일) 11시 이후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