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넥티드카 서비스의 확산과 발전 전략 |
|||
저자 | 김승민 | 발행일 | 제 호 (2017.05.29) |
---|---|---|---|
원문 | ![]() |
커넥티드카(Connected Car)는 최신 정보통신 기술을 자동차에 적용하여 운전자에게 고도의 안전·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래 자동차로 모바일서비스의 차세대 디바이스로 주목
● 무선데이터통신,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블루투스, 자동차 전용 통신 등 첨단 IT 기술이 활용되며 자동차와 인공위성, 무선통신기반시설 등 외부 인프라가 핵심 구성요소
커넥티드카 서비스 확산으로 IT 서비스, 콘텐츠, 보험·금융, 공공·기타 등의 분야에 새로운 사업 기회를 제공
● 텔레매틱스서비스, 인포테인먼트, UBI(Usage Based Insurance), 자동차 빅데이터 분석 등 새로운 분야에 서비스 시장이 창출될 것으로 예상
커넥티드카 서비스가 본격화되기에 앞서 소프트웨어와 통신 기술의 개발 및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기술계층별로 표준화 양상이 상이
● IT기업과 자동차기업들이 차량용 모바일플랫폼과 OS(Operation System),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시스템 등을 개발하고 있으며 기존의 모바일용 소프트웨어와 표준 경쟁을 할 것으로 예상
커넥티드카 서비스 산업 발전을 위해 규제 재검토 및 관련 산업 육성 필요
● 커넥티드카 서비스 도입에 따른 다양한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자동차 빅데이터, 운전 중 영상 관련 규제 등에 대한 재검토 필요
● 세계 최고 수준의 IT·모바일 생태계를 활용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 시장 선점을 위해 기술 계층별 산업 환경에 맞는 정책적 지원 필요
● 커넥티드카 서비스기업의 창업 지원 및 법·제도 정비를 통해 커넥티드카 서비스 산업 생태계 조성 및 일자리 창출 기대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코로나19의 자동차산업 영향 및 대응방안 | 김준규 | 2020.07.23 | 5294 | ![]() |
일본 자동차산업, 코로나19의 피해 확대 | 사공 목 | 2020.05.21 | 4358 | ![]() |
닛산, 르노에 지배당하는 자본제휴 관계를 재편할 수 .. | 사공 목 | 2020.04.23 | 3147 | ![]() |
복합위기 환경하에서의 자동차 부품산업 구조개편 방향 | 맹지은, 이항구 | 2020.04.23 | 9249 | ![]() |
일본 제조기업, 서플라이 체인 훼손으로 코로나19의 피.. | 사공 목 | 2020.04.23 | 3158 | ![]() |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조회수 | 원문 |
---|---|---|---|---|
4차 산업혁명 연관 기술 도입 효과와 관계성 분석 | 김상훈, 김승민,.. | 2020.10.15 | 17734 | ![]() |
서비스융합 혁신역량의 기업성과에 대한 영향분석 및 .. | 고대영, 김승민,.. | 2019.12.23 | 14719 | ![]() |
블록체인 산업 현황과 활용 확산을 위한 정책 방향 | 조현승, 김상훈,.. | 2019.11.28 | 17880 | ![]() |
서비스산업 비즈니스모델 혁신 경쟁력 분석 및 시사점 | 김승민, 고대영 | 2018.08.23 | 10642 | ![]() |
서비스산업 비즈니스 모델 혁신 경쟁력 국제비교 | 김승민 | 2018.06.25 | 40439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