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6.07
한·미 FTA 재협상 영향 제한적
|
|
보고서 |
동향분석 |
산업별정보 |
고객서비스 |
연구원소식 |
연구원소개 |
한·미 FTA 재협상 영향 제한적 |
보고서 · 동향분석 |
|
한·미 FTA 재협상과 우리의 대응 방향
? 트럼프 미 대통령 취임 이후 한·미 FTA 재협상론이 대두 ?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에도 다양한 채널로 무역적자 문제를 부각시켜 주요 교역국인 한국, 중국, 멕시코 등을 전방위적으로 압박 ? 미국의 대한국 무역적자가 FTA 발효 이후 증가함에 따라 미국의 FTA 재협상 압박 수위가 높아지고 있어 무역적자의 확대요인 분석과 우리 산업의 대응책 마련이 필요 ? 한·미 FTA 재협상이 우리 수출입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 |
|
KIET 경제 · 산업동향 2017년 5월 2호
? 해외경제 : 일본과 유로권 1분기 전기비 0.5% 성장률 기록 ? 실물경기 : 1분기 실질GDP 전기비 0.9% 성장, 소비·투자 확대 ? 금융 : 4월 은행의 기업대출 증가 폭 확대, 5월 중순(5.10~5.24일) 금리 & 원/달러 동반 하락 ? 산업별 동향 : 3월 제조업생산 & 서비스업생산 동반 증가 지속 ? 고용 : 4월 전산업 기준 전년동월비 1.6% 증가 |
|
신기후체제하에서의 산업정책적 제언을 위한 연구
? 기후변화는 세계 여러 곳에서 이미 진행되고 있으며, 개별 국가의 차원을 넘어 전 세계가 함께 대응하고 풀어가야 할 문제로 인식되고 있음. ?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기후변화 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전 세계의 공동 노력은 지속되고 있음. |
|
(우)30147 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370 대표전화:044-287-3114, Fax:044-287-3333
메일 수신을 원하지 않으시면 [수신거부]를 클릭하셔서 수신거부 의사를 밝혀 주십시오.
(if you don't want this type of e-mail, please click here) |
COPYRIGHT(C)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and Trade ALL RIGHTS RESERVED. |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