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공급망을 둘러싼 대외 여건 변화와 대응 방안
이 준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글로벌 공급망 변화 요인이 특정국과의 일시적 갈등 혹은 팬데믹에 따른 일회성 현상이 아닌 중장기적으로 글로벌 산업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기조로 진행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이제는 단·장기 정책 설계를 통해 현 상황을 안정시키면서도 중장기 글로벌 산업 질서 재편 흐름에 대응할 수 있는 준비를 할 필요가 있다.
수입구조 변화가 국내 주요 제조업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송명구, 안소현, 이임자, 박상수, 양주영
본 연구에서는 수입구조, 그중에서도 수입 침투율의 변화가 국내 주요 제조업경쟁력 중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인 가격-비용 마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국내 제조업의 혁신투자 현황과 시사점
이소라
혁신 및 혁신투자의 개념을 정의하고, 혁신투자 유형화를 시도하여 제조업 기업들의 유형별 혁신투자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국내 제조업 기업들의 혁신투자 제고를 위한 정책 방향 제시
공업부 등 8개 부처, 제14차 5개년 지능형 제조 발전 계획 발표 외
박가영
○ 공업정보화부 및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등 8개 부처는 “제14차 5개년 지능형 제조 발전 계획”을 발표하고, 2단계 목표, 4대 임무 및 6개 행동을 제안 ○ 4대 임무는 ① 시스템 혁신 가속화, 융합발전 신동력 강화, ② 응용 심화·확대, 전환·업그레이드 신경로 개척, ③ 자주공급 강화, 산업 신우위 강화, ④ 기본적 지원체계 구축, 지능형 제조의 새로운 지원체계 구축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