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대선에 따른 통상정책 전망과 대응방안 - 트럼프 대통령 재선의 경우 |
|||
저자 | 문종철 | 발행일 | 제 98 호 (2020.11.02) |
---|---|---|---|
원문 | ![]() |
○ 트럼프가 재선에 성공하는 경우 현재의 통상정책 기조 유지 전망
- 보호무역주의 정책의 지속으로 통상환경이 개선될 가능성이 희박할 것으로 보임.
- 무역구제조치 남발과 통상 관련 법안의 확대해석에 따른 수입규제가 빈발할 것으로 예상
- 중국, 일본 등과의 통상협상의 계속 진행
- ‘공정한 무역 체제’를 주장하면서 WTO 개혁을 시도함으로써 WTO와의 대립 격화
○ 대중 견제의 강화와 공급사슬의 국내화를 강력하게 추진할 것으로 예상
- 향후 중국과의 무역 관련 이슈는 안보의 관점에서 접근할 것으로 보임.
- ICT분야에서의 보안 관련 문제, 국영기업에 대한 보조금 규제, 데이터 흐름 규제, 의료 및 의약품 등이 강조될 것으로 예상
- 그중에서 ICT분야, 국영기업에 대한 보조금 규제, 의료 및 의약품 관련 이슈에서 한국의 협력을 기대하고 있음.
- 공급사슬의 완전한 국내화가 곤란할 경우 중국을 배제한 공급사슬을 구축하려 할 것으로 보임.
○ 트럼프 재선 시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 정책방향을 설정할 필요
- 무역·통상을 담당하는 인적구성에 큰 변동은 없을 것으로 보이며 철강 및 자동차 산업 등은 여전히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아 대응책 마련이 필요
- 미-중, 미-일 무역협상의 전개양상에 대해서 주의를 기울일 필요. 또한 미-대만 관계의 추이에 대해서도 관심이 필요
- 미-WTO와의 관계에 주목
- 미국의 무역구제조치에 대해서 WTO의 분쟁해결 기능에 의존하기보다는 미국과의 직접적인 협상을 통해서 풀어야 함.
- 대중국 견제와 관련해서는 ICT분야와 지적재산권 등과 관련하여 미국과 보조를 맞출 필요성이 있음.
- 공급사슬 국내화와 관련해서는 미국 시장에의 의존도가 높은 업종은 미국에의 투자확대와 더불어 우리도 공급사슬의 다변화를 고려해야 함.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미 대선에 따른 통상정책 전망과 대응방안 - 바이든 후.. | 문종철 | 2020.11.02 | 15994 | ![]() |
미 대선에 따른 산업정책 전망과 대응방안 - 바이든 후.. | 산업정책연구본부 | 2020.10.30 | 13004 | ![]() |
미 대선에 따른 산업정책 전망과 대응방안 - 트럼프 대.. | 산업정책연구본부 | 2020.10.30 | 12743 | ![]() |
2020년 미 대선 전망과 한국의 통상환경에 미칠 영향 | 문종철 | 2020.07.23 | 9129 | ![]() |
코로나19 이후 경제회복을 위한 정책과제 - 2009년 세.. | 조재한, 송단비,.. | 2020.05.25 | 49474 | ![]() |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바이든 정부의 출범과 대미 통상환경: 키워드를 통해서.. | 문종철 | 2020.11.26 | 6225 | ![]() |
미 대선에 따른 통상정책 전망과 대응방안 - 바이든 후.. | 문종철 | 2020.11.02 | 15994 | ![]() |
미 대선에 따른 통상정책 전망과 대응방안 - 트럼프 대.. | 문종철 | 2020.11.02 | 20168 | ![]() |
2020년 미 대선 전망과 한국의 통상환경에 미칠 영향 | 문종철 | 2020.07.23 | 9129 | ![]() |
한국의 대(對)조세회피처 투자현황과 시사점 | 문종철 | 2020.02.14 | 23646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