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따른 제조업 고용 변화 분석
김주영, 임은정
코로나19 이후 우리 제조업 전체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인다.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2020년 상반기에 일부 하락이 있었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를 보인다.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해도 우리나라는 일본과 함께 고용 충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난다.
시스템반도체산업에서의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메커니즘 연구 - 팹리스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신종원 외
세계 주요 선진국들은 시스템반도체 분야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지만, 국내 반도체산업의 경우 메모리반도체 분야에서의 세계적인 경쟁력과 높은 위상에 비해 시스템반도체 분야의 경쟁력은 매우 미흡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2020 한국의 산업 - 주요 산업의 가치사슬 분석과 경쟁우위 원천을 중심으로
정은미 외
현재뿐만 아니라 향후 산업의 발전방향에 얼마나 잘 대응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경쟁우위’를 진단하고자 했다. 그리고 우리가 주로 이해하는 산업이 단일 제품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기술과 수요, 제도 변화에 대응하고 새로운 제품군들이 계속 나타나면서 발전속도의 차이를 달리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산업을 구성하는 주요 제품군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였으며, 이를 통해 산업의 국제경쟁력을 평가하였다.
성장정체 중소기업의 실태 및 정책 방향
조덕희
최근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제조 중소기업 중에서 창업 이후 업력(age)이 20년을 넘었는데도 종사자 수가 50인 미만인 이른바 ‘성장정체 중소기업’ 비중이 20.5%(2019년 기준)로 높게 나타났다. 중소기업이 성장정체에 빠지는 이유는 대략 시장요인 65%, 기업요인 35%로 조사되었다. 시장요인은 주력시장의 과당경쟁(18.5%), 낮은 시장 성장성(17.6%), 작은 시장 규모(16.7%) 등이며 기업요인은...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