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SITEMAP

NEWSLETTER Subscribe

i-KIET Issues & Analysis

cover
Korea‘s steel export trends after the US blanket tariff announcement and policy implications PreviewDownload 2025.05.21

Under the authority of Section 232 of the Trade Expansion Act, on February 10, 2025, US President Donald
Trump announced the repeal of existing exemptions and waivers for tariffs on steel, aluminum, and 
related products, introducing a uniform 25 percent tariff without exception. The measure went into effect
on March 12.

South Korean steel exports were already in decline; US tariffs have only intensified the concerns of a 
major downturn.
- From January to April, South Korean steel exports to the US plunged by 10.2 percent year-on-year (YoY). Exports
to the rest of the world fell by 2.6 percent YoY.

Yet, the effects of the Trump tariffs have yet to fully manifest, as the recent slump in exports to the US is 
largely attributable to the base effect.
- The pronounced YoY decline reflects exceptionally strong export performance to the US during the same period
in 2024, when exports reached their highest levels since 2018.

While exports of key general-purpose items such as hot-rolled steel sheets and heavy plates fell significantly,
products upon which the US remains dependent — such as steel pipes, surface-treated steel 
sheets, and tin-plated sheets, and specialty steel — maintained solid performance.
- The impact of potential tariffs under the new Trump administration is expected to vary by product category.
- As of 2023, US import dependency remained relatively high for steel pipes and tin-plated sheets. It was not as 
dependent on imports for general-purpose steel products, such as hot-rolled sheets and heavy plates.

Caution is needed regarding the potential adverse effects of tariffs, particularly in the general-purpose 
steel segment.
- Now that the US has eliminated import quotas, Korean steelmakers are likely to face intensified price and 
market competition with other tariff-affected countries, such as Taiwan and Vietnam. The application of a flat 
25 percent tariff could place Korean products at a disadvantage in terms of price competitiveness.
Although the removal of quota protections may increase short-term pressure on steel exports, it is essential
for Korea to respond by optimizing its export strategies and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its 
products.

List
Verify KIET Email Address

Please enter the security text below
to prevent email collection

  • 보안문자
Check KIET employee information

Please check the information of the person in charge.

live

KTV생방송 대한민국, 뉴노멀 시대 서비스산업 정책 과제는?

주체 : 산업연구원

KIET Research faculty

  • 학력
    • Osaka Prefecture University (Ph.D)
    경력
    • 2021.06 - 현 재 제22대 산업연구원 원장
    • 2017.10 - 2019.05 대통령비서실 중소기업비서관/중소벤처비서관 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
    • 2015.04 - 2017.10 한국중소기업학회 부회장
    • 2015.03 - 2017.02 한국산업조직학회 감사
    • 2009.03 - 2017.10 한국동북아경제학회 이사
접수완료

연구과제 제안이 접수되었습니다.

접수완료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Seminars kiet
유튜브 영상

View Summary

월간 KIET 산업경제 코로나19 발생 이후 제조업 고용 변화: 중간 점검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부분의 고용 관심사가 항공 및 여행서비스, 음식·숙박 서비스 등 주로 서비스 업종에 집중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제조업의 고용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코로나19 직후 2020년 상반기에 약간 하락하였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하여도 일본과 함께 고용 충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용 성적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내 특성 별로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종사상 지위 별로 보면, 임시·일용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서 고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상용직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큰 충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의 경우 코로나 발생 초기 약간의 충격 이후 고용이 빠르게 반등하면서 코로나 이전보다 고용이 더 증가한 반면, 이보다 작은 규모의 제조업체들의 경우 고용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의 중장기,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 발생 이전 3년간의 추세선을 2020년 1월부터 연장한 선과, 2020년 1월부터의 실제 자료를 이용한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의약품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시작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컴퓨터, 기타운송장비, 가구는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고용 추세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다수 업종은 코로나 발생 이후 고용이 하락하였는데, 특히, 비금속광물, 1차금속, 금속가공 분야나 인쇄·기록매체 업종에서 하락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KIET Check employee information

The following information is provided.

inform@kiet.re.kr
Employee directory access verification

Please complete the CAPTCHA below.

  • 보안문자
KIET Video

[전지적키에트시점] (Eng sub)심상치 않은
국내 대기업 움직임??
KIET 시점에서 보는 미래 로봇 산업 전망은
어떨까요?
경제전문가가 알려드립니다!
(산업연구원 박상수 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