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중국 양회, 산업정책의 핵심 키워드는 4차 산업혁명 |
|||
저자 | 조은교 | 발행일 | 제 호 (2019.04.29) |
---|---|---|---|
원문 | ![]() |
중국은 양회를 통해 2019년 산업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면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을 강조
● 미·중 통상 분쟁을 우려하여 ‘중국제조 2025’에 대한 언급은 없었으나,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하기 위한 관련 기술혁신과 제조업 구조고도화, 신산업 육성정책 등을 제시
● 제조업에 중점을 두어 AI,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반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플러스(智能+) 추진
● 연구개발 강화를 통한 기술혁신과 차세대 정보통신, 첨단장비, 바이오, 신소재, 신에너지차 등 신산업 육성 가속화 강조
올해 중국 양회에서 강조된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혁신 및 산업정책, 내수 활성화 정책 등은 우리에게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부여
● 중국은 AI,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반기술 분야에서 우리보다 우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관련 신산업 분야에서는 우리와 경쟁이 치열
● 신산업 분야에서 우리만의 특화 분야를 발굴하고 연구개발 확대 등을 통한 산업경쟁력 강화와 기술혁신 추진
● 올해 양회에서 강조한 스마트제조, 신에너지(수소) 등의 신산업 분야에서 중국 시장이 확대되면서 시장진출 기회가 창출될 전망
● 소비촉진 정책, 환경산업 육성, 지역혁신 전략 추진 등 시장수요 확대가 예상되는 분야의 양국 간 산업협력 방안 마련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국 도시 간 디지털 전환 경쟁 .. | 박소희 | 2021.01.28 | 1061 | ![]() |
중앙경제공작회의로 본 2021년 중국 경제정책의 키워드.. | 박소희 | 2020.12.24 | 3835 | ![]() |
중국 푸둥 개발·개방 30주년의 성과와 향후 발전 과제 | 박소희 | 2020.11.26 | 5302 | ![]() |
중국 진출 기업 경기 조사 - 2020년 3분기 현황과 4분.. | 민성환, 홍성욱,.. | 2020.10.30 | 31368 | ![]() |
중국 선전경제특구 설립 40주년과 향후 발전 방향 | 박소희 | 2020.10.29 | 7316 | ![]() |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첨단기술 냉전 시대의 산업ㆍ통상전략 | 김동수, 김계환,.. | 2020.09.18 | 35834 | ![]() |
코로나19 이후, 가속화되는 중국 디지털경제의 발전과.. | 조은교 | 2020.06.18 | 14442 | ![]() |
2020년 양회로 살펴본 중국 정부의 정책 기조 | 김동수, 조은교,.. | 2020.06.11 | 47813 | ![]() |
코로나19(COVID-19)가 중국 산업경제에 미치는 영향 | 김동수, 박재곤,.. | 2020.03.18 | 16943 | ![]() |
중국 디지털기업의 글로벌 부상과 시사점 | 조은교 | 2020.02.20 | 9977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