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SITEMAP

NEWSLETTER Subscribe

KIET Monthly Industrial Economics

Special Issues
Directions for Achieving Carbon Neutrality in Manufacturing by 2050 PreviewDownload 2021.08.26

As the severity of climate change is increasingly recognized throughout the worl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announced plans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and has introduced policies to curb greenhouse gas emissions. The Korean government is also devising concrete measures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by 2050, and going carbon free in industry, which produces a large portion of such emissions, is a key task. While carbon neutrality is a challenging goal given the manufacturing-centric structure of Korean industry, setting up an effective response system based on cooperation between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is an essential response to an irreversible tide. The climate crisis is a prime opportunity to find new drivers of growth without harming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rough a decarbonization strategy that includes the adoption of new eco-friendly fuels and materials, more efficient energy use, and innovative processes based on sectoral characteristics. This first requires an institutional base and multifaceted government support through investment and other approaches. Since manufacturing accounts for a large portion of the Korean economy and has a low rate of renewable energy use, a careful consideration of alternative responses is needed. In the transition toward carbon neutrality, industry is expected to experience not only a shift in energy sources but also major changes in technology, products, and structure. Achieving zero net emissions while minimizing the negative impact on business requires a sophisticated strategy that includes step-by-step target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the construction of green infrastructure, and streamlined regulations.  

List
Verify KIET Email Address

Please enter the security text below
to prevent email collection

  • 보안문자
Check KIET employee information

Please check the information of the person in charge.

live

KTV생방송 대한민국, 뉴노멀 시대 서비스산업 정책 과제는?

주체 : 산업연구원

KIET Research faculty

  • 학력
    • Osaka Prefecture University (Ph.D)
    경력
    • 2021.06 - 현 재 제22대 산업연구원 원장
    • 2017.10 - 2019.05 대통령비서실 중소기업비서관/중소벤처비서관 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
    • 2015.04 - 2017.10 한국중소기업학회 부회장
    • 2015.03 - 2017.02 한국산업조직학회 감사
    • 2009.03 - 2017.10 한국동북아경제학회 이사
접수완료

연구과제 제안이 접수되었습니다.

접수완료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Seminars kiet
유튜브 영상

View Summary

월간 KIET 산업경제 코로나19 발생 이후 제조업 고용 변화: 중간 점검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부분의 고용 관심사가 항공 및 여행서비스, 음식·숙박 서비스 등 주로 서비스 업종에 집중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제조업의 고용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코로나19 직후 2020년 상반기에 약간 하락하였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하여도 일본과 함께 고용 충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용 성적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내 특성 별로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종사상 지위 별로 보면, 임시·일용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서 고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상용직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큰 충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의 경우 코로나 발생 초기 약간의 충격 이후 고용이 빠르게 반등하면서 코로나 이전보다 고용이 더 증가한 반면, 이보다 작은 규모의 제조업체들의 경우 고용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의 중장기,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 발생 이전 3년간의 추세선을 2020년 1월부터 연장한 선과, 2020년 1월부터의 실제 자료를 이용한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의약품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시작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컴퓨터, 기타운송장비, 가구는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고용 추세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다수 업종은 코로나 발생 이후 고용이 하락하였는데, 특히, 비금속광물, 1차금속, 금속가공 분야나 인쇄·기록매체 업종에서 하락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KIET Check employee information

The following information is provided.

inform@kiet.re.kr
Employee directory access verification

Please complete the CAPTCHA below.

  • 보안문자
KIET Video

[전지적키에트시점] (Eng sub)심상치 않은
국내 대기업 움직임??
KIET 시점에서 보는 미래 로봇 산업 전망은
어떨까요?
경제전문가가 알려드립니다!
(산업연구원 박상수 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