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출여건 개선과 회복 가능성 점검 |
|||
저자 | 김재덕, 신현수 | 발행일 | 제 78 호 (2020.01.22) |
---|---|---|---|
원문 | ![]() |
지난해 우리나라 수출은 10.3% 감소하여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대의 감소폭을 기록하였으나 12월 들어 한 자릿수로 감소폭이 개선되면서 2020년 수출 회복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
● 수출 감소는 미중 분쟁으로 인해 글로벌 경기 및 교역이 둔화되었고, 반도체 수출이 단가하락으로 인해 대폭 감소하였으며, 최대 수출국인 대중국 수출도 미중 분쟁과 중국경제의 성장둔화로 큰 폭으로 감소한 데 기인
2020년 들어 미중 무역협상 1단계 합의, 중국 주요 경제지표의 호전 추세와 반도체 단가 회복세가 뚜렷해지면서 우리 수출이 증가세로의 회복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음
● 미중 무역협상의 1단계 합의는 우선 글로벌경제의 가장 큰 불확실성이 완화되었다는 점에서 세계경제뿐 아니라 우리의 수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
● 중국은 성장률 둔화 우려 속에서도 지난해 경제성장률이 6.1%로 '바오류(保六)'를 유지하고 IMF도 최근 성장률 전망치를 0.2p% 올린 6.0%로 조정하는 등 긍정적인 움직임이 감지되어 우리 수출에도 긍정적인 효과 예상
● 작년 말 이후 반도체 가격의 하락세가 진정되고 D램 현물가가 10% 가까이 상승하는 등 일부 품목의 상승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2020년 반도체 수출 가격의 회복 기대감이 급속히 확산
글로벌 불확실성 완화와 반도체 단가 회복 등 수출에 긍정적인 신호가 나타나는 가운데 수출 회복세에 탄력을 더하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이 필요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국면전환모형을 이용한 제조업 경기변동 분석 | 박성근, 김정현,.. | 2020.04.09 | 96087 | ![]() |
유행성 감염병이 경제와 산업에 미치는 영향 - 과거 사.. | 강두용, 민성환 | 2020.03.23 | 71307 | ![]() |
실물경제 주요지표 & 업종별 경기지수 | KIET | 2020.03.18 | 7350 | ![]() |
유행성 전염병이 경제와 산업에 미친 영향 : 과거 사례.. | 강두용, 민성환 | 2020.03.18 | 22447 | ![]() |
실물경제 주요지표 & 업종별 경기지수 | KIET | 2020.02.20 | 7795 | ![]() |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2019년 하반기 거시경제 전망 | 신현수 | 2019.07.18 | 13182 | ![]() |
한·중 수출경합관계 및 경쟁력 비교 분석 | 신현수 | 2019.05.13 | 57765 | ![]() |
최근 수출부진 진단 및 전망과 시사점 | 김재덕 | 2019.04.25 | 8235 | ![]() |
최근의 수출부진과 주요 업종의 경쟁력 추이 | 신현수 | 2019.04.25 | 10417 | ![]() |
제조업 임금 변화의 영향에 관한 연구 - 생산성과 가격.. | 오종석, 홍성욱,.. | 2018.12.20 | 27763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