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중국 양회, 산업정책의 핵심 키워드는 4차 산업혁명 |
|||
저자 | 조은교 | 발행일 | 제 호 (2019.04.29) |
---|---|---|---|
원문 | ![]() |
중국은 양회를 통해 2019년 산업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면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을 강조
● 미·중 통상 분쟁을 우려하여 ‘중국제조 2025’에 대한 언급은 없었으나,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하기 위한 관련 기술혁신과 제조업 구조고도화, 신산업 육성정책 등을 제시
● 제조업에 중점을 두어 AI,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반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플러스(智能+) 추진
● 연구개발 강화를 통한 기술혁신과 차세대 정보통신, 첨단장비, 바이오, 신소재, 신에너지차 등 신산업 육성 가속화 강조
올해 중국 양회에서 강조된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혁신 및 산업정책, 내수 활성화 정책 등은 우리에게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부여
● 중국은 AI,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반기술 분야에서 우리보다 우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관련 신산업 분야에서는 우리와 경쟁이 치열
● 신산업 분야에서 우리만의 특화 분야를 발굴하고 연구개발 확대 등을 통한 산업경쟁력 강화와 기술혁신 추진
● 올해 양회에서 강조한 스마트제조, 신에너지(수소) 등의 신산업 분야에서 중국 시장이 확대되면서 시장진출 기회가 창출될 전망
● 소비촉진 정책, 환경산업 육성, 지역혁신 전략 추진 등 시장수요 확대가 예상되는 분야의 양국 간 산업협력 방안 마련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중앙경제공작회의로 본 2021년 중국 경제정책의 키워드.. | 박소희 | 2020.12.24 | 1292 | ![]() |
중국 푸둥 개발·개방 30주년의 성과와 향후 발전 과제 | 박소희 | 2020.11.26 | 3001 | ![]() |
중국 진출 기업 경기 조사 - 2020년 3분기 현황과 4분.. | 민성환, 홍성욱,.. | 2020.10.30 | 20895 | ![]() |
중국 선전경제특구 설립 40주년과 향후 발전 방향 | 박소희 | 2020.10.29 | 4339 | ![]() |
미·중 표준 경쟁, 중국의 글로벌 데이터 안보 이니셔.. | 박소희 | 2020.09.28 | 6530 | ![]() |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2018 중국 양회에서 나타난 산업정책 방향과 시사점 | 조철, 조은교, 박.. | 2018.04.23 | 63181 | ![]() |
중국 모바일 헬스케어산업의 발전현황과 시사점 | 조은교 | 2018.02.21 | 12344 | ![]() |
한중 신산업 발전전략과 산업협력 방안 - 협력증진과 .. | 서동혁, 김종기,.. | 2017.12.21 | 34918 | ![]() |
중국 서북부지역의 주요 산업별 진출 전략 - 신장웨이.. | 조철, 조은교 외 | 2017.12.13 | 32144 | ![]() |
중국 서북부지역의 주요 산업별 진출 전략 - 신장웨이.. | 조철, 조은교 외 | 2017.12.13 | 34326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