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21, 디지털전환과 한국산업의 과제
심우중, 권오성, 김종기
CES 2021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일상’의 변화에 초점을 맞춘 혁신제품이 소개되었고, 이에 따라 ‘디지털 전환’이 빠르게 진전되고 있음을 확인, 한국은 작년보다 높은 혁신성과를 보였지만 중소기업의 성과는 다소 저조, AI 역량 부족과 바이오헬스 분야의 경직된 제도 여건은 국내 디지털 전환에 대한 위협요인, 디지털 전환 시대 융합 신제품ㆍ서비스 시장을 선도하고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 틀을 깨는 혁신전략의 강화가 필요
저탄소시대 신재생에너지 산업 활성화 방안: 해상풍력과 수소를 중심으로
이슬기, 허선경
저탄소시대, 탄소 중립으로 대표되는 적극적인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발전부문의 녹색화를 담당할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활성화가 필수적이다. 본고에서는 신재생에너지원 중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해상풍력과 수소에 대해 다음과 같이 산업 활성화 방안을 제안한다.
[비즈니스모델 혁신 관점에서 본 서비스업 발전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 Ⅰ. 서비스산업의 미래 모습과 전략 로드맵
박정수
인구구조나 사회환경의 변화 또는 디지털 기술의 진전 등으로 서비스산업은 과거와 다른 모습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메가트렌드가 현 시점에서 서비스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그로 인해 서비스산업에 나타날 미래변화 모습을 파악하여, 중장기 전략 로드맵을 제시한다.
내생적 환경오염과 지대소진
박성훈
환경분쟁 관련 선행연구들은 오염피해자가 선도자로서 분쟁에 임할 때 사회후생(지대소진)이 증가(감소)함을 보인다.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제품생산량에 따라 환경오염이 변화하는 상황을 고려하면서, 선행연구의 결과가 유지되는지 알아본다.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