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변화지수를 통해 본 한국 산업의 활력, 지속적으로 저하
이건우
한국 제조업의 부가가치 비중은 1990년대 이후, 서비스업의 부가가치 비중은 2010년대 이후 큰 변화 없이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 산업 전체의 활력 또는 역동성을 보여주는 ‘구조변화지수’는 2010년대에 들어와 1970년대의 절반 이하 수준으로 하락하였으며, 최근에는 G7 국가들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 제조업 구조변화의 방향은 과거의 ‘제조업 확장형’에서 1990년대 이후에는 ‘구조조정형’으로 전환
리테일테크 수요 및 R&D 현황 분석과 시사점
이동희, 고대영, 김천곤, 김승민
국내 유통산업 변화와 리테일테크 동향 분석, 리테일테크가 적용된 스마트유통서비스 수용성에 관한 실태조사 분석, 중소유통 특화 리테일테크 수요 및 국내외 R&D 현황 비교 분석
코로나 팬데믹이 한국경제와 산업에 미친 영향 : 중간평가
강두용, 민성환, 박성근
코로나 팬데믹은 소비와 고용 충격 기준으로는 외환위기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대형 경기침체에 해당, 위기의 충격이 일부 업종과 계층에 편중되어 있고 이들의 부진은 방역조치에서 일정 부분 비롯된 부분이 크다는 점에서 경제정책을 통해 이들 피해(의 일부)를 보상함으로써 방역에 대한 협조를 확보하고 경제적 충격도 덜어주는 정책이 필요
포스트 코로나 시대 동아시아 지역 경제협력과 전망
李天國
코로나 사태의 확산을 저지하기 위해 대다수 국가와 지역은 전례 없는 통제 정책을 실시, 중간재 수급 문제가 대두되었고 글로벌 제조업에 대한 피해도 불가피하게 발생,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와 미·중 무역 분쟁을 계기로 공급망 다변화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일부 국가는 자국 기업의 탈중국을 유도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