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위기는 다르다 - 코로나발(發) 경제위기의 특이성과 정책적 함의 |
|||
저자 | 강두용 | 발행일 | 제 호 (2020.08.27) |
---|---|---|---|
원문 | ![]() |
○ 이번 코로나 경제위기는 몇 가지 점에서 과거의 경제위기와 크게 다르며, 그 차이를 인식하는 것은 효과적인 정책 대응을 위해서도 중요
○ 첫째, 주로 경제적 요인에서 비롯된 과거의 경제위기와 달리, 이번 위기는 감염병 위협에서 비롯된 세계 경제위기
- 감염병의 발생과 확산에서 인간의 경제활동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는 점에서, 환경생태계와 인간 경제활동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한 위기
- 그런 점에서 기후변화 위기와도 일부 맥락을 같이 하는 측면이 있음.
○ 둘째, 위와 같은 원인의 차이로 경제정책의 역할에 더 큰 한계가 존재
- 이번 위기에서 침체의 심도와 길이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경제정책의 효과가 아닌 감염병 위협의 크기와 해소 여부
- 침체 억제를 위해서는 감염병 통제 노력과 경제활성화 노력간의 적절한 균형이 중요
- 감염병 위협 해소의 관건인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보급이 지연될 경우 침체 장기화가 불가피하며, 이러한 가능성에도 대비할 필요
○ 셋째, 위기의 특성상 침체의 부문간 편차가 훨씬 더 큼.
- 심각한 경기침체 속에 일부 IT 업종 등 소위 언택트 관련 업종은 매출과 순익이 급증하는 호황을 구가
- 금년 2분기 산업별 성장률 편차(분산)는 과거 경제위기 평균의 2.5배
- 이는 보편적 지원보다 주요 피해업종과 취약계층에 지원을 집중하는 대응이 필요함을 시사
○ 넷째, 이번 위기는 경제사회에 장기적 영향을 미칠 것
- 중장기적으로 산업구조의 변화, 경제정책 및 정부 역할의 변화, 감염병 위협을 포함한 환경생태적 위기에 대한 인식 강화와 관련 대응을 위한 자원배분 확대를 가져올 가능성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2021년 거시경제 전망 | 한정민 | 2020.12.24 | 5007 | ![]() |
실물경제 주요지표 & 업종별 경기지수 | KIET | 2020.12.24 | 1226 | ![]() |
2021년 12대 주력산업 전망 | 성장동력산업연구.. | 2020.12.03 | 13033 | ![]() |
2021년 거시경제 전망 | 동향ㆍ통계분석본.. | 2020.12.03 | 9934 | ![]() |
실물경제 주요지표 & 업종별 경기지수 | KIET | 2020.11.26 | 3794 | ![]() |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이번 위기는 다르다 - 코로나발(發) 경제위기의 특이성.. | 강두용 | 2020.08.27 | 28696 | ![]() |
이번 위기는 다르다 - 코로나발(發) 경제위기의 특이성.. | 강두용 | 2020.08.26 | 11045 | ![]() |
Ⅴ. 국내 제조업체들이 바라본 코로나19 충격의 영향 | 민성환, 홍성욱,.. | 2020.04.23 | 18387 | ![]() |
유행성 감염병이 경제와 산업에 미치는 영향 - 과거 사.. | 강두용, 민성환 | 2020.03.23 | 71345 | ![]() |
유행성 전염병이 경제와 산업에 미친 영향 : 과거 사례.. | 강두용, 민성환 | 2020.03.18 | 2246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