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annover Messe 2019를 통해 본 한국형 스마트 제조전략 ]
- “2019 하노버 산업박람회”에서는 개념적 차원의 스마트제조에서 벗어나 다양한 현실 적용 사례 출현
- 주요 스마트제조 선도업체들은 시장을 확대, 선점하기 위한 자사들의 차별화된 제품과 전략을 제시
- 국내 스마트제조 현황은 대부분 기초적인 도입단계에 머무르고 있으며, 공급기업들은 국제 경쟁력 부족
- 해외 선도 사례에 관한 연구에 더해 국내 산업구조 및 노사관계 등을 고려한 한국형 스마트 제조전략 추진해야
○ Why Japan Lost Its Comparative Advantage in Producing Electronic Parts and Components(RIETI)
○ Tariff Risk-Mitigation Strategies For Manufacturing Industries(Oliver Wyman)
○ Global Imbalances and the Trade War Levy(Economics Institute)
○ Artificial intelligence primer: What is needed to maximize AI’s economic, social, and trade opportunities(The Brookings Institution)
○ Trade Protectionism and US Manufacturing Employment(NBER Working Paper)
○ Transforming Naturally Occurring Text Data Into Economic Statistics: The Case of Online Job Vacancy Postings(NBER Working Paper)
○ Reassessing Trade Barriers with Global Value Chains(Bank of Canada Staff Working Papers)
○ Automation and occupational wage trends (OECD)
○ [동향분석] 미.중 무역 분쟁의 향후 전개 방향 및 영향 전망(한국은행 뉴욕사무소)
○ The global economy hit by higher uncertainty(Voxeu.org)
○ [국제경제리뷰] 글로벌 원유 선물시장의 현황 및 유가와의 관계(한국은행)
○ [경제동향&이슈] 산업별/근무형태별 고용변동과 거시변수의관계(분석 국회예산정책처)
○ [이슈보고서] 반도체 장비, 소재산업 동향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 [경제주평] 산업별 설비투자 동향 및 시사점 (현대경제연구원)
○ OECD SME and Entrepreneurship Outlook 2019(OECD)
○ OECD Economic Outlook - Preliminary version(OECD)
○ 바이오·반도체 일자리 3만개 늘때, 조선·철강 3만개 줄어든다
○ 정치논리로 만든 '○○형 일자리' 한계... 지역맞춤형 고용 나서야
○ “한국 스마트제조는 초기단계…기업간 협업·전략적 혁신 필요”
○ 산업연구원 "한국 스마트제조, 미국 일본에 70% 수준“
○ [뉴스의 맥] '車 고율관세' 연기는 통상협상용…車 경쟁구조 변화 대비해야
○ 13대 수출 주력품목 10년째 내리막...1Q 75.9%↓
○ 수소경제 제1호 국제표준 탄생
○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제5차 회기간 협상 개최
○ 산업부, 중국 강소성과 산업?무역?투자 협력 한층 강화
○ 산업부-국토부 맞손, 노후산단 지역성장 거점으로 키운다
○ 2019년 4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
○ 2019년 1/4분기중 거주자의 카드 해외사용 실적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