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승용차 소비구조와 개선방안 |
저자 |
조철 |
발행일 |
제 317 호 (2006.10.26) |
원문 |
 |
○ 국내 승용차시장의 소비구조는 1990년대 중반을 고비로 중대형차 위주로 전환되어 우리나라는
미국을 제외하면 가장 대형화된 소비시장으로 부상
- 2000년 이후에는 대형승용차의 소비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전체 세단형 승용차 판매의 20%를 넘
어서는 수준으로까지 확대
○ 대형차 위주의 소비구조는 차량의 크기를 사회적 신분과 동일시하는 사회적 인식, 소득 양극화
에 따른 경소형차 수요 위축 및 대형차 수요 증가, 경소형차 보유의 경제적 이점 감소 등에 기인
○ 경소형차는 에너지 효율이 높아 에너지절감 및 환경문제 해소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우리의
주력 수출품목으로서 자동차산업의 경쟁력 향상에도 크게 기여
- 최근 유가상승과 환경규제 강화로 경소형차에 대한 관심 및 수요 증대
- 낮은 가격에 대부분의 부품을 집적시켜야 하는 경소형차는 철저한 원가절감 및 품질향상 노력이
필수
○ 소비자들의 대형차 선호를 불식시키고 경소형차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 경소형차의 사회·경제적 이점인 환경·에너지·교통문제의 해소 및 구매·운행비용 절감에 대한 홍보
를 강화하는 한편,
- 경소형차 이용의 편의성 증대와 금전적 인센티브 제공 등을 통해 소비자들의 인식전환 및 수요패
턴의 변화를 유도