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전환 핵심기술 관련 지역산업 클러스터 분석과 활용방안 연구
배진원, 이두희, 김지수
디지털 전환 핵심기술을 다루는 핵심산업에 대한 범위를 설정하고, 관련 산업의 집적과 연계구조를 분석함으로써 디지털 전환을 위한 지역의 산업 클러스터와 기반을 진단
고숙련 전문인력 수급 분석과 산업인력정책 시사점
김영민
우리나라는 BIG3+인공지능 등 고숙련 전문인력의 원활한 수급을 위한 산업인력정책 확대에도 인력 수급 불균형이 악화되고 있다. 이는 기수행 중인 산업인력정책이 노동시장 진입 시 고숙련 전문인력이 주요하게 생각하는 임금 및 고용안정성 등의 근로조건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디지털 경제발전 제14차 5개년 계획과 시사점
김동수
○ 기존 산업 디지털화의 고도화와 디지털 분야의 산업화가 가장 중요한 정책대상이며, 이를 위하여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고 규범을 마련 ○ 기존 산업의 디지털 전환은 크게 기업의 디지털 전환, 산업의 디지털 전환, 산업단지의 디지털 전환, 디지털 전환 서비스 생태계 등으로 구성 ○ 디지털 산업화는 핵심 기술 개발과 핵심 기술의 산업화가 주 내용
회복과 대전환을 위한 중장기 정책과제
성창훈
우리경제가 명실상부한 선진국으로서 지속 발전하기 위해서는 저성장과 코로나에서의 회복과 경제의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회복과 대전환의 중점 정책과제는 '혁신', '사람', '통합', '지속성', '회복력' 등 다섯가지 핵심 키워드로 설명할 수 있다.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