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행성 감염병이 경제와 산업에 미치는 영향 - 과거 사례의 경우 - |
|||
저자 | 강두용, 민성환 | 발행일 | 제 호 (2020.03.23) |
---|---|---|---|
원문 | ![]() |
코로나19의 경제적 영향 예측을 위한 참고 사례로서 사스(SARS) 당시의 주요 발병국(홍콩, 대만, 싱가포르)과 메르스(MERS)하에서의 한국 사례를 대상으로 경제와 산업에 미친 영향을 검토
● 사스 홍콩 사례의 경우 인구당 발병률에서 한국 코로나19의 약 2배, 인구당 사망률은 약 40배에 달하여 홍콩 경제에 큰 충격을 미쳤음.
이들 사례의 공통적 특징으로 첫째, 사례별 충격의 크기 차이에도 불구하고 경제 영향은 단기에 그치고 이후 급반등하면서 장기 영향은 미미
● 사스 3국 사례의 경우 발병 기간에 전기비 분기 GDP 성장률을 1.2%포인트(싱가포르)~2.4%포인트(홍콩) 낮춘 것으로 추정되나 장기 영향은 미미
둘째, 전체 경제에 비교적 큰 충격을 미친 경우에도 업종별로는 충격의 강도에 큰 편차가 존재하고 대체로 일부 업종에 피해가 집중
● 사스 3국 사례의 경우 최대 피해업종에는 분기 성장률을 약 20%포인트 낮추는 충격을 미친 반면, 상당수 업종은 가시적 영향이 나타나지 않음.
셋째, 주요 피해업종의 내용은 4개 사례에서 상당한 공통성
● 사스 3국 사례의 경우 업종별 피해 정도는 공통적으로 음식숙박, 운수, 유통 순이었고, 메르스 한국의 경우도 음식숙박업이 주요 피해업종
이 같은 특징 중 일부는 사스나 메르스가 세계적 확산이 아닌 국지적 발병에 그쳤고 지속기간이 비교적 짧았다는 특성에 기인
업종별, 부문별로 영향에 큰 차이가 존재할 가능성을 고려할 때, 정책 대응은 보편적 지원보다는 주요 피해 부문 및 계층에 지원을 집중하는 방식이 바람직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실물경제 주요지표 & 업종별 경기지수 | KIET | 2020.04.23 | 7378 | ![]() |
국면전환모형을 이용한 제조업 경기변동 분석 | 박성근, 김정현,.. | 2020.04.09 | 98497 | ![]() |
실물경제 주요지표 & 업종별 경기지수 | KIET | 2020.03.18 | 8212 | ![]() |
유행성 전염병이 경제와 산업에 미친 영향 : 과거 사례.. | 강두용, 민성환 | 2020.03.18 | 24224 | ![]() |
실물경제 주요지표 & 업종별 경기지수 | KIET | 2020.02.20 | 8733 | ![]() |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중국 진출 기업 경기 조사 - 2020년 1분기 현황과 2분.. | 민성환, 홍성욱,.. | 2020.04.29 | 97288 | ![]() |
Ⅴ. 국내 제조업체들이 바라본 코로나19 충격의 영향 | 민성환, 홍성욱,.. | 2020.04.23 | 20505 | ![]() |
유행성 감염병이 경제와 산업에 미치는 영향 - 과거 사.. | 강두용, 민성환 | 2020.03.23 | 76410 | ![]() |
유행성 전염병이 경제와 산업에 미친 영향 : 과거 사례.. | 강두용, 민성환 | 2020.03.18 | 24224 | ![]() |
중국 진출 기업 경기 조사 - 2019년 4분기 현황과 202.. | 민성환, 홍성욱,.. | 2020.01.30 | 116401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