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제1장 조사의 목적 및 개요
1. 조사의 목적
2. 주요 국내 기존 조사 및 본 조사의 차별성
3. 조사 개요
제2장 공급망: 조달처와 판매처
1. 조달처
2. 판매처
제3장 베트남 내 경영실태
1. 매출과 이익
2. 경영 애로 사항
3. 민감 규제 사항
제4장 사업 현황과 전망
1. 사업 현황과 전망
2. 이전과 확장
제5장 산업기술 보호
1. 핵심 기술 자산
2. 기술 유출 또는 위협 경험
3. 기술 유출 피해 방지를 위한 조치
4. 기술 보호를 위해 필요한 정부의 지원 및 가이드
제6장 베트남 대내환경 변화 및 대응
1. 베트남 대내환경 변화
2. 베트남 대내환경 변화에 따른 기업의 대응
제7장 글로벌 대외환경 변화 및 대응
1. 글로벌 대외환경 변화
2. 글로벌 대외환경 변화에 따른 기업의 대응
3. 향후 중요한 글로벌 대외환경
4. 베트남 진출기업에 필요한 우리 정부의 지원
제8장 결론 및 시사점
1. 다원화된 공급망 구조
2. 소폭 악화하고 있는 베트남 진출기업 경영 현황
3. 낙관적인 베트남 내 사업 전망
4. 내부자에 의한 산업기술 유출
5. 베트남 진출기업에 부담이 되는 베트남 대내환경
6. 글로벌 대외환경 변화를 예의주시하는 베트남 진출기업
7. 정책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연구과제 제안이 접수되었습니다.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부분의 고용 관심사가 항공 및 여행서비스, 음식·숙박 서비스 등 주로 서비스 업종에 집중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제조업의 고용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코로나19 직후 2020년 상반기에 약간 하락하였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하여도 일본과 함께 고용 충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용 성적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내 특성 별로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종사상 지위 별로 보면, 임시·일용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서 고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상용직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큰 충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의 경우 코로나 발생 초기 약간의 충격 이후 고용이 빠르게 반등하면서 코로나 이전보다 고용이 더 증가한 반면, 이보다 작은 규모의 제조업체들의 경우 고용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의 중장기,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 발생 이전 3년간의 추세선을 2020년 1월부터 연장한 선과, 2020년 1월부터의 실제 자료를 이용한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의약품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시작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컴퓨터, 기타운송장비, 가구는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고용 추세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다수 업종은 코로나 발생 이후 고용이 하락하였는데, 특히, 비금속광물, 1차금속, 금속가공 분야나 인쇄·기록매체 업종에서 하락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inform@kiet.re.kr이름 : 최상명
전화번호 : 044-287-3811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전지적키에트시점] (Eng sub)심상치 않은
국내 대기업 움직임??
KIET 시점에서 보는 미래 로봇 산업 전망은
어떨까요?
경제전문가가 알려드립니다!
(산업연구원 박상수 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