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한계기업 결정요인 분석과 시사점
송단비, 조재한, 김한흰, 김인철
본 연구는 다양한 실증 분석과 사례 분석을 통하여 ① 규모 중립적이며 업력을 고려한 한계기업 관련 정책의 필요성, ② 한계기업 완화를 위한 기업 단위의 구조조정 촉진 정책의 유효성, ③ 장기 한계기업 증가와 정책금융의 관련 가능성, ④ 산업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금융지원정책 운용의 필요성 등의 시사점을 도출
주력산업 육성을 통한 새로운 뉴노멀시대 대응
양동민
○ 최근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전국 32개 현장 조직을 통한 중소기업 동향 조사에서도 코로나19로 인해 2021년도의 매출 및 수출도 여전히 감소하리라는 전망이 우세 ○ 코로나로 인한 변화들은 코로나 종식 이후에도 일상화되어 또 하나의 뉴노멀로 작동하리라는 것이 일반적인 전망 ○ 코로나19 경제 충격의 조기 극복과 코로나19 이후의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발빠른 대응을 위해서는 미래 유망 전략산업의 육성 및 4차 산업의 전환 추진 시급
2021년 양회 이후 산업경제정책 방향
박재곤
○ 2021년 양회는 3월 4일부터 11일까지 개최하고, 국무원의 정부업무보고와 제14차 5개년 계획에 대해 심의하고 의결 ○ 2020년 업무 성과로는 코로나19 방역에서 중대한 성과가 있었고, 세계에서 유일하게 플러스 경제 성장(2.3%)을 달성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