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t 산업연구원 kiet 산업연구원

SITEMAP

NEWSLETTER 구독신청

연구보고서

당해 연도의 연구 방향 및 중점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수행하는 연구원의 대표 보고서

표지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따른 ICT산업의 신성장전략 원문 미리보기원문 다운로드 2021.12.31

 
  1. 제1장 서론
    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2. 연구 목적 및 범위
    3. 3. 연구 방법 및 구성
  2. 제2장 코로나19 이후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와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1. 1. 디지털 전환의 의미와 특징
      1. (1) 디지털 전환의 개념
        (2) 산업적 관점의 디지털 전환 특징
    2. 2. 디지털 전환에 따른 ICTㆍ비ICT산업 구조와 수요의 변화
      1. (1) 디지털 전환 가속화와 ICT 수요구조의 변화
        (2) 디지털 전환과 비ICT산업 구조의 변화
        (3)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따른 공급구조의 변화
        (4) 디지털 기술 기반의 디지털 전환 필요성 대두
        (5) 시사점
  3. 제3장 국내외 디지털 전환 현황 및 대응 전략 분석
    1. 1. 세계 주요 기업의 디지털 전환 추진 사례
      1. (1) ICT 분야의 디지털 전환 사례
        (2) 비ICT 분야의 디지털 전환 사례
        (3) 에너지 분야의 디지털 전환 사례
        (4) 시사점
    2. 2. 국내 주요 산업의 디지털 전환 추진 현황
      1. (1) ICT제조업
        (2) 전자부품
        (3) ICT서비스
        (4) 비ICT제조업
        (5) 시사점
    3. 3. 국내외 디지털 전환 대응 정책
      1. (1) 주요국의 디지털 전환 관련 정책
      2. (2) 우리나라의 디지털 전환 관련 정책
      3. (3) 정책적 시사점
  4. 제4장 주요 산업의 디지털 전환 추진 현황 분석
    1. 1. 실태조사 개요
      1. (1) 조사 배경
        (2) 조사 방법
    2. 2. 응답 기업의 현황
      1. (1) 응답 기업의 개요
        (2) 산업군별 주요 현황
    3. 3. 디지털 전환 조사 결과
      1. (1) 디지털 전환 수준 및 인식
      2. (2) 디지털 전환의 추진 현황과 성과
        (3) 디지털 전환의 주요 기술
    4. 4. 요약 및 시사점
  5. 제5장 주요 산업의 디지털 전환 수준 및 성과 분석
    1. 1. 디지털 전환 수준 및 역량에 대한 실증분석
      1. (1) 분석 방법론
        (2) 구조방정식 분석
        (3)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및 정책적 시사점
    2. 2. 주요 산업의 디지털 전환 추진 유형 분석
      1. (1) 분석 개요
        (2) 디지털 전환 추진 기업의 유형 분석과 시사점
        (3) 신규 사업 추진 디지털 전환 기업의 유형 분석과 시사점
  6. 제6장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는 국내 ICT산업의 발전 방향과 전략
    1. 1. 기본 방향
    2. 2. 산업 특성과 기업 여건을 고려한 디지털 전환 추진
      1. (1) 디지털 전환 관련 산업별 지원 정책 수요
        (2) 산업별 특성과 기업 니즈를 고려한 디지털 전환
        (3) 기업 여건과 역량을 고려한 맞춤형 디지털 전환 추진
    3. 3. ICT산업의 디지털 전환 대응 및 신성장전략
      1. (1) 디지털 전환에 요구되는 차세대 기술 역량의 확보
        (2)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역량 강화로 산업생태계 기반 확충
        (3) 디지털 플랫폼 역량 강화 및 서비스화 혁신 지원
        (4) 디지털 전환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5) 디지털 전환을 뒷받침하는 제도 혁신
  7. 참고문헌
  8. 부록
  1.  
  2. 본 연구는 코로나19 확산으로 빨라지고 있는 디지털 전환(DX) 트렌드와 수요 변화를 조망하고 ICT 등 주요 산업의 DX 추진 현황과 도입 수준, 그리고 디지털 기술이 주요 산업의 DX 추진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이를 통해 ICT산업과 비ICT산업에서의 디지털 전환 촉진 방안과 성장전략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3. 본 연구는 주요 ICT 및 비ICT산업을 대상으로 하며, 디지털 전환의 핵심 수단이라 할 수 있는 디지털 기술을 분석 범위에 포함한다. ICT업은 가전, 정보통신기기, 반도체, 송ㆍ통신서비스, 소프트웨어 및 정보서비스가 포함되며 비ICT산업은 자동차, 조선, 기계, 철강, 화학, 약ㆍ의료기기, 통ㆍ물류, 금융, 료ㆍ보건서비스 등이 포함된다. 디지털 기술은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컴퓨팅, 5G 이동통신, 로봇기술(로보틱스), 가상증강현실(VRAR), 블록체인, 적층제조, 그리고 플랫폼을 대상으로 분석한다.
    선행 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는 코로나19 확산 이후 거의 2년이 경과한 시점에서 주요 ICT 및 비ICT산업의 디지털 전환 도입 현황과 역량 수준을 분석하고, 10개의 디지털 기술이 산업의 디지털 전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중요한지를 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ICT산업의 디지털 전환 전략과 디지털 기술을 통한 비ICT산업의 디지털 전환 촉진 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선행 연구와 차별화된다.

  4.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기업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산업별로 기업의 디지털 전환 사례와 유형화 분석을 주요 방법론으로 사용하였다. 실태조사는 기업의 디지털 전환 인식과 디지털 기술 수준, 디지털 전환 추진 현황과 성과, 그리고 디지털 전환의 애로 요인과 정책 수요 등의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실증분석은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산업의 디지털 전환 수준 및 수행 역량, 디지털 기술 등을 잠재변수(Latent Variable)로 하는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모형을 사용하였다. 또한 실태조사 결과와 함께 국내외 기업의 디지털 전환 추진 사례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ICT 및 비ICT산업의 디지털 전환 유형화 분석을 하였다. 디지털 전환 유형화 분석은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는 목적과 유형이 산업별로 상이하고 기업의 디지털 전환 수준 등에 따라 상이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전환의 추진은 조직ㆍ업무 혁신, 품ㆍ서비스 혁신, 프로세스 혁신, 비즈니스모델 혁신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보도 자료

유튜브 영상

1
00:00:08,241 --> 00:00:10,710
안녕하세요. 아나운서 송다함입니다
 
2
00:00:10,710 --> 00:00:13,913
산업연구원에서는 다양한 산업을 대상으로
 
3
00:00:13,913 --> 00:00:16,883
전략, 정책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는데요
 
4
00:00:16,883 --> 00:00:19,452
산업연구원에서 함께 하고 있는
 
5
00:00:19,452 --> 00:00:22,222
연구 성과와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서
 
6
00:00:22,222 --> 00:00:25,825
오늘 더 유익한 정보들을 제공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7
00:00:25,825 --> 00:00:27,727
함께해주실 분 소개해 드릴게요
 
8
00:00:27,727 --> 00:00:29,629
김종기 박사님과 함께 합니다
 
9
00:00:29,629 --> 00:00:31,131
안녕하세요
 
10
00:00:31,131 --> 00:00:32,332
, 안녕하십니까
 
11
00:00:32,332 --> 00:00:35,068
산업연구원 신산업실의 김종기입니다
 
12
00:00:35,068 --> 00:00:38,938
최근에 디지털 전환 관련 보고서를 발표하셨더라고요
 
13
00:00:38,938 --> 00:00:40,407
먼저 시청자 분들을 위해서
 
14
00:00:40,407 --> 00:00:43,443
디지털 전환의 의미에 대해서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15
00:00:43,443 --> 00:00:45,612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ion, DX)은 일반적으로
 
16
00:00:45,612 --> 00:00:50,083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17
00:00:50,083 --> 00:00:52,952
기업 운영과 기존 비즈니스를 변화시켜
 
18
00:00:52,952 --> 00:00:57,357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혁신 프로세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19
00:00:57,357 --> 00:00:59,426
디지털 전환이라고 하는 개념이
 
20
00:00:59,426 --> 00:01:03,196
과거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변화하는 시기의 전산화
 
21
00:01:03,196 --> 00:01:06,199
공장자동화처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서
 
22
00:01:06,199 --> 00:01:07,467
업무 프로세스를 바꾸는
 
23
00:01:07,467 --> 00:01:11,071
디지털화의 의미와는 구분이 된다고 들었습니다
 
24
00:01:11,071 --> 00:01:12,806
산업에서의 디지털 전환은
 
25
00:01:12,806 --> 00:01:15,375
데이터, 인공지능 등의 디지털 기술을
 
26
00:01:15,375 --> 00:01:18,178
산업 밸류체인 전반에 접목·활용하여
 
27
00:01:18,178 --> 00:01:20,013
산업 생태계를 혁신하고
 
28
00:01:20,013 --> 00:01:22,782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29
00:01:22,782 --> 00:01:26,386
디지털 전환을 통해 무엇을 추구할 것인가를 생각한다면
 
30
00:01:26,386 --> 00:01:30,790
디지털 전환은 디지털 기술 활용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고
 
31
00:01:30,790 --> 00:01:33,960
수익성 제고와 연결되는 과정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32
00:01:33,960 --> 00:01:35,028
결국에 디지털 기술로
 
33
00:01:35,028 --> 00:01:37,163
무엇을 할 것인가를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34
00:01:37,163 --> 00:01:39,699
고객이 원하는 것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35
00:01:39,699 --> 00:01:43,670
어떤 기술을 도입·활용해야 하는가가 중요하겠다 싶습니다
 
36
00:01:43,670 --> 00:01:46,172
고객이 필요한 것은 제품 자체가 아니라
 
37
00:01:46,172 --> 00:01:48,875
제품을 통해 얻고자 하는 가치인데
 
38
00:01:48,875 --> 00:01:52,579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디지털 전환의 마인드라 하겠습니다
 
39
00:01:52,579 --> 00:01:56,950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에는 비대면 온라인 서비스가 확산되고
 
40
00:01:56,950 --> 00:01:59,652
디지털 기술의 수요도 크게 증가했잖아요?
 
41
00:01:59,652 --> 00:02:03,556
이번 연구를 하게 된 배경도 사회·산업 전반에서
 
42
00:02:03,556 --> 00:02:06,359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인데요
 
43
00:02:06,359 --> 00:02:08,962
디지털 기술의 도입이 빠르게 전개되면서
 
44
00:02:08,962 --> 00:02:13,466
소비 및 공급구조가 변화되고 이는 기업의 혁신 방향과
 
45
00:02:13,466 --> 00:02:15,969
경쟁의 요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46
00:02:15,969 --> 00:02:18,805
신기술 혁신과 융합화의 중심에 있는
 
47
00:02:18,805 --> 00:02:22,275
ICT 기업들은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높이고
 
48
00:02:22,275 --> 00:02:25,812
ICT 기업들도 생존의 필수 요소로 인식하고
 
49
00:02:25,812 --> 00:02:27,847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50
00:02:27,847 --> 00:02:30,383
애플과 소니가 전기차 시장에 진출하는 것처럼
 
51
00:02:30,383 --> 00:02:32,952
산업 질서에도 변화가 생기고 있잖아요
 
52
00:02:32,952 --> 00:02:37,023
디지털 전환으로 국가 간, 산업 간 경계가 모호해지는 거죠
 
53
00:02:37,023 --> 00:02:39,292
이러한 산업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54
00:02:39,292 --> 00:02:42,362
미국, 중국 등 주요국과 글로벌 기업들은
 
55
00:02:42,362 --> 00:02:45,665
관련 정책과 혁신전략을 마련하고 추진중이며
 
56
00:02:45,665 --> 00:02:48,501
일부에서는 이미 데이터 플랫폼을 기반으로
 
57
00:02:48,501 --> 00:02:49,969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58
00:02:49,969 --> 00:02:52,739
이에 우리나라 ICT, ICT 산업에서의
 
59
00:02:52,739 --> 00:02:56,609
디지털 전환 추진 현황과 수준을 진단하고
 
60
00:02:56,609 --> 00:02:58,778
이를 바탕으로 ICT
 
61
00:02:58,778 --> 00:03:01,181
산업에서의 디지털 전환 촉진 방안과
 
62
00:03:01,181 --> 00:03:04,117
새로운 성장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3
00:03:04,117 --> 00:03:07,887
새로운 성장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하셨는데
 
64
00:03:07,887 --> 00:03:10,690
이번에 연구하신 내용과 관련이 있어 보여요
 
65
00:03:10,690 --> 00:03:13,159
보고서에 관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66
00:03:13,159 --> 00:03:16,329
먼저, 해외기업의 디지털 전환 사례에서 나타난
 
67
00:03:16,329 --> 00:03:18,731
디지털 전환(DX) 특징이 궁금합니다
 
68
00:03:18,731 --> 00:03:22,168
아마존, 알리바바, 후지쯔, GM, 지멘스 등
 
69
00:03:22,168 --> 00:03:25,104
ICT 및 비 ICT, 에너지 분야에서
 
70
00:03:25,104 --> 00:03:28,274
주요 해외기업의 DX 사례를 살펴보았습니다
 
71
00:03:28,274 --> 00:03:32,145
이들 기업들은 공통적으로 데이터의 활용과 분석이
 
72
00:03:32,145 --> 00:03:35,114
디지털 전환의 핵심임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73
00:03:35,114 --> 00:03:38,384
중국 알리바바는 자사의 주요 업종을
 
74
00:03:38,384 --> 00:03:41,721
데이터의 제조라고 강조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75
00:03:41,721 --> 00:03:44,357
DX에는 데이터의 활용이 중요합니다
 
76
00:03:44,357 --> 00:03:47,727
또한, 인공지능 등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77
00:03:47,727 --> 00:03:52,465
R&D 및 임상, 제품 개발 기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78
00:03:52,465 --> 00:03:54,634
생산성을 높이고 있었습니다
 
79
00:03:54,634 --> 00:03:56,970
가상·증강현실 기반의 경험과
 
80
00:03:56,970 --> 00:04:00,907
고객데이터기반의 마케팅 혁신도 쉽게 엿볼 수 있었습니다
 
81
00:04:00,907 --> 00:04:02,875
데이터의 활용과 분석이
 
82
00:04:02,875 --> 00:04:06,946
디지털 전환의 핵심이자 곧 기업의 경쟁력이 된 상황이네요
 
83
00:04:06,946 --> 00:04:11,918
그렇죠. 일례로 자동차 분야의 경우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에
 
84
00:04:11,918 --> 00:04:16,155
주행기록과 주변 환경을 인식·판단·제어하는 핵심도구로
 
85
00:04:16,155 --> 00:04:20,493
데이터·AI, 5G 및 센서 등의 디지털 기술과
 
86
00:04:20,493 --> 00:04:24,931
ICT 기반을 접목하며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87
00:04:24,931 --> 00:04:28,701
더욱이 제조를 넘어 운행 및 차량정보, 공유 서비스 등
 
88
00:04:28,701 --> 00:04:31,371
모빌리티 서비스 영역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89
00:04:31,371 --> 00:04:35,008
바이오·의약분야의 경우, 디지털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90
00:04:35,008 --> 00:04:37,043
스마트 제조를 실현하고
 
91
00:04:37,043 --> 00:04:40,647
이를 통해 자사 제품군의 생산효율 제고뿐만 아니라
 
92
00:04:40,647 --> 00:04:42,715
탄소중립을 실현해 나가고 있는 점도
 
93
00:04:42,715 --> 00:04:44,651
의미하는 바가 큰 것 같습니다
 
94
00:04:44,651 --> 00:04:46,419
또 코로나19 이후
 
95
00:04:46,419 --> 00:04:49,522
디지털 전환의 속도가 더 빨라지는 느낌이 드는데요
 
96
00:04:49,522 --> 00:04:52,925
주요국의 DX 관련 정책의 변화가 주는 시사점
 
97
00:04:52,925 --> 00:04:54,327
무엇이 있을까요?
 
98
00:04:54,327 --> 00:04:58,031
주요국 산업 DX 정책의 주된 양상은
 
99
00:04:58,031 --> 00:04:59,966
제조·서비스업을 대상으로
 
100
00:04:59,966 --> 00:05:03,970
일부 5G,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신기술의 접목인데
 
101
00:05:03,970 --> 00:05:07,140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소비 활동의 급증으로
 
102
00:05:07,140 --> 00:05:10,009
이러한 정책이 강화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03
00:05:10,009 --> 00:05:12,679
한편으로는 현재 진행 중인 인공지능과
 
104
00:05:12,679 --> 00:05:16,783
연관 첨단산업을 둘러싼 미·중 기술패권 경쟁은
 
105
00:05:16,783 --> 00:05:20,553
세계적인 디지털 전환과 핵심 기술력의 확보가
 
106
00:05:20,553 --> 00:05:23,056
국가의 미래 생존과 경쟁력 제고에
 
107
00:05:23,056 --> 00:05:25,825
필수임을 인식하게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08
00:05:25,825 --> 00:05:29,128
여기에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충격과
 
109
00:05:29,128 --> 00:05:31,464
소재, 장비 등의 수급 부족 문제는
 
110
00:05:31,464 --> 00:05:33,599
자국 산업 기반의 고도화를 위해
 
111
00:05:33,599 --> 00:05:37,036
이전부터 추진했던 디지털 기술의 확산 정책을
 
112
00:05:37,036 --> 00:05:39,739
더욱 강화하는 촉진제로 작용했습니다
 
113
00:05:39,739 --> 00:05:42,975
내용만 들어보더라도 디지털 기술의 확산정책이 더욱
 
114
00:05:42,975 --> 00:05:44,977
강화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115
00:05:44,977 --> 00:05:49,449
보고서에 보면 ICT 및 비 ICT 제조업·서비스업에서
 
116
00:05:49,449 --> 00:05:52,719
15개 산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셨다고 들었는데요
 
117
00:05:52,719 --> 00:05:56,255
현재 국내 산업의 DX 추진 현황은 어떻게 되나요?
 
118
00:05:56,255 --> 00:05:58,324
준비되어 있는 그래프를 볼까요?
 
119
00:05:58,324 --> 00:06:03,830
주요 조사 결과를 보면 첫째, 국내 산업의 DX 추진 단계는
 
120
00:06:03,830 --> 00:06:07,834
계획·준비의 1단계에서 구축 완결의 5단계 중에서
 
121
00:06:07,834 --> 00:06:11,437
평균 3단계인 초기 구축 단계로 나타났습니다
 
122
00:06:11,437 --> 00:06:15,775
제조업은 기반 조성인 2단계로 서비스업보다 낮았습니다
 
123
00:06:15,775 --> 00:06:18,711
둘째, 산업 DX에 대한 준비도는
 
124
00:06:18,711 --> 00:06:21,447
전반적으로 5점 척도 기준으로
 
125
00:06:21,447 --> 00:06:24,317
3점에 못 미치는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126
00:06:24,317 --> 00:06:27,987
아직 DX 추진을 위한 준비와 추진 정도가
 
127
00:06:27,987 --> 00:06:29,789
미흡한 것으로 해석되는군요
 
128
00:06:29,789 --> 00:06:33,393
, 기업들은 DX를 추진하는 가장 큰 이유로
 
129
00:06:33,393 --> 00:06:37,697
내부 업무 및 경영 등 조직효율 개선으로 나타났습니다
 
130
00:06:37,697 --> 00:06:41,033
제품과 서비스 혁신, 수익구조 개선 등과 같은
 
131
00:06:41,033 --> 00:06:43,069
기업의 주요 사업내용과
 
132
00:06:43,069 --> 00:06:46,305
긴밀히 연관되는 목적의 비중은 비교적 작았습니다
 
133
00:06:46,305 --> 00:06:49,075
이 경우, 디지털 기술 기반의 신제품 또는
 
134
00:06:49,075 --> 00:06:53,012
신서비스 출시와 같은 신산업 추진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135
00:06:53,012 --> 00:06:55,181
다음으로 디지털 기술경쟁력을
 
136
00:06:55,181 --> 00:06:58,117
글로벌 선도기업과 비교해 보았는데
 
137
00:06:58,117 --> 00:07:01,487
대부분 낮음’ 2점 수준으로 평가되었습니다
 
138
00:07:01,487 --> 00:07:03,389
그리고 DX 기술의 필요성은
 
139
00:07:03,389 --> 00:07:07,693
전체적으로 DX에 기초한 사업을 영위하는 핵심수단인
 
140
00:07:07,693 --> 00:07:11,097
플랫폼3.4점으로 가장 높았습니다
 
141
00:07:11,097 --> 00:07:15,601
핵심기술인 인공지능, 사물인터넷의 필요성은 아직 낮았습니다
 
142
00:07:15,601 --> 00:07:20,206
그렇다면 이 결과에서 나타난 시사점은 무엇일까요?
 
143
00:07:20,206 --> 00:07:25,178
실증분석 결과, DX의 인식 수준, 보유한 DX 기술 수준,
 
144
00:07:25,178 --> 00:07:27,947
디지털 기술의 기대효과가 높을수록
 
145
00:07:27,947 --> 00:07:30,149
DX 추진 강도가 높았고요
 
146
00:07:30,149 --> 00:07:33,553
DX의 추진 강도가 높을수록 디지털 전환의
 
147
00:07:33,553 --> 00:07:36,322
내외부적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48
00:07:36,322 --> 00:07:41,861
ICT 제조, ICT 제조, ICT서비스의 산업군별 분석 결과도
 
149
00:07:41,861 --> 00:07:43,329
함께 짚어주시죠
 
150
00:07:43,329 --> 00:07:47,033
전 산업의 분석 결과와 잠재 변수 간의 영향력 수준은
 
151
00:07:47,033 --> 00:07:49,769
차이가 있으나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152
00:07:49,769 --> 00:07:52,638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153
00:07:52,638 --> 00:07:55,508
이는 세부 산업별로 다소 차이가 있겠지만
 
154
00:07:55,508 --> 00:07:57,710
모든 산업군에서 디지털 기술이
 
155
00:07:57,710 --> 00:08:00,513
기업들의 DX 추진과 이로 인한 성과에
 
156
00:08:00,513 --> 00:08:03,282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합니다
 
157
00:08:03,282 --> 00:08:05,518
특히 4대 핵심 디지털 기술인
 
158
00:08:05,518 --> 00:08:08,921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물인터넷은
 
159
00:08:08,921 --> 00:08:13,459
이들 산업군의 DX 추진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160
00:08:13,459 --> 00:08:17,396
반면 비 ICT 서비스 산업군은 디지털 전환 추진이
 
161
00:08:17,396 --> 00:08:20,333
성과로 이어지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162
00:08:20,333 --> 00:08:24,203
각 산업별 특수성과 성장 여건, 경쟁력 수준
 
163
00:08:24,203 --> 00:08:27,540
그리고 산업별 DX 추진 정도가 다 다르기 때문에
 
164
00:08:27,540 --> 00:08:29,809
일률적인 디지털 전환의 추진보다는
 
165
00:08:29,809 --> 00:08:33,279
각 산업이 갖는 특성과 현안, 트렌드 변화 등을 고려한
 
166
00:08:33,279 --> 00:08:36,148
디지털 전환의 추진이 꼭 필요해 보입니다
 
167
00:08:36,148 --> 00:08:38,417
, 그렇다면 이제 디지털 전환 대응 및
 
168
00:08:38,417 --> 00:08:41,554
신성장 전략의 핵심을 짚어봐야 될 것 같습니다
 
169
00:08:41,554 --> 00:08:44,323
먼저, 디지털 신기술 역량 강화와
 
170
00:08:44,323 --> 00:08:47,360
유망 ICT 분야의 육성이 요구됩니다
 
171
00:08:47,360 --> 00:08:50,196
산업 전반에서 AI와 데이터의 활용은
 
172
00:08:50,196 --> 00:08:52,365
이제 필수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173
00:08:52,365 --> 00:08:54,634
따라서 디지털 신기술 개발과
 
174
00:08:54,634 --> 00:08:58,938
활용 역량 강화를 위한 민·관 차원에서의 투자 확대가 요구되며
 
175
00:08:58,938 --> 00:09:01,374
통합적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합니다
 
176
00:09:01,374 --> 00:09:05,945
그리고 산업 DX를 주도하는 DX 전문인력 양성이 중요합니다
 
177
00:09:05,945 --> 00:09:10,383
ICT 산업의 차세대 기술력 강화와 인재 육성을 위한 지원!
 
178
00:09:10,383 --> 00:09:11,484
두 번째는요?
 
179
00:09:11,484 --> 00:09:12,451
두 번째는
 
180
00:09:12,451 --> 00:09:14,954
중소기업의 DX 역량 강화로
 
181
00:09:14,954 --> 00:09:17,123
산업생태계 기반을 확충해야 합니다
 
182
00:09:17,123 --> 00:09:20,493
디지털 전환에 대한 인식 수준 제고를 지원하기 위해
 
183
00:09:20,493 --> 00:09:24,497
산업별, 분야별 또는 DX 추진 유형별로
 
184
00:09:24,497 --> 00:09:28,901
중소기업들이 참조할 수 있는 DX 추진의 성공사례를 발굴하여
 
185
00:09:28,901 --> 00:09:30,603
보급할 필요가 있습니다
 
186
00:09:30,603 --> 00:09:35,942
또한 DX 추진 단계별 또는 유형별 컨설팅 지원 체계를 마련하고
 
187
00:09:35,942 --> 00:09:38,611
중소기업들이 DX 추진에 있어
 
188
00:09:38,611 --> 00:09:41,781
애로요인으로 작용하는 DX 기술 활용
 
189
00:09:41,781 --> 00:09:44,784
솔루션 개발에 대한 지원 강화가 요구됩니다
 
190
00:09:44,784 --> 00:09:46,152
말씀 해주신 대로
 
191
00:09:46,152 --> 00:09:50,089
중소기업의 DX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겠습니다
 
192
00:09:50,089 --> 00:09:52,058
또 그 다음에는 뭐가 있을까요?
 
193
00:09:52,058 --> 00:09:56,662
세 번째, 산업 DX를 위한 데이터 수집·활용 기반 확충과
 
194
00:09:56,662 --> 00:09:58,497
디지털 플랫폼 역량 강화
 
195
00:09:58,497 --> 00:10:01,968
그리고 이를 통한 제조의 서비스화 활성화가 요구됩니다
 
196
00:10:01,968 --> 00:10:06,205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중소기업에 특화된 디지털 플랫폼 개발과
 
197
00:10:06,205 --> 00:10:09,775
특화 디지털 플랫폼 기반의 산업 특성과 부합한
 
198
00:10:09,775 --> 00:10:12,511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대한 지원이 요구됩니다
 
199
00:10:12,511 --> 00:10:15,615
데이터 활용 기반 확충과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200
00:10:15,615 --> 00:10:20,720
비즈니스 모델이 개발될 수 있도록 지원도 중요할 것 같습니다
 
201
00:10:20,720 --> 00:10:22,088
네 번째는요?
 
202
00:10:22,088 --> 00:10:24,390
디지털 전환을 뒷받침하는 인프라
 
203
00:10:24,390 --> 00:10:28,694
, ·제도와 규제혁신, 표준 지원이 중요하겠습니다
 
204
00:10:28,694 --> 00:10:32,999
산업 DX가 확산될 수 있도록 불합리한 규제를 개선하고
 
205
00:10:32,999 --> 00:10:36,335
디지털 기술 및 DX 관련 국제 표준화 논의에
 
206
00:10:36,335 --> 00:10:39,438
적극 참여하여 대응하는 전략이 필요하겠습니다
 
207
00:10:40,406 --> 00:10:43,609
, 마지막으로 디지털 전환을 뒷받침하는 법과
 
208
00:10:43,609 --> 00:10:47,279
규제에 대한 지속적인 정비가 필요하다는 말씀까지
 
209
00:10:47,279 --> 00:10:51,017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따른 ICT 산업의 신성장 전략에 대해서
 
210
00:10:51,017 --> 00:10:53,352
김종기 박사님과 말씀 나누어봤습니다
 
211
00:10:53,352 --> 00:10:55,254
박사님,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동일 주제 보고서

목록
공공누리

산업연구원의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KIET 이메일 주소 확인

이메일 수집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IET 만족도 조사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IET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live

KTV생방송 대한민국, 뉴노멀 시대 서비스산업 정책 과제는?

주관 : 산업연구원

연구진 소개

  • 학력
    • Osaka Prefecture University (Ph.D)
    경력
    • 2021.06 - 현 재 제22대 산업연구원 원장
    • 2017.10 - 2019.05 대통령비서실 중소기업비서관/중소벤처비서관 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비서실 중소기업
    • 2015.04 - 2017.10 한국중소기업학회 부회장
    • 2015.03 - 2017.02 한국산업조직학회 감사
    • 2009.03 - 2017.10 한국동북아경제학회 이사
보고서
접수완료

연구과제 제안이 접수되었습니다.

접수완료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세미나 팝업_세미나
팝업_유튜브 영상

요약 보기

월간 KIET 산업경제 코로나19 발생 이후 제조업 고용 변화: 중간 점검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부분의 고용 관심사가 항공 및 여행서비스, 음식·숙박 서비스 등 주로 서비스 업종에 집중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제조업의 고용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제조업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코로나19 직후 2020년 상반기에 약간 하락하였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하여도 일본과 함께 고용 충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용 성적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내 특성 별로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종사상 지위 별로 보면, 임시·일용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서 고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상용직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큰 충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의 경우 코로나 발생 초기 약간의 충격 이후 고용이 빠르게 반등하면서 코로나 이전보다 고용이 더 증가한 반면, 이보다 작은 규모의 제조업체들의 경우 고용 회복이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의 중장기,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 발생 이전 3년간의 추세선을 2020년 1월부터 연장한 선과, 2020년 1월부터의 실제 자료를 이용한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의약품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시작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컴퓨터, 기타운송장비, 가구는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고용 추세가 개선되었다. 그러나 다수 업종은 코로나 발생 이후 고용이 하락하였는데, 특히, 비금속광물, 1차금속, 금속가공 분야나 인쇄·기록매체 업종에서 하락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KIET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inform@kiet.re.kr
KiET 직원 정보 확인
감 사

이름 : 최상명

전화번호 : 044-287-3811

KIET 직원 정보 확인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비밀번호 확인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KIET 홍보동영상

[전지적키에트시점] (Eng sub)심상치 않은
국내 대기업 움직임??
KIET 시점에서 보는 미래 로봇 산업 전망은
어떨까요?
경제전문가가 알려드립니다!
(산업연구원 박상수 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