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거시경제 전망 |
|||
저자 | 산업통계분석본부 동향분석실 | 발행일 | 제 58 호 (2018.12.13) |
---|---|---|---|
원문 | ![]() |
2019년 국내경제는 수출과 투자가 글로벌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소폭 증가에 그치고, 소비가 전년대비 둔화세를 보이면서 2018년보다 약간 낮은 2.6%의 성장률을 예상
● 2018년 실질GDP는 민간소비가 확대된 반면에, 설비투자와 건설투자가 모두 급감하고, 수출도 한 자릿수 증가율로 떨어지면서 2017년(3.1%)보다 낮은 2.7% 성장률 전망
대외적으로는 국가간 통상마찰 심화 여부, 글로벌 통화긴축 기조의 영향, 신흥권의 경기불안 지속 여부 등이, 대내적으로는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기조 변화 여부, 고용여건의 개선 여부, 정부정책 효과의 발현 정도 등이 주요 관건으로 작용할 전망
소비는 소득감소와 고용부진 속에서 대외 불확실성에 따른 체감경기 약화로 증가세가 둔화되나, 복지·후생 및 일자리 관련 지출 확대, 유류세 인하 등 정부정책은 실질구매력 제고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
설비투자는 대외 불확실성과 대내 구조적 취약성 등의 영향으로 인해 제한적 증가세가 예상되며, 건설투자도 정부의 부동산시장 안정화 대책과 SOC 예산 감축 등의 영향으로 감소세가 이어질 전망
수출은 세계경기 성장세 둔화로 인해 수출물량이 소폭 증가에 그치고, 반도체 가격 하락과 국제유가의 횡보 전망 등으로 수출단가도 하락 압력이 커지면서 연간 증가율이 2018년보다 낮은 3.7% 전망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뉴스데이터를 활용한 제조업 주요 업종별 경기 분석 | 홍성욱, 민성환 | 2021.03.25 | 1955 | ![]() |
실물경제 주요지표 & 업종별 경기지수 | KIET | 2021.03.25 | 1041 | ![]() |
실물경제 주요지표 & 업종별 경기지수 | KIET | 2021.02.25 | 3481 | ![]() |
제조업 업종별 경기실사지수(BSI) - 2020년 4분기 현황.. | 동향ㆍ통계분석본.. | 2021.01.29 | 9523 | ![]() |
지역별 제조업 경기실사지수(BSI) - 2020년 4분기 현황.. | 동향ㆍ통계분석본.. | 2021.01.29 | 9514 | ![]() |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2019년 거시경제 전망 | 산업통계분석본부.. | 2018.12.13 | 52483 | ![]() |
2018년 하반기 거시경제 전망 | 산업통계분석본부.. | 2018.07.05 | 45050 | ![]() |
2018년 거시경제 전망 | 산업통계분석본부.. | 2017.12.06 | 32630 | ![]() |
2017년 하반기 거시경제 전망 | 산업통계분석본부.. | 2017.07.03 | 22587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