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화되는 중국의 신성장동력 육성전략과 우리의 대응 |
|||
저자 | 조영삼 | 발행일 | 제 542 호 (2012.09.25) |
---|---|---|---|
원문 | ![]() |
○ 제542호 : 2012. 9. 25.
○ 중국은 지난 5월 30일 개최된 국무원 상무회의에서‘12·5 국가 전략적 신흥산
업 발전 규획’을 통과시킨 데 이어 7월 20일‘12·5 국가 전략적 신흥산업 발전
규획’전문을 정식 발표
○ 중국의 전략적 신흥산업 육성전략에는 다음과 같은 배경과 목적이 내재
- 중국은 안정적 발전을 지속하기 위해 후발국 추격을 따돌리고, 주로 저부가가
치 영역에 위치해 있는 국제 분업구조상 지위를 벗어나야 하는 과제에 직면
- 7대 전략적 신흥산업은 아직 국가 간 경쟁우위가 확정되지 않은 영역으로,
중국은 신흥산업 육성을 통해 후발추격자가 아닌 시장 선점자 지위를 추구
○ 중국의 7대 전략적 신흥산업과 한국의 17대 신성장동력산업은 대부분의 분야
가 일치함으로써 자칫 한·중 양국은 미래 신성장동력 분야에서 치열한 경쟁에
직면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3대 신성장동력 영역 중 특히 녹색기술, 첨단융합 영역에서 양국의 육성 대
상 분야가 거의 일치
- 중국은 한국의 부분적 기술 우위를 상쇄하고도 남을 만큼 거대한 수요 창출
능력을 보유
○ 따라서 발전 규획 공포를 통해 본격화된 중국의 전략적 신흥산업 육성전략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한국 신성장동력 분야의 비교우위 재점검을 통해 향후 미
래 성장동력 확보에 만전을 기할 필요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중국경제의 서비스화 추이와 시사점 | 이건우 | 2020.01.16 | 53086 | ![]() |
최근 중국 산업정책의 방향과 주요 내용 | 조철, 조은교, 박.. | 2019.12.30 | 39344 | ![]() |
중국 공산당 제19기 중앙위원회 제4차 전체회의로 본 .. | 박소희 | 2019.12.26 | 6748 | ![]() |
중국의 100% 외자 생명보험 법인 설립과 전망 | 전수경 | 2019.12.26 | 4683 | ![]() |
주요 산업의 중국 지역별 특성 분석과 시사점 [제1권].. | 조철, 박훈, 김양.. | 2019.12.18 | 17215 | ![]() |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중소기업정책 방향과 과제 | 조영삼, 양현봉,.. | 2013.12.27 | 51935 | ![]() |
중국의 식품시장 전망과 국내 식품산업의 대응방안 | 이준, 조영삼, 최.. | 2013.11.25 | 25925 | ![]() |
중국 내수 식품시장의 성장 전망과 대응과제 | 이준, 조영삼 | 2013.07.04 | 36081 | ![]() |
본격화되는 중국의 신성장동력 육성전략과 우리의 대응 | 조영삼 | 2012.09.25 | 27094 | ![]() |
중견기업 육성 논의의 현황과 과제 | 조영삼 | 2010.01.05 | 11051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