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양회로 살펴본 중국 정부의 정책 기조 |
|||
저자 | 김동수, 조은교, 박소희, 박가영 | 발행일 | 제 87 호 (2020.06.11) |
---|---|---|---|
원문 | ![]() |
○ 대외적으로 중국은 국가안보문제에서는 경제적 피해를 감수하더라도 물러설 수 없다는 강경한 태도인 반면, 통상문제에서는 지속적인 협상을 통한 원만한 해결을 기대
- 미국의 대중국 압력에도 불구하고 홍콩 국가보안법을 예정대로 제정함으로써 홍콩 문제는 타협의 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표명
- 중국 국민의 강력한 지지에 힘입어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을 계기로 ‘일국양제’에서 중국으로의 흡수에 첫걸음
- 1997년 영국의 홍콩 반환 이후 실질적인 홍콩 흡수의 적기라고 판단한 듯
○ 대내적으로 코로나19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경제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재정확대 그리고 나아가 정부업무보고에서 ‘6보 6온’의 기조를 발표하면서 경제안정에 정책 우선순위를 분명히 하였고,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한 재정확대 기조의 예산(초안)을 편성
- 중장기적 측면에서는 미국으로부터의 산업기술 의존도를 낮추고 디지털 경제 시대의 주도권 확보를 위하여 대규모 신형인프라 투자를 계획, 추진
○ 미국과 중국의 정책 기조를 보면 갈등의 완화보다는 심화가 예상되며 진영싸움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
- 우리도 미국이나 중국처럼 국가안보와 관련해서는 뚜렷한 태도를 보일 수도 있으나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양자택일보다는 중간자 위치가 우리는 물론 미국과 중국에도 이익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찾아 부각할 필요
- 미·중 탈동조화에 따른 기술보호주의와 공급망 분리에 대비하여 두 체제에 각각 맞춤식의 배타적인 기술 및 공급망 관리방안 모색이 시급
- 중장기적 측면에서 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기술 기반의 사회로 전환되는 변혁기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디지털 인프라 투자에 대한 정책적 고민이 필요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2019년 중국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나타난 2020년 중국.. | 박소희 | 2020.01.21 | 5815 | ![]() |
중국경제의 서비스화 진전 현황과 시사점 | 이건우 | 2020.01.21 | 8717 | ![]() |
중국경제의 서비스화 추이와 시사점 | 이건우 | 2020.01.16 | 42818 | ![]() |
최근 중국 산업정책의 방향과 주요 내용 | 조철, 조은교, 박.. | 2019.12.30 | 32261 | ![]() |
중국 공산당 제19기 중앙위원회 제4차 전체회의로 본 .. | 박소희 | 2019.12.26 | 4905 | ![]() |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중앙경제공작회의로 본 2021년 중국 경제정책의 키워드.. | 박소희 | 2020.12.24 | 1361 | ![]() |
미·중 통상·산업 패권 경쟁 제2라운드 | 박소희, 김동수,.. | 2020.11.26 | 3112 | ![]() |
중국 푸둥 개발·개방 30주년의 성과와 향후 발전 과제 | 박소희 | 2020.11.26 | 3067 | ![]() |
중국 선전경제특구 설립 40주년과 향후 발전 방향 | 박소희 | 2020.10.29 | 4405 | ![]() |
미·중 표준 경쟁, 중국의 글로벌 데이터 안보 이니셔.. | 박소희 | 2020.09.28 | 6600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